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서 학교급식의 수산물 기호도 =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of the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58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학년, 어머니의 직장 유무 및 어머니의 교육 정도에 따른 학교급식의 수산물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를 하였으며, ...

      본 연구는 경기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학년, 어머니의 직장 유무 및 어머니의 교육 정도에 따른 학교급식의 수산물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급식에서 수산물의 기호도 조사에서 ‘좋아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조사 대상자의 47.2%, 그 다음 ‘보통이다’로 응답한 경우가 30.7%로 대부분 학생들이 수산물을 좋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별 조사에서 ‘좋아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4학년 62.1%, 5학년 36.7%, 6학년 42.2%로 4학년이 5학년과 6학년 학생보다 학교에서 제공되는 수산물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어머니의 직장 유무와 어머니의 교육 정도에 따른 조사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급식아동의 수산물 제공 횟수의 적절성 조사에서 ‘일주일에 1~2번 정도’가 44.9%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그 다음 ‘일주일에 3~4번 정도’라고 응답한 경우가 33.7%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에서 제공하는 수산물의 종류 중 갑각류(4.34)가 가장 기호도가 높은 수산물이었고, 그 다음이 연체류(4.21), 가공식품(4.11), 어류(4.09)의 순이었으며, 기호도가 가장 낮은 수산물은 젓갈류(3.65)로 조사되어 각 수산물의 종류에 대해 좋아하는 정도가 보통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학년별에 따른 학교급식에서 제공하는 수산물의 종류 중 어류(p<0.01)와 연체류(p<0.05)에 대해 좋아하는 정도는 4학년과 6학년 두 집단 간에 유의성을 보였고, 갑각류(p<0.01)는 6학년과 4, 5학년, 해조류(p<0.001), 가공식품(p<0.01), 건어물류(p<0.001)에서는 4학년과 5, 6학년 사이에 유의성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교육 정도에 따른 학교급식에서 제공하는 수산물의 종류 중 해조류에 대한 조사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좋아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교육 정도 고졸과 대학원졸 두 집단 간에 유의성이 나타났다(p<0.05). 학교급식에서 초등학생이 가장 좋아하는 수산물의 조리방법은 구이(40.6%), 그 다음 국이나 찌개(19.5%), 튀김(11.6%)과 회(11.6%)의 순으로 조사되었고, 가장 싫어하는 조리방법은 찜(2.6%)으로 조사되었다. 학년별 조사에서 구이(39.8%, 49.0%, 33.3%)와 튀김(9.7%, 15.3%, 9.8%)에서 5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하여 좋아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강정(1.9%, 4.1%, 15.7%)은 6학년이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회(14.6%, 9.2%, 10.8%)는 5학년이 응답한 비율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p<0.05), 어머니의 직장 유무와 어머니의 교육 정도에 따른 조사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수산물의 남기는 정도 조사에서 ‘전혀 남기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조사 대상자의 54.1%, 그 다음 ‘거의 남기지 않는다’로 응답한 경우가 22.4%로 대부분 학생들이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을 거의 남기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년별에 따라 ‘전혀 남기지 않는다’라고 응답한 학생이 5학년(68.4%)이 4학년(49.5%)과 6학년(45.1%)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끔 남긴다’라고 응답한 결과에서는 4학년(25.2%)과 6학년(31.4%)이 5학년(5.1%)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01), 어머니의 직장 유무와 어머니의 교육 정도에 따른 조사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급식아동들의 수산물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더 맛이 있으면 좋겠다’라고 응답한 학생이 39.9%, ‘생선의 종류가 다양했으면 좋겠다’가 20.1%, ‘요리방법이 다양했으면 좋겠다’가 18.5%, ‘조금 더 자주 먹고 싶다’가 6.9%, ‘냄새가 덜 났으면 좋겠다’가 6.6%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학교 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의 조리방법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다양한 수산물의 종류를 활용하여 학교급식으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3 male/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for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3 male/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for the preferenc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like (47.2%)’, ‘fair (30.7%)’, and ‘dislike (22.1%)’ were observed in that order (p<0.01). Concerning the appropriateness of seafood serving frequency, ‘1~2/week (44.9%)’, ‘3~4/week (33.7%)’, and ‘everyday (10.2%)’ were observed in that order. When the preference of favorite seafood was evaluated using a Likert scale (strongly like 5-points, strongly dislike 1-point), ‘crustacea (4.34)’, ‘mollusk (4.21)’, and ‘processed food (4.11)’ were observed in that order. In terms of cooking methods for seafood, 5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grilling’ and ‘frying’ seafood compared to others (p<0.05). As for the occurrence of seafood leftovers, 4th and 6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sometimes’ than 5th grade students (p<0.001). As for certain desires for seafood in school lunch menus, ‘improvement of taste (39.3%)’, ‘various kinds of seafood (20.1%)’, and ‘variable cooking methods (18.5%)’ were observed in that order.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ake of seafood, students should attempt to achieve proper intake though nutrition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순정, "혼자 또는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형태가 아동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관한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206-226, 2010

