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 : 국어국문학 연구와 함께한 반교어문학회 30년 ; 고전시가 분야에 대한 회고와 전망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를 중심으로 =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Classical Verse Branch -focused on Hyangga, Koryeo-gayo, Sijo and Gas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70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반교어문학회는 1981년 학회가 창립된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30년간 국어학, 국문학의 제 분야에서 괄목한 연구 성과를 성립하였다. 반교어문학회의 학회지인 『반교어문연구』는 1988년 1...

      반교어문학회는 1981년 학회가 창립된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30년간 국어학, 국문학의 제 분야에서 괄목한 연구 성과를 성립하였다. 반교어문학회의 학회지인 『반교어문연구』는 1988년 1집 발간 이후 2011년 현재의 31집에 이르기까지 간단없이 지속적으로 발간됨으로써 국어국문학 분야의 중추적 학회지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 글은 『반교어문연구』에 수록된 고전시가 분야, 그 중에서도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 장르의 연구 성과를 조망하고 그를 바탕으로 향후 나아갈 점을 전망해 보고자 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ciety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has established eye-opening study results from many fields such a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or 30 years since it was founded in 1981.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Jo...

      The society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has established eye-opening study results from many fields such a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or 30 years since it was founded in 1981.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Journal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has been positioned a pivotal journal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y the continuous publication during the period from its first edition at 1988 to the pres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view of study results of the field of classical Korean poetry especially Hyangga, Koryeo-gayo, Sijo and Gasa included in Journal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Based on the view, I try to forecast its progressive poi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철중, "「서동요」의 신고찰-“夗乙抱遣”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반교어문학회 6 : 1995

      2 김동욱, "「관동별곡」, 「죽계별곡」과 안축의 가문학" 반교어문학회 1 : 1988

      3 박지선, "李世輔 애정관련 작품 진정성 문제와 표현기법" 반교어문학회 (25) : 149-171, 2008

      4 육민수, "朗原君 李偘의 시조 연구" 반교어문학회 (28) : 151-180, 2010

      5 최상은, "화전가를 통해 본18 · 19세기 남녀의 정서와 의식지향 —은일가사와의 비교를 곁들여—" 반교어문학회 (31) : 129-154, 2011

      6 육민수, "필사문화권에서 실현된 가창가사의 담론 특성-규방에서의 향유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16 : 2004

      7 성무경, "평시조(단시조)의 형식과 그 운용의 미학" 반교어문학회 (27) : 151-181, 2009

      8 이민홍, "퇴계시가의 품격 연구-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4 : 1992

      9 이상원, "죽하 김익의 단가6수와 그의 시가 향유" 반교어문학회 17 : 2004

      10 유효석, "주술적 향가와 밀교주언의 관계양상" 반교어문학회 2 : 1990

      1 윤철중, "「서동요」의 신고찰-“夗乙抱遣”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반교어문학회 6 : 1995

      2 김동욱, "「관동별곡」, 「죽계별곡」과 안축의 가문학" 반교어문학회 1 : 1988

      3 박지선, "李世輔 애정관련 작품 진정성 문제와 표현기법" 반교어문학회 (25) : 149-171, 2008

      4 육민수, "朗原君 李偘의 시조 연구" 반교어문학회 (28) : 151-180, 2010

      5 최상은, "화전가를 통해 본18 · 19세기 남녀의 정서와 의식지향 —은일가사와의 비교를 곁들여—" 반교어문학회 (31) : 129-154, 2011

      6 육민수, "필사문화권에서 실현된 가창가사의 담론 특성-규방에서의 향유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16 : 2004

      7 성무경, "평시조(단시조)의 형식과 그 운용의 미학" 반교어문학회 (27) : 151-181, 2009

      8 이민홍, "퇴계시가의 품격 연구-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4 : 1992

      9 이상원, "죽하 김익의 단가6수와 그의 시가 향유" 반교어문학회 17 : 2004

      10 유효석, "주술적 향가와 밀교주언의 관계양상" 반교어문학회 2 : 1990

      11 여기현, "조신의 『소문쇄록 』에 나타난 품격의식(1)" 반교어문학회 4 : 1992

      12 최상은, "조선후기 가사의 語調와 이념적 지향 -교훈가사, 현실비판가사, 개화가사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27) : 125-150, 2009

