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고고학연 구에 있어서 표본조사 방법의 중요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0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고학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표본조사 방법의 중요성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표본조사 방법론은 한국의 제 학문 분야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왔고 실제 연구에 적...

      이 논문은 고고학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표본조사 방법의 중요성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표본조사 방법론은 한국의 제 학문 분야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왔고 실제 연구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일상생활에도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이어서 생소한 것만은 아니다.고고학 분야에서도 적지 않게 소개되었고 근래에는 시·발굴 현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고고학계에서 표본조사 방법을 심층적으로 다루거나 논의한 논저가 그다지 많은 편은 아니다.
      우리나라 고고학에서도 통계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고 사용하는 예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면 통계학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표본조사 방법에 관한 내용도 당연히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 적극적인 논의와 사용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통계학과 표본조사 방법을 고고학에 적용하는 그 자체가 고고학의 학문적 수준을 자동적으로 상승시켜 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한정된 고고학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수집된 자료를 표본조사 방법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면 새로운 연구성과가 도출될 수도 있고 고고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이런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고에서는 표본조사 방법과 관련된 기본적인 개념과 그 사용의 당위성에 관해서 고고학적 실례와 연계하여 서술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순철, "해방이후 현재까지의 경주 신라 고분 발굴조사"

      2 이기백, "한국사신론" 서울: 일조각 31-33, 1990

      3 최성락, "한국 고고학의 방법과 이론" 서울: 학연문화사 1998

      4 김승옥, "클라크와 분석고고학"

      5 김광웅, "방법론 강의" 서울: 박영사 360-, 1996

      6 김범철, "금강 중ㆍ하류역 송국리형 취락에 대한 가구고고학적 접근" 한국상고사학회 51 (51): 79-108, 2006

      7 최성락, "고고학적 자료의 통계적 분석" 서울: 민족문화사 17 : 40-75, 1987

      8 김승옥, "고고학적 자료의 분포와 기술: 히스토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27 : 7-26, 1998

      9 이선복, "고고학개론" 서울:이론과 실천 1988

      10 최성락, "고고학 입문:과거 문화를 어떻게 연구하는가?" 서울: 학연문화사 2005

      1 차순철, "해방이후 현재까지의 경주 신라 고분 발굴조사"

      2 이기백, "한국사신론" 서울: 일조각 31-33, 1990

      3 최성락, "한국 고고학의 방법과 이론" 서울: 학연문화사 1998

      4 김승옥, "클라크와 분석고고학"

      5 김광웅, "방법론 강의" 서울: 박영사 360-, 1996

      6 김범철, "금강 중ㆍ하류역 송국리형 취락에 대한 가구고고학적 접근" 한국상고사학회 51 (51): 79-108, 2006

      7 최성락, "고고학적 자료의 통계적 분석" 서울: 민족문화사 17 : 40-75, 1987

      8 김승옥, "고고학적 자료의 분포와 기술: 히스토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27 : 7-26, 1998

      9 이선복, "고고학개론" 서울:이론과 실천 1988

      10 최성락, "고고학 입문:과거 문화를 어떻게 연구하는가?" 서울: 학연문화사 2005

      11 김승옥, "계량적 분석법"

      12 "경주 금장중학교 신설부지 내 유적 발굴(시굴)조사 약보고서" 성림문화재연구원 2007

      13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주 경마장 예정부지 C-I 지구 발굴조사보고서(본문)" 대구: 매일원색 3-, 1999

      14 김승옥, "거치문 토기: 정치적 권위의 상징적 표상" 한국고고학회 36 : 101-146, 1997

      15 Flannery, "The Trouble with Regional Sampling"

      16 Thomas, "The Awful Truth about Statistics in Archaeology" 43 : 231-244, 1978

      17 Drennan, "Statistics for Archaeologists:A Commonsense Approach" New York: Springer 1996

      18 Mueller, "Sampling in Archaeology" Tucson: Th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79

      19 Benfer, "Sampling and Classification"

      20 Shennan, "Quantifying Archae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299-, 1988

      21 Doran, "Mathematics andCom puters in Archaeolog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56-57, 1975

      22 Plog, "Decision Making in Modern Surveys" 1 : 383-421, 1978

      23 Hill, "Broken K Pueblo: Patterns of Form and Function"

      24 Renfrew, "Archaeology: Theories, Methods, and Practice" New York: Thames and Hudson 67-, 1991

      25 Mayer-Oakes, "Archaeological Research Design: A Critique" Department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Manitoba Mimeograph 1965

      26 Watson, "Archaeological Explanation: The Scientific Method in Archeolog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4

      27 Clark, "Analytical Archaeology" London: Methuen 1968

      28 Yi, Seonbok, "A Consideration of Archaeological Sampling Design"

      29 Binford, "A Consideration of Archaeological Research Design" 29 : 425-441,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