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Basic Literacy Education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8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총체적 언어 접근과 프레네 교...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총체적 언어 접근과 프레네 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지도 사례를 조사하였다. 먼저, 세종시 초등학교 1학년을 담임하고 있거나 담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에 대해 면담하였다. 그리고 해당 사례를 찾아 교사와 심층면담하고 1년간의 교육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은 발표 방법 익히기, 경험 이야기 나누기, 글로 쓰기, 따라 쓰기, 질문하기, 고쳐 쓰기, 출판하기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학생들의 경험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지도하며, 1년 동안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다. 결론: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초등학교 1학년 발달 단계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기초 문식성 지도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경험을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으로 구성하고, 통합적으로 지도하며, 초등학교 1학년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화, "한글문해 교육 내용"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8 : 147-165, 2018

      2 정훈, "프레네와 프레이리에 기초한 비판적 문해교육 방법론" 안암교육학회 21 (21): 279-301, 2015

      3 황성원, "프레네 교육학" 창지사 2016

      4 임소연, "프레네 교육이 초등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2016

      5 석동일,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이념적 및 실천적 본질 탐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19, 2007

      6 이재승, "총체적 언어교육에서 총체성의 의미" 17 : 39-58, 1997

      7 이승미, "초등학교 한글 해득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2 (32): 155-180, 2019

      8 김병수, "초등학교 국어과 통합적 수업 방안 연구 :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9 김윤옥,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4) : 43-66, 2017

      10 엄훈, "초기 문해력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3) : 83-109, 2017

      1 이경화, "한글문해 교육 내용"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8 : 147-165, 2018

      2 정훈, "프레네와 프레이리에 기초한 비판적 문해교육 방법론" 안암교육학회 21 (21): 279-301, 2015

      3 황성원, "프레네 교육학" 창지사 2016

      4 임소연, "프레네 교육이 초등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2016

      5 석동일,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이념적 및 실천적 본질 탐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19, 2007

      6 이재승, "총체적 언어교육에서 총체성의 의미" 17 : 39-58, 1997

      7 이승미, "초등학교 한글 해득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2 (32): 155-180, 2019

      8 김병수, "초등학교 국어과 통합적 수업 방안 연구 :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9 김윤옥,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4) : 43-66, 2017

      10 엄훈, "초기 문해력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3) : 83-109, 2017

      11 이경화,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2 : 59-72, 2015

      12 김윤옥,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교육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70) : 61-82, 2021

      13 이성은, "아동을 위한 총체적 언어교육:실체와 매체로서의 언어적 관점"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9

      14 최은지, "아동 대상 한국어 문식성 교육을 위한 총체적 언어 접근의 비판적 적용" 이중언어학회 (57) : 199-221, 2014

      15 Yin,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6

      16 노은희, "말하기와 쓰기의 통합에 대한 일고찰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말하기와 쓰기의 연계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8) : 77-110, 2009

      17 이향근, "남한·북한·연변의 기초 문식성 교육 내용 비교" 초등교육연구원 28 (28): 187-205, 2017

      18 서현석, "기초 문식성 관련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 유초연계교육의 관점에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71) : 133-159, 2021

      19 Edelsky, C., "Whole language what`s the difference?" A Division of Reed Publishing 1991

      20 Vaish, V., "Whole language versus code-based skills and interactional patterns in Singapore’s early literacy program" 1-17, 2014

      21 Goodman, K., "What’s whole in whole language" RDB Books 1986

      22 Snow, C. E., "Social sources of narrative skills at home and at school" 10 : 87-103, 1990

      23 Bruner, J., "Narratives from the crib" Harvard University Press 73-97, 1989

      24 Silver, L. D., "Linguistic and pictorial narratives in preschool children: An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of symbolic represen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2000

      25 Nelson, K., "Language in cognitive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6 Sivell, J, "Freinet pedagogy: Theory and practice" The Edwin Mellen Press 1994

      27 황정현, "21세기 사회와 초등국어교육의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9) : 561-58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