      2 조미연, "초등학교 급식의 수산물 이용실태 및 소비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139-150, 2003

      3 연미영,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성별과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태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307-322, 2008

      4 이경애, "어머니의 영양태도와 영양지식이 초등학생 자녀의 비만발생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7 (37): 464-478, 2004

      5 오승희, "어머니 취업유무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스트레스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498-506, 2010

      6 정나영, "서울 일부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영양지식, 식태도와 식행동"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55-66, 2009

      7 Park JK, "The status of school food service program and its improvement proposal in Korea" 23 : 213-219, 1990

      8 Park GY, "The pattern of family meal and nutrition intake of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in Incheon" Kookmin Uni. 2007

      9 M. Hansmedia, "The Surprising Power of Family Meals" 28-44, 2006

      10 Cho MY, "Study on seafood using frequency and con- sumption promotion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Yonsei Uni 2000

      1 성순정, "혼자 또는 온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형태가 아동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관한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전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206-226, 2010

      2 조미연, "초등학교 급식의 수산물 이용실태 및 소비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139-150, 2003

      3 연미영,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성별과 영양지식 수준에 따른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태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307-322, 2008

      4 이경애, "어머니의 영양태도와 영양지식이 초등학생 자녀의 비만발생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37 (37): 464-478, 2004

      5 오승희, "어머니 취업유무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스트레스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498-506, 2010

      6 정나영, "서울 일부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영양지식, 식태도와 식행동"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55-66, 2009

      7 Park JK, "The status of school food service program and its improvement proposal in Korea" 23 : 213-219, 1990

      8 Park GY, "The pattern of family meal and nutrition intake of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in Incheon" Kookmin Uni. 2007

      9 M. Hansmedia, "The Surprising Power of Family Meals" 28-44, 2006

      10 Cho MY, "Study on seafood using frequency and con- sumption promotion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Yonsei Uni 2000

      11 Kim OM, "Research of preference survey and improvement of intake for meats and fishes in school food service" Kongju Uni. 2003

      12 Kim SH,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Shinkwang Book Company 289-313, 1996

      13 Koo JO,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Hyoilbooks 270-300, 2006

      14 Lee YN,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with a school lunch program in socio-economically high apartment compound of Seoul" 25 : 644-652, 1995

      15 Lifshitz F, "Nutrition in adolescence" 22 : 673-683, 1993

      16 Lee HK,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seafood in Busan" Pukyong Uni. 2009

      17 Koo NS,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der meal service in Daejon" 3 : 440-453, 1998

      18 Lee JS, "Factors on the seafood preference and eating frequency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29 : 1162-1168, 2000

      19 Kim EK,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 related problems in Korean children" 6 : 905-920, 2005

      20 Kim JY., "Dietary assessment of the people eating alone" Myongji Uni. 2006

      21 Mo SM, "Community Nutrition" Kyomunsa 225-, 2001

      22 Sung CJ,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6 : 150-161, 2001

      23 Ku PJ, "A survey o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 cation" 15 : 201-213, 2000

      24 Lee SY, "A study on the sea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okpo" Mokpo Uni. 2008

      25 Kim SM,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 ception, preferences and consumption pattern of fish food products in Jeonbuk area" Kunsan Uni. 2008

      26 Oh JY, "A study on preference, intake frequency,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marine products wi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Kosin Uni. 2007

      27 Park MA, "A study of related risk factors of obesity for primary school children" 31 : 1158-1164, 1998

      28 Choi NO, "A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eat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the presence of other family members during mealtime" Sookmyung Women's Uni. 2001

      29 Lee MK., "A comparison the preference of foods vegetables and fish by cook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rural and urban in Kyoung-Ki area" Chung-Ang Uni. 2007

      30 Bak KB,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of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by school lunch program" 11 : 22-35,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