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 환자에서 상피하종양과 위장관기질종양의 예측인자 = Predictive Factors of Subepithelial Tumor and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in the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Subepithelial Lesions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 환자에서 상피하종양과 위장관기질종양의 예측인자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위장관 상피하병변에서 종양성 병변을 비종양성 병변으로부터 감별하는 것은 환자의 적절한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 환자에서 종양성 상피하병변을 ...

      목적: 위장관 상피하병변에서 종양성 병변을 비종양성 병변으로부터 감별하는 것은 환자의 적절한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 환자에서 종양성 상피하병변을 감별할 수 있는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에서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에 대해 EUS를 시행한 527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내시경적 또는 수술적 절제를 통하여 조직학적 확진이 가능했던 환자 84예를 선정하고, 종양 및 비종양성 상피하병변으로 분류하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84예의 상피하병변 중 상피하종양이 64예(76.2%), 비종양성 상피하병변은 20예(23.8%)였다. 상피하종양은 GIST (42.9%)와 평활근종(19.0%)이 가장 많았다. 성별(p=0.195), 병변의 크기(p=0.266), 에코상(p=0.051)은 상피하종양군과 비종양성병변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종양성 상피하병변군에 비하여 상피하종양군의 평균연령 (p=0.047), 호발연령대(p=0.047) 및 50세 이상 환자의 비율 (p=0.015)이 높았으며, 고유근층 기원(79.7%)이 많았다. (p=0.001). 상피하종양 중, GIST는 평활근종보다 환자의 평균연령이 높고(57.7세 vs. 47.0세, p=0.049), 50세 이상 (p=0.016), 종양의 위체부 위치(p<0.001), 고유근층 기원 (p=0.003)이 많았다. 다변량분석에서 환자의 연령(≥50세), 종양의 크기(≥30 mm), 고유근층기원이 점막하종양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고, 평활근종과 GIST의 감별인자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으로 50세 이상, 30 mm 이상, 고유근층 기원이 상피하종양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으며, 평활근종과 감별할 수 있는 GIST의 예측인자는 없으므로 고유근층 기원의 위 상피하종양은 GIST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치료 및 철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Differentiating subepithelial tumor (SET) from non-neoplastic gastrointestinal subepithelial lesion (SEL) and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from leiomyoma are very important for proper ma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

      Background/Aims: Differentiating subepithelial tumor (SET) from non-neoplastic gastrointestinal subepithelial lesion (SEL) and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from leiomyoma are very important for proper ma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actors that could predict the presence of SET and GIST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UGI) SELs. Methods: A total of 527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UGI SELs endosonographically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June 2013. Among these patients, histologic diagnosis was made in 84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by retrospectivel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Variables that could differentiate neoplastic from non-neoplastic SELs and GIST from leiomyoma were analyzed. Results: Among 84 patients with SELs, 64 (76.2%) had SETs including GIST (42.9%) and leiomyoma (19.0%). The patients` mean age (p=0.047), peak age distribution (p=0.047), proportions of patient ≥50 years (p=0.015), and number of proper muscle-originated lesions (p=0.001) were higher in neoplastic than non-neoplastic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0.195), size (p=0.266) and echogenicity (p=0.051) of the lesions. Older age (57.7 vs. 47.0 years, p=0.049), age ≥50 years (p=0.016), location in gastric body (p<0.001), and proper muscle origin (p=0.003)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GIST compared to leiomyom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tients` age ≥50 years, size ≥30 mm, and proper muscle-origin of lesion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SET; however, there were no predictive factors that could differentiate GIST from leiomyoma.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SEL, the possibility of having SET should be considered for patients ≥50 years with UGI SELs ≥30 mm that arise from the proper muscle. Thorough monitoring and aggressive management is warranted for those with gastric muscular SET since factors predictive of GIST are lacking. (Korean J Gastroenterol 2014;64:189-1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