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추상회화의 실존적 수용 과정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istential Acceptance Process of Abstract Painting -focused on Jeong, yun-young’s art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00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추상 회화에서 존재와 시간이 맺는 관계가 상호적으로 수렴되며 화면에 형상화되는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의 시각 예술은 서로 다른 시· 공간의 다원성, 이질성, 혼성성�...

      본 논문은 추상 회화에서 존재와 시간이 맺는 관계가 상호적으로 수렴되며 화면에 형상화되는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의 시각 예술은 서로 다른 시· 공간의 다원성, 이질성, 혼성성의 특징을 보이며, 개별화하고 있다. 이 같은 동시대의 맥락 안에서 연구자의 작업은 혼성적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직관적 방향성의 생성, 그것이 일종의 불확실성을 전제한 조형 언어로서 작동한다는 점이 다. 연구의 목적은 실존에 관한 관심에 기반하여 가시적인 것에 제한되지 않고, 현존을 드러내는 해방 공간으로서의 추상 회화를 다시금 고찰하며, 연구자의 작업에 담긴 인간의 미묘한 감성과 숭고한 정서 의 충돌이 공존하고 교차하는 과정을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계를 희석하는 새로운 종합의 틀을 제시하여 동시대 미술의 창조적 시각을 견인하는 개념을 차별화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연구자의 작업에서 다룬 시간성과 실존성의 문제를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 개념으로 살펴봤고, 서사 공간으로서의 추상 회화에서 경계를 지우는 미와 추의 문제에 대해서는 로젠크란츠의 ‘추의 미 학’과 브룩스의 ‘육체와 예술’에 관한 입장을 참조했다. 추상적 화면에서 개입되는 우연성과 즉흥성에 있어서는 랑시에르의 ‘반 재현적 예술’을, 그 외 실존적 수용의 시각화 과정에 대해서는 로젠버그의 ‘개인의 정체성’, 라캉의 ‘주체성의 상실’, 베르그송의 ‘직관’ 개념 등 다양한 양식의 융합을 통해 하나 의 작품이 지니는 순수조형의 차원을 벗어나 경계의 확장을 꾀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의 작업 속 ‘실존성’은 시간 속에서 관계적으로 공간을 교차하는 서로 다른 궤적의 결합 그 자체다. 형상의 해체와 전환이 반복되는 추상 회화는 ‘하나의 연속’이며, 영속적 미완의 상태로서 관계성에 대한 논의를 확장 시킨다. 의식의 복합적 차원을 다루며 실존성을 수용해가는 회화적 매체와 미학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은 추상에 접근하는 또 다른 방법론으로서, 회화의 실천적 자율성을 재인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he study on the process of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 and time in abstract painting that is mutually converged and shaped on the screen. Today's visual arts are characterized and individualized by the features of plurality, heter...

      This research is the study on the process of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 and time in abstract painting that is mutually converged and shaped on the screen. Today's visual arts are characterized and individualized by the features of plurality, heterogeneity, and hybridity of different times and spaces. Within this contemporary context, the researcher's work is based on the generation of intuitive directions that are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hybrid elements, which operate as a formative language preconditioned with the kind of uncertainty. The purpose of this re-examination of abstract paintings, as a liberating space that reveals the underlying existence, which is not only limited to visibility, is to trace the process of collisions of human subtle sensibilities and emotions. On that basis, by presenting a new framework of synthesis, the approach was made to dilute the boundaries of creative vision of contemporary art.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matter of timeliness and existentiality was examined by borrowing concepts from Heidegger's In-der-Welt-sein, and the issue of beauty and ugliness that is absent of boundary was adopted from Rosenkranz's Aesthetics of Ugliness and Brooks’s Body Work. As for the coincidence and improvisation on the abstract screen, Ranciere's Anti-replicated Art and Rosenberg's Individual Identity, Lacan's Loss of Subjectivity and Bergson's Intuition were adopted in terms of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existential acceptance. As for the result, the existence in the researcher's work is itself a combination of different trajectories that go across spaces in relation with time. Abstract paintings, which repeatedly dismantle and transition features, are one continuous flow and expand the concept of the interconnectedness as a permanent unfinished state. Addressing the complex dimensions of consciousness and exploring pictorial media and aesthetic possibilities that embrace existentiality is another methodology that approaches abstraction,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practical autonomy of painting in a new ligh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영, "자율성을 벗어난 추상: 랑시에르의 미학의 정치에 대한 고찰" 현대미술학회 15 (15): 41-77, 2011

      2 Ranciere, J., "The Future of the Image" Hyunsil Moonhwa 2014

      3 Fig, J., "Inside the Painter's Studio" Viz and biz 2017

      4 Kim, H. Y., "Harold Rosenberg's Critique of the Modernist Criticism" 2009

      5 Robert S. N., "Critical Terms for Art History(Chung" Mijinsa 2015

      6 Brooks, P., "Body Work : Objects of Desire in Modern Narrative" Moonji 2000

      7 Jeong, Y. Y., "A Study of Correlational Expression through Overlapping Paintings : Focused on My Works" Kookmin University 2020

      8 Buchanan, I., "A Dictionary of Critical Theory" Jamobook 2017

      1 김희영, "자율성을 벗어난 추상: 랑시에르의 미학의 정치에 대한 고찰" 현대미술학회 15 (15): 41-77, 2011

      2 Ranciere, J., "The Future of the Image" Hyunsil Moonhwa 2014

      3 Fig, J., "Inside the Painter's Studio" Viz and biz 2017

      4 Kim, H. Y., "Harold Rosenberg's Critique of the Modernist Criticism" 2009

      5 Robert S. N., "Critical Terms for Art History(Chung" Mijinsa 2015

      6 Brooks, P., "Body Work : Objects of Desire in Modern Narrative" Moonji 2000

      7 Jeong, Y. Y., "A Study of Correlational Expression through Overlapping Paintings : Focused on My Works" Kookmin University 2020

      8 Buchanan, I., "A Dictionary of Critical Theory" Jamobook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