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교 음악-문학 통합수업 지도안 연구 :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44285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2024.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6.6467 판사항(5)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high school music and literature: focusing on the musical The Phantom of the Opera

      • 형태사항

        vii, 90 p. : 삽화, 도표 ; 27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지은
        권말부록: 1. 1차시 수업 활동지, 2. 이야기 퍼즐 맞추기, 3. 음악 퍼즐 맞추기. 외
        참고문헌: p. 77-79

      • UCI식별코드

        I804:21008-200000723293

      • 소장기관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등학교 음악-문학 통합수업 지도안 연구 -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전공 김형기 지도교수 최지은 음악은 역사, 사회, 문학, 미술 등 여러 맥락들이 상호작용하며 ...

      고등학교 음악-문학 통합수업 지도안 연구 -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전공 김형기 지도교수 최지은 음악은 역사, 사회, 문학, 미술 등 여러 맥락들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진 예술로 이러한 학문들을 함께 고려하는 통합교과적인 접근을 취할 때 그 교 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과 밀접한 관계 를 맺는 문학과의 통합수업을 위한 지도안을 개발하여 음악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예술에 대한 폭넓은 안목을 갖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교육의 개 념과 유형을 문헌 연구를 통해 찾아보고, 제재곡과 관련하여 뮤지컬과 그 음악적 구조, 고딕소설과 그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음악-문학 통합수업 설 계를 위한 준비 작업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문학작품, 특히 고딕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뮤지컬 <오페라의 유 령>을 제재곡으로 선정한 후 지도안에 포함할 음악적 요소와 문학적 요소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포가티의 통합유형 중 계열형과 통합형을 선정하고, KDB 수업 설계 모형을 일부 적용하여 총 3차시의 통합단원을 구성하고 이 에 대한 수업 계획안을 마련하였다. 차시별 수업지도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시는 ‘음악, 문학을 비추다’ 라는 단원으로 소설의 구조와 뮤지컬 음악의 구조를 병렬적으로 연결하여 스토리텔링 속에 뮤지컬 넘버를 삽입하는 활동을 하였다. 2차시는 ‘음악-문학을 품다’라는 단원으로 음악 속의 문학이자 문학 속의 음악적 장치인 가사의 각운(rhyme)에 대해 살펴보고 제재곡 ‘오페라의 유 령’(The Phantom of the Opera)의 감상, 가창 및 간단한 창작활동으로 전개하였다. 3차시는 ‘음악-문학을 그리다’라는 단원으로 표제음악적인 관점에서 뮤지 컬이 어떻게 고딕소설의 특징들을 음악적으로 또는 무대예술적으로 구현하 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관련한 창작활동으로 연계하는 수업지도안을 제시하 였다. 또 차시별 심화 주제 토론을 포함하여 인성적 측면, 즉 학생들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앞으로도 이러한 통합교과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수업 현장 을 풍부하게 하는 가운데 학생들의 지식, 기능, 인성이 조화롭게 발달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esson plan of high school music-literature integrated curriculum in order to help enrich learners’ musical experiences and so to broaden their artistic appreciation. This approach is essential and highly feasible beca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esson plan of high school music-literature integrated curriculum in order to help enrich learners’ musical experiences and so to broaden their artistic appreciation. This approach is essential and highly feasible because music is an art which interacts with various other fields, say, history, literature, art, social studies, and etc., and music education can attain its goal more easily by integrating those fields.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concepts and types of integrated curriculum, the musical structure of the genre of musical and the concepts and meanings of Gothic literature. Next, it analyzes high school music textbooks of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hooses as a teaching material The Phantom of the Opera, which is the musical based on a Gothic novel, and then extracts from it musical and literary elements to be included in the lesson plan. Afterwards, it adopts the sequenced model and the integrated model of integration from Forgaty’s integrated curriculum(1992) and selectively applies the KDB’s instruction design model(2004) to organize three integrated units for three sessions.
      The first session has the title “Music MIRRORS Literature”and attempts to connect in parallel the structure of novel and the musical components of musical, encouraging learners to insert musical numbers into storytelling.
      The second session, under the title of “Music EMBRACES Literature” examines the “rhyme” of lyrics, which is both the literature in music and the musical device in literature, and unfolds the activities of appreciation and singing of the main theme song, “The Phantom of the Opera”.
      The third session titled with “Music DRAWS Literature” reviews how the musical embodies the traits of the original Gothic novel musically and in terms of the performing arts as well. In addition, each session presents an advanced discussion topic that will help build learners’ character or “core competences
      Hopefully, this study and further studies of integrated curriculum of this kind will enrich learner’s classroom experiences and contribute to the harmonious growth of their “knowing, doing and be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3. 선행연구 고찰 3
      • II. 이론적 배경 7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 3. 선행연구 고찰 3
      • II. 이론적 배경 7
      • 1. 통합교육의 이해 7
      • 2. 뮤지컬의 이해 18
      • 3. 고딕문학의 이해 22
      • III. 음악-문학 통합수업 설계 26
      • 1. 제재곡 선정 26
      • 2. 제재곡 분석 34
      • 3. 음악-문학 통합수업 설계 39
      • IV. 음악-문학 통합수업 지도안 44
      • 1. 1차시 음악-문학 통합수업 지도안 44
      • 2. 2차시 음악-문학 통합수업 지도안 53
      • 3. 3차시 음악-문학 통합수업 지도안 65
      • V. 결론 75
      • 참고문헌 77
      • 부 록 80
      • Abstract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