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교육에서 디지털(Digital) 매체의 활용 방안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5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상에 쉽게 노출되어 있는 디지털 매체들을 활용하여 뉴미디어 미술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접할 수 있도록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적용하여, ...

      본 연구는 일상에 쉽게 노출되어 있는 디지털 매체들을 활용하여 뉴미디어 미술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접할 수 있도록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적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시대의 흐름에 걸맞은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마련하고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디지털 매체들이 확산되었고, 디지털 매체의 사용은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어 우리의 생활환경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예술 작품에 대한 미학적 기준과 패러다임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디지털화로 인하여 수많은 시각 정보 이미지들이 유포되고 복제되며 복제된 이미지는 복제의 복제를 거듭하며 원본의 개념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복제물이 실재를 대변하는 시뮬라크르 현상은 자연스레 스며들어 우리의 생활과 소비, 소통 방법마저 변화시켰다. 디지털화는 시뮬라크르를 예술의 새로운 영역으로 가능하게 만들어 기존의 제작방식, 소통, 감상 시스템에서 벗어난 뉴미디어 미술로 확장시켰다.
      뉴미디어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하나의 예술적 도구로써 많은 예술가들에게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미술의 흐름을 뉴미디어 아트라고 하며 웹아트, 컴퓨터 아트, 인터랙티브 아트 등으로 불리는 다양한 개념의 현대 미술이 등장함으로써 미술의 표현 범위가 확장되었다. 이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흐름 속에서 뉴미디어 미술의 비중이 커지고 있으나 정작 학교 현장에서는 첨단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에게 형식적인 교육만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뉴미디어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자들이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을 올바르게 인지하여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기회를 제공하고자 본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Ⅱ장에서는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와 현대미술에서의 시뮬라크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뉴미디어 미술의 개념, 특성 그리고 작가들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뉴미디어 미술교육의 의의, 필요성을 고찰한 후 중학교 3학년 미술 교과서에 나와 있는 뉴미디어 미술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뉴미디어 미술교육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의 시급함을 확인하였다. Ⅴ장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토대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에게 끼치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였다.
      뉴미디어 미술교육에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이 현대미술을 쉽게 인식하고 새로운 예술세계를 이해하며 시대의 흐름에 적응하는데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주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을 통해 미래의 주체적인 미디어 활용자로서 성장하는 데 발판을 마련해 줄 것이다. 또한 실생활과 직결된 미술교육으로써 보다 나은 교육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다. 본 프로그램이 앞으로의 미술교육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learning measures according to the stream of times for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by investigating and applying an education program so that they can fully understand and approach new media art 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learning measures according to the stream of times for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by investigating and applying an education program so that they can fully understand and approach new media art utilizing digital media that people are easily exposed to in daily life.
      With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various digital media are widespread in the modern society, and using them has become part of our daily life, making essential changes in our life environment as well as innovative changes in the aesthetic standard and paradigm for art works.
      Due to digitalization, numerous visual information images are distributed and reproduced, and reproduced images are reproduced again and again, losing the originals' concepts. The phenomenon of simulacre where copies represent the originals has naturally permeated into our life, consump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even transforming them. Digitalization has made simulacre a new area of art, expanding it to new media art out of the existing production methods, communications, and appreciation systems.
      As an artistic tool that can be easily accessed, new media are utilized by a number of artists. Such trend of modern art is called new media art, and the emergence of a variety of concepts of modern arts including web art, computer art, and interactive art has expanded the expression range of art.
      Although the new media art has grown i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flows, schools provide students living in this cutting-edge era only with formal educatio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new media art education, the researcher studied this program in order to help learners fully understand and properly utilize different visual images and provide them with the education opportunity.
      Chapter Ⅱ is based on the media theory by Marshall McLuhan and simulacre by Jean Baudrillar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simulacre from modern art, an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types, and artists of new media arts are theoretically investigated in chapter Ⅲ.
      Chapter Ⅳ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new media art education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new media art included in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developing a program where new media art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utilized was urgent.
      In chapter Ⅴ, an art education program using digital devices is developed based on such necessity, which was applied on the ground.
      As a result, this program was proved to have a variety of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for learners.
      The program utilizing digital media in new media art education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easily recognize modern art, understand the new art world, and adapt to the stream of times as well as provide a foothold for them to grow as independent media users in the future through the initiative and integrated education. Furthermore, as art education directly related to daily life, it will create better educational value. This program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방법과 내용 3
      • Ⅱ. 이론적 배경 4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방법과 내용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의 미디어(Media) 4
      • 2.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시뮬라크르(Simulacre) 7
      • 3. 현대미술과 시뮬라크르(Simulacre) 10
      • Ⅲ.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 17
      • 1.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의 개념 17
      • 2.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의 특성 23
      • 3.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 작가 31
      • Ⅳ.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 교육의 당위성 40
      • 1.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 교육의 의의 40
      • 2.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 교육의 필요성 44
      • 3. 중학교 교과서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 교육 현황 47
      • Ⅴ.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 교육 프로그램 52
      • 1.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 교육의 지도방안 52
      • 2. 본시 교수-학습과정안 54
      • 3. 교수-학습과정안의 적용 결과 및 기대 효과 74
      • (1) 교수-학습과정안 적용 결과 74
      • (2) 교수-학습과정안 기대 효과 85
      • (3) 뉴미디어 미술(New Media Art) 교육에 대한 미래 전망 86
      • Ⅵ. 결론 및 제언 89
      • 참고문헌 92
      • Abstract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