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대륙붕 VI-1광구 고래 II지역의 3D탄성파 자료해석 = 3D Seismic Data Interpretation of the Gorse II Area, Block VI-1, Offshore Southeast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25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지역인 고래 II지역은 한반도 동남쪽 육지에 근접해 있으며 울릉분지(쓰시마분지)의 서남부에 위치한다. 동지역에 대한 3D탐사는 2D탐사에 의해 기확인된 구조들의 정밀평가를 목적으로 ...

      연구지역인 고래 II지역은 한반도 동남쪽 육지에 근접해 있으며 울릉분지(쓰시마분지)의 서남부에 위치한다. 동지역에 대한 3D탐사는 2D탐사에 의해 기확인된 구조들의 정밀평가를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동작업의 일환으로 울릉분지의 층서 및 구조의 정밀분석이 시행되었다. 동지역은 기반암이 얕고 울릉분지의 구조운동이 모두 영향을 미친 지역으로 고해상도의 기반암지역 자료를 토대로 기반암을 포함하는 구조운동 및 층서와의 상관관계가 분석되었다. 3D 탄성파 자료 해석결과, 본 지역에는 조구조운동과 성인적 연관을 가진 8개의 건층면이 관찰되고 있다. 연구지역에서 관찰되는 지질구조는 분지형성초기에 형성된 블록단층과 후기 마이오세 스러스트 및 플라이오세 렌치단층 등 세 종류의 단층이 관찰되며, 울룽곡분으로 불리는 완만한 향사가 발달되어 있다. 본 지역에서 상기 지질 구조와 관련된 퇴적 시퀀스로는 음향 기반암, 열개동시성 시퀀스(시퀀스 $A_1, A_2$), 후열개 시퀀스 (시퀀스 $B_1{\~}B_3$),횡압력 동시성 시퀀스 (시퀀스 C) ,후횡압력 시퀀스 (시퀀스 D)등이 인지되었다. 각 시퀀스에 대해 구조도, 등시선도 등이 작성되어 상분석, 퇴적환경 해석작업이 이루어 졌다. 조구조운동 및 퇴적물 공급량에 따른 상대 해수면 변화와 관련하여 발달한 본 지역 시퀀스의 해석 결과, 울릉분지는 여러 형태의 조구조운동 및 퇴적물공급에의해 형성된 복합적인 분지의 층서 및 구조 양상을 나타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rae II area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and corresponds to the Ulleung Trough. The survey of 3D seismic data in this area was performed to delineate the structural leads confirmed by the previous 2D seism...

      The Gorae II area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and corresponds to the Ulleung Trough. The survey of 3D seismic data in this area was performed to delineate the structural leads confirmed by the previous 2D seismic data. As a part of 3D interpretation, basement related structural movem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tratigraphy were studied. The study shows that eight sequences were identified which are genetically related to the tectonics and sediment supply in this area. The geologic structures characterizing the study area consist of : (1) block faults developed in the early stage of basin opening, (2) late Miocene thrusts, and (3) Pliocene wrench faults. The eight sequences consist of pre-rift (acoustic basement), syn-rift (Sequence $A_1, A_2$), post-rift (Sequence $B_1{\~}B_3$), syn-compressional sequence (Sequence C), and post-compressional sequence(Sequence D) from oldest to youngest. The time structure and isochron maps were constructed for each sequence and also used in seismic facie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sedimentary environment. The interpretation results reveal that the relative sea level changes caused by several stages of tectonic movements and sediment supply control the stratal and structural geometry of Ulleung basi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