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과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에 따른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82189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62.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Perceived Social Discrimination and Social Adjustment by the Mental disorder : The Comparative Study by Presence and non-presence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 형태사항

        vi,97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신은경
        참고문헌 : 82-85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은 의료재활중심모델에서 정신사회재활모델로의 패러다임을 보여주는 현상중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들은 정신 병리적 차원에서 집단화된 치...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은 의료재활중심모델에서 정신사회재활모델로의 패러다임을 보여주는 현상중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들은 정신 병리적 차원에서 집단화된 치료프로그램이 그 주류를 이루어 왔지만,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다양한 재활치료를 통하여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고 사회에 복귀시켜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 정신사회재활모델에 입각한 보편적 정신보건 서비스의 정책적인 실천방향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정신사회재활모델에 입각하여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과 사회적응에 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의 세 가지 차원에서 영향력을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있는 서울과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없는 충남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3월 29일부터 4월 30일까지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서울의 정신장애인 150명과 정신보건센터와 정신과 외래를 이용하는 충청남도의 정신장애인 1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전체의 결과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최종학력만이, 임상적 특성에서는 입원횟수만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있는 서울과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없는 충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서는 회귀모형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에 대한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 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합훈련시설 유·무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지만,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있어서는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있는 서울이,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이 없는 충남보다 사회적응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내용을 정리해 보면, 정신장애인의 인구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라 전체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학력이 높을수록, 입원횟수가 낮을수록 사회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로 나눈 서울, 충남지역의 정신장애인 모두가 차별을 지각할수록 사회적응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에 따라 지각하는 차별은 차이가 없지만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 유·무에 따라 사회적응도는 달라진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사회재활모델 프로그램 서비스를 실천하는 종합훈련 사회복귀시설의 사회적응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작업으로써, 정신사회재활모델에 입각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성을 밝혀 정신장애인의 사회복지 실천 전략에 적극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adjustment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s one of phenomena which has been a paradigm shift from medical rehabilitation model to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Even though psychologically designed collectivized treatment programs hav...

      Social adjustment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s one of phenomena which has been a paradigm shift from medical rehabilitation model to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Even though psychologically designed collectivized treatment programs have been the mainstreams of local mental health institutions so far, general mental health services based on mental rehabilitation model designed for social integration by restoring social function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nd returning them to society through variou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in local community should be the policy line.

      In this study,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from Seoul where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located and Chungnam where such facilities didn't exist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influences from the three dimensional points of view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discrimination perceived by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on the basis of mental rehabilitation model.

      To achieve this, the questionnaires designed for 150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were using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Seoul, and 150 mentally handicapped people who were outpatients of local mental health center and psychiatrists in Chungcheongnam-do have been used as analytic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only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proved to have negative (-) influences as shown in the total result which analyzed the impacts of social discrimination on 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econdly, regression model was not meaningful in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influences of social discrimination resulted from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n 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cases of Seoul where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located and Chungnam where such facilities didn't exist.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didn't make any difference in terms of influences of social discrimination on 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hird, the presence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didn'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analysis of social discrimination perceived by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however, in terms of social adjustment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Seoul, where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located, displayed higher social adjustment level compared with Chungnam where such facilities didn't exist.

      In conclusion, the mentally handicapped people showed higher degree of social adjustment, if they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less number of hospitalization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more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divided into Seoul where integrated training facilities were located and Chungnam where such facilities didn't exist, were consciously aware of social discrimination, the lower degree of social adjustment they got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however, the presence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ffected the degree of social adjustment.

      The significance of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a task for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composite train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hich practic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program services for social adjustment through active suggestion of practical strategies, proving the degree of social adjustment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based on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mod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정신장애인의 개념 및 특징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정신장애인의 개념 및 특징 4
      • 1) 정신장애 4
      • 2) 정신장애인 5
      • 3) 정신장애인의 특징 6
      • 2. 사회적 차별 7
      • 1) 사회적 차별의 개념 7
      • 2)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차별 8
      • 3. 사회적응 9
      • 1) 사회적응의 개념 9
      • 2)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 10
      • 3) 사회재활모델에서 바라본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 12
      • 4. 사회복귀시설의 개념 14
      • 1) 사회복귀시설의 개념과 필요성 14
      • 2) 지역사회정신보건과 사회복귀시설 16
      • 3) 정신보건법과 사회복귀시설 17
      • 5. 선행연구의 고찰 18
      • 1) 정신장애인의 차별에 관한 선행연구 18
      • 2)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관한 선행연구 20
      • Ⅲ. 연구방법 22
      • 1.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22
      • 1) 연구가설 22
      • 2) 연구모형 23
      • 2. 주요개념의 조작적 정의 24
      • 1) 종속변수 24
      • 2) 독립변수 28
      •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2
      • 4. 연구자료 분석방법 33
      • Ⅳ. 연구결과 34
      •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4
      •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 34
      • 2) 연구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40
      • 2. 변수에 관한 기술통계 43
      • 1) 사회적 차별에 관한 기술통계 43
      • 2) 사회적응에 관한 기술통계 46
      • 3.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과 회적응의 상관관계 50
      • 4.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차별에 대한 지역별 분석 51
      • 5. 사회적응에 대한 지역별 분석 52
      • 6.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53
      • 1)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전체) 53
      • 2)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서울) 59
      • 3)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차별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충남) 65
      • Ⅴ. 결론 71
      • 1. 연구결과 요약 71
      • 2. 논의 74
      • 3. 사회 복지적 함의 78
      • 4.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8
      • 참고문헌 82
      • 부 록 86
      • 영문요약 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