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물의 마음으로 학생들을 대하는 어느 도덕 교사의 초상 = Portrait of a Middle School Ethics Teacher who Treats Students with the Mind of Wat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도덕 교사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행복과 힘듦에 대하여 개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하여 탐구함으로써 교사 개인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도모하는 것이다. 우리는 20...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도덕 교사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행복과 힘듦에 대하여 개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하여 탐구함으로써 교사 개인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도모하는 것이다. 우리는 20년의 교직경력을 가진 중학교 도덕교사 한 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부터 2012년 2월 사이에 심층 면담을 4회 실시하였으며 생생한 단락을 포착하여 의미를 정교하게 부각시키는 작업을 통해 초상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질적 사례를 통해 초임 시절의 행복했던 2년을 거쳐 20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마음으로 다가가면서 진정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도덕 교사의 주관적 경험 및 교직 생활에서 느끼는 충족감과 힘듦에 관한 총체적인 양상을 고찰하였다. 고등학교 때 만난 두분의 국어 선생님의 모습을 빼닮은 하늘샘은 학생들에게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한 방울의 물처럼 서서히 스며들어 그들이 변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햇님같은 선생님이 되고자 노력하였다. 우리는 이 초상 사례에서 나타나는 고유하고 통합적인 모습을 통해 인간다움을 추구하면서 구도자의 길을 걷고 있는 도덕 교사의 행복과 힘듦의 본질적인 측면을 포착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교육에 던지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understand a middle school teacher`s life as a whole by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effort and inner struggles with which she wanted to be a better teacher for her students with the mind of water. A single moral-ethics t...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understand a middle school teacher`s life as a whole by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effort and inner struggles with which she wanted to be a better teacher for her students with the mind of water. A single moral-ethics teacher was selected and four in-depth interviews were arranged between Oct 2011 and Feb 2012. Several aspects such as motivation to become a teacher, her own ways of improving the relationships with her students, her inner struggles with which she tried to help them to live humanistically were explored and mapped into a timeline in order to grasp her major strands. We depicted her case by sympathetically following the first two years of her happy work with her students as a novice teacher, and her own ways of struggling with students with the mind of water since that time for about 20 years. Her overall picture was shaped by how she was both fulfilled and suffered as she began career. Having two Korean language teachers as role models when she met during her high school days, she wanted to become a sunshine-like teacher who helps the students to change gradually by not imposing her demands on them with the mind of water. We tried to see the essential aspects of her own feelings of happiness and sufferings as a teacher who walks in the path of a humanity-seeker depicted from this portrait and suggested implications of her case valuable to the teacher education in a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주, "초상화법으로 탐구한 중학교 교사의 정체성 및 비전에 관한 인물 사례" 과학교육연구소 53 (53): 127-142, 2014

      2 전영국, "초상화법에서 사용되는 심층면담에 관한 탐구: 동반자적 관계 형성과 주관적 요소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16 (16): 1-29, 2013

      3 조숙희,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 강사의 초상: 컴퓨터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149-171, 2013

      4 김영천,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49-76, 2013

      5 전영국,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초상화법 소개와 특징 고찰" 교육연구소 22 (22): 5-23, 2016

      6 차우규, "이상적인 도덕과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 한국윤리교육학회 (11) : 1-22, 2006

      7 전영국, "배려와 소통을 추구하는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5 (55): 187-200, 2016

      8 김정효, "도덕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활성화를위한 탐색" 6 (6): 97-117, 2003

      9 박영아, "도덕교육방법의 질적 변화에 대한 필요와 마음공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김영천,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연구동향과 예들"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79-105, 2004

      1 정현주, "초상화법으로 탐구한 중학교 교사의 정체성 및 비전에 관한 인물 사례" 과학교육연구소 53 (53): 127-142, 2014

      2 전영국, "초상화법에서 사용되는 심층면담에 관한 탐구: 동반자적 관계 형성과 주관적 요소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16 (16): 1-29, 2013

      3 조숙희,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 강사의 초상: 컴퓨터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149-171, 2013

      4 김영천, "질적 연구에서의 대안적 글쓰기 이론화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49-76, 2013

      5 전영국,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초상화법 소개와 특징 고찰" 교육연구소 22 (22): 5-23, 2016

      6 차우규, "이상적인 도덕과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 한국윤리교육학회 (11) : 1-22, 2006

      7 전영국, "배려와 소통을 추구하는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5 (55): 187-200, 2016

      8 김정효, "도덕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 활성화를위한 탐색" 6 (6): 97-117, 2003

      9 박영아, "도덕교육방법의 질적 변화에 대한 필요와 마음공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김영천,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연구동향과 예들"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79-105, 2004

      11 정현주, "교사로 산다는 것 : 중학교 교사의 행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서미옥, "교사교육에서 딜레마를 활용한 ‘도덕적 성찰’의 필요성"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1) : 99-120, 2013

      13 김병찬, "‘한국교원교육연구’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교원교육 분야 연구 동향 특징"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1-34, 2013

      14 Witz, K., "Understanding another person and Cooley’s principle of sympathetic introspection : Consciousness in the study of human life and experience II" 17 (17): 433-445, 2011

      15 Knowles, J. G., "Through preservice teachers’ eyes:Exploring field experiences through narrative inquiry" Merrill 1994

      16 Witz, K., "The participant as ally and essentialist portraiture" 12 : 246-268, 2006

      17 Huberman, M., "The lives of teachers" Teacher College Press 1993

      18 Clandinin, J., "Narrative inquiry: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2000

      19 Witz, K. G., "Consciousness in the study of human life and experience : "Higher aspects"and their nature" 16 (16): 397-409, 2010

      20 Goodwin, D., "A qualitative study of the inner growth of teachers involved in educational action research projects" University of Illinois 1999

      21 Kohl, H., "36 children" New American Library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6 1.3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