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반 피부 관리 서비스가 여성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Influence of General Skin Care Service on the Quality of Elderly Women's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53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reporting that it’s possible for elderly women to change the quality of their life through a positive life change on the strength of beauty treatment activity, this study surveyed the influence of general ski...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reporting that it’s possible for elderly women to change the quality of their life through a positive life change on the strength of beauty treatment activity, this study surveyed the influence of general skin management behavior on elderly women’s positive health behavior and the quality of their life, not conforming to taking care of one’s features simply for appearance management.
      To this end,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above matter targeting the 70 elderly women living at Dong-gu area, Daegu Metropolitan City as research subjects from July 1 until Aug. 30, 2017. Also, this study set the 20 elderly women, who wished to receive skin care service,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50 persons as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conducted 10-time skin care services for, and did a surve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20 persons, and just did a survey of the control group of 50 pers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d an influence on the elderly women’s economic condition, which also had an influence on their health behavior, and even skin health behavior.
      In addition, the health-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heir mood state, and even sleep behavior, causing an influence on skin health behavior as well.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elderly women’s skin condi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ir mood state such as sleeping, self-aware skin health condition, etc. through the 10-time skin care services for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hopes that realistic social welfare support could be put into practice by making an approach to general skin management as the form of welfare benefits so that it can have an influence on elderly women’s positive health behavior and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the change of the quality of their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3
      • 3. 연구모형 4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3
      • 3. 연구모형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노인피부 5
      • 2. 여성 노인의 특성 6
      • 1) 신체적 특징 6
      • 2) 심리적 특징 7
      • 3) 사회적 특징 10
      • 3. 피부 관리 서비스 14
      • 1) 피부 관리 서비스 14
      • 2) 일반적 피부 관리 16
      • (1) 클렌징(cleansing) 16
      • (2) 딥 클렌징(Deep cleansing) 16
      • (3) 1차 팩(pack) 16
      • (4) 매뉴얼테크닉(Manual Technique) 16
      • (5) 2차 마스크(mask) 17
      • (6) 마무리 관리 17
      • 3) 여성노인의 피부 관리 서비스 18
      • 4) 측정, 분석기기 19
      • Ⅲ. 연구방법 21
      • 1. 조사대상 및 기간 21
      • 2. 조사방법 21
      • 1) 설문조사 21
      • (1) 실험군 21
      • (2) 대조군 22
      • 2) 피부 관리 22
      • (1) 클렌징(cleansing) 22
      • (2) 딥 클렌징(Deep cleansing) 23
      • (3) 1차 팩(pack) 23
      • (4) 매뉴얼테크닉(Manual Technique) 23
      • (5) 2차 마스크(mask) 23
      • (6) 마무리 23
      • 3. 자료 분석 24
      • 1) 자료 분석의 신뢰도 24
      • 2) 피부측정 25
      • 3) 설문조사 26
      •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6
      • (2) 건강행태 26
      • (3) 피부건강행태 26
      • (4) 기분상태 26
      • (5) 수면설문 26
      • (6) 피부상태 27
      • Ⅳ. 연구 결과 28
      • 1.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화 28
      •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8
      • 2) 연구내용 기술통계 30
      • 3)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기분 상태 변화 31
      • 4)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수면상태 변화 33
      • 5)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피부 건강 행태 변화 34
      • 2. 조사대상자의 건강 행태에 따른 변화 35
      • 1) 건강 행태적 특성변화 35
      • 2) 건강 행태에 따른 기분 상태 변화 37
      • 3) 건강 행태에 따른 수면 행태 변화 39
      • 4) 건강 행태에 따른 피부 건강 행태 변화 41
      • 3. 상태 분석 43
      • 1) 연구내용과 조사 대상자 간(대조군, 실험군) 차이 43
      • 2) 실험군의 관리 전후 연구내용 45
      • 3) 상관관계 49
      • 4) 회귀분석 50
      • 4. 피부 관리 분석 51
      • 1) 실험군 피부 기술통계 51
      • (1) 피부상태 51
      • (2) 산성도 53
      • 5. 고찰 56
      • Ⅴ. 결론 및 제언 59
      • 1. 결론 59
      • 2. 제언 60
      • 참고 문헌 62
      • 부록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