      13 신익철, "어우시의 형상화 특징" 반교어문학회 4 : 1992

      14 박해남, "신흠(申欽)의 시조 창작 배경과 작품 양상" 반교어문학회 (23) : 75-105, 2007

      15 김병국, "시조 품격론 서설" 반교어문학회 4 : 1992

      16 여기현, "시가 속 비둘기의 변용" 반교어문학회 (23) : 107-134, 2007

      17 여기현, "시가 속 ‘오리[鴨]’의 변용 —<만전춘>의 재해석을 위하여—" 반교어문학회 (25) : 93-117, 2008

      18 허남춘, "송강 시조의 미의식" 반교어문학회 10 : 1999

      19 최상은, "서경가사의 자연 형상화 양상과 작가의식" 반교어문학회 9 : 1998

      20 최재남, "민요계 향가의 구성 방식과 사랑의 표현 —<서동요>와 <헌화가>의 대비" 반교어문학회 (29) : 163-184, 2010

      21 최상은, "노계가사의 작품구조와 현실인식" 반교어문학회 1 : 1988

      22 육민수, "김득연 문학작품의 특성-시조 작품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17 : 2004

      23 이병찬, "고려가요의 자연 표상" 반교어문학회 (26) : 159-198, 2009

      24 여기현, "고려 속악가사의 형성과 재구(2)-<五冠山>ㆍ<定山>ㆍ<伐谷鳥>ㆍ<叢石亭>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18) : 5-41, 2005

      25 여기현, "강호인식의 한 양상" 반교어문학회 1 : 1988

      26 김은희, "가사의 가창방식에 대한 일고찰―조선후기 십이가사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20 (20): 181-217, 2006

      27 박영주, "西浦가 송강가사를 ‘我東之離騷’라고 한 것에 대하여" 반교어문학회 1 : 1988

      28 김학성, "宋純 時調의 美的 成就와 그 價値 —時調集『校本 歷代時調全書』의 訂正을 兼하여" 반교어문학회 (25) : 119-147, 2008

      29 성무경, "孤山 윤선도 시가의 歌集 수용 양상과 그 의미" 반교어문학회 (21) : 187-221, 2006

      30 이은성, "『시가요곡 』에 나타난 가곡, 시조 향유양상" 반교어문학회 2004

      31 성무경, "『금옥총부 』를 통해 본 “운애산방”의 풍류세계" 반교어문학회 13 : 2001

      32 최상은, "“연군” 가사의 짜임새와 미의식" 반교어문학회 5 : 1994

      33 육민수, "“계녀가”류 규방가사의 담화양상" 14 : 2002

      34 성무경, "“가사”와 “잡가”의 접점에 대한 일 고찰-<관등가>, <사친가>, <달거리>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9 : 1998

      35 김은희, "<한양가>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 반교어문학회 (26) : 279-307, 2009

      36 여기현, "<정과정>의 향유 양상과 ‘접동새’의 문학적 변용" 반교어문학회 (27) : 89-123, 2009

      37 최상은, "<일동장유가>와 사대부가사의 변모" 반교어문학회 1995

      38 허남춘, "<쌍화점>의 우물 용과 삿기광대" 반교어문학회 2 : 1990

      39 김은희, "<상사별곡> 연구-연행환경의 변화에 주목하여" 반교어문학회 14 : 2002

      40 육민수, "<목동문답가> 창작 시기 및 이본의 실현 양상" 반교어문학회 (26) : 199-231, 2009

      41 김은희, "<매화가>에 대한 일고찰" 반교어문학회 22 (22): 37-61, 2007

      42 김문태, "<도솔가>(유리왕대, 경덕왕대)와 서사문맥-상동성과 변이성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4 : 1992

      43 김은희, "<권주가>에 대한 일고찰 —노랫말 존재양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31) : 155-186, 2011

      44 김병국, "<고산구곡가>의 일 연구-정본을 위한 시론" 반교어문학회 2 : 1990

      45 송안나, "20세기 초 활자본 가집 『가곡선』의 편찬 특징과 육당의 시조 인식" 반교어문학회 (27) : 183-211, 2009

      46 강경호, "19세기 가사의 향유 관습과 이본 생성 -<노처녀가(2)>와 그 관련 작품을 통해 본 가사 향유의 한 양상" 반교어문학회 (18) : 43-81, 2005

      47 최상은, "18세기 시가의 정서와 현실인식 지향 —魏伯珪의 漢詩 · 時調 · 歌辭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24) : 53-77,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