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산처리를 이용한 개싸리 종자의 물리적 휴면 타파 = Breaking Physical Dormancy with Sulfuric Acid in Seeds of Lespedeza tomentosa (Thunb.) Siebold ex Maxi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04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spedeza species are mainly used for wildlife food and cover and for erosion control. The germination of these species can be enhanced after a fire occurrence in forest, which is known as fire-activated seeds to germinate. While the heat treatment co...

      Lespedeza species are mainly used for wildlife food and cover and for erosion control. The germination of these species can be enhanced after a fire occurrence in forest, which is known as fire-activated seeds to germinate. While the heat treatment could break seed dormancy of Lespedeza, its germination rate was quite low. We investigated that chemical scarification could promote germination of L. tomentosa. Seeds were soaked in 100% sulfuric acid (H2SO4) for 0, 1, 3, 6, 12, 24, 48, 96, 192, and 384 min, and then washed in distilled water for 24 h. Very few seeds were germinated in control (H2SO4 for 0 min). More than 90% of seeds were germinated in H2SO4 for 24, 48, and 92 min. However, some damage was observed in roots and cotyledons of seedling dipped in H2SO4 for a long time. To search the optimal soaking time in H2SO4 without defects, seeds scarified in H2SO4 for 30, 60, 90, 120, 150, 180, and 300 min were sown the commercial soil medium. Seeds treated with H2SO4 for 90 min and 150 min emerged by about 92% and 84%, respectively. Therefore, H2SO4 treatment could break the seed dormancy of Lespedeza species, and especially in case of L. tomentosa the optimal treatment time in sulfuric acid was one to two hours. Germination of L. tomentosa began promptly following the scarification and was completed within about one month, indicating that seeds has no physiological dormancy, just has physical dormancy.
      Key words - Fabaceae, Germination, Germination uniformity, Scarification, Seedling emerg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싸리속(Lespedeza)식물은 가축사료, 제방 녹화용 등으로 활용되는 자원식물이다. 이들 종자는 산지의 화재 이후에 발아, 출현하는 fire species로 알려져 있다. 선행연구에서 이런 점을 착안하여 ...

      싸리속(Lespedeza)식물은 가축사료, 제방 녹화용 등으로 활용되는 자원식물이다. 이들 종자는 산지의 화재 이후에 발아, 출현하는 fire species로 알려져 있다. 선행연구에서 이런 점을 착안하여 인위적으로 열을 가했을 때 발아가 되었으나 발아율이 낮고 처리가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싸리 종자를 황산처리하여 화학적으로 종피처리하여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싸리 종자를 98% 황산에 0, 1, 3, 6, 12, 24, 48, 96, 192, 384분 동안 침지시키고 흐르는 물에 24시간 동안씻었다. 황산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의 경우 거의 발아가 되지않았지만, 황산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싸리의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황산 24, 48, 92분 처리에서 90% 이상 발아가 되었다. 그러나 장기간 황산처리시 발아된 유근에 황산피해가 관찰되었다. 기외 실험에서 황산처리 후 건전묘 출현을 알아보기 위해 황산 30, 60, 90, 120, 150, 180, 300분을 처리한 원예상토가충진된 트레이에 파종하고 비닐온실에서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황산 90분, 150분 처리에서 발아율은 각각 92%, 84%였으나 이보다 더 긴 기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출현율이 떨어졌다. 따라서개싸리의 발아를 위한 황산 최적시간은 1~2시간으로 판단된다.
      개싸리는 종피처리 이후 바로 발아가 시작되어 대부분 1달 이내에 발아가 완료되었으며, 이는 개싸리 종자는 생리적 휴면은 없는 물리적 휴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현, "하천 제방 비탈면 녹화용 자생 지피식물의 종자발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5 (15): 103-115, 2012

      2 최충호, "열탕처리 시간이 자귀나무 종자의수분 흡수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 20 (20): 267-271, 2007

      3 강진호,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약용작물 종자처리의 실용성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328-341, 2004

      4 Davison, V. E., "Wildlife values of the lespedezas" 9 : 1-9, 1945

      5 Henson, P. R., "The lespedezas" 9 : 113-157, 1957

      6 Coolbear, P.,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pre-sowing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performance and membrane integrity of artificially aged tomato seeds" 35 : 1609-1617, 1984

      7 Han, Y. C., "The effect of different periods of seed storage on germination of genus Lespedeza" 31 : 30-36, 1976

      8 Han, Y. C., "The cuttings of the genus Lespedeza" 20 : 45-50, 1973

      9 Allen, O. N., "The Leguminosae" Univ. Wisconsin Press, Madison & Macmillan Publishers 1981

      10 Suh, H. M., "Studies on seed treatments of pelletized seeds for direct seeding" University of Konkuk 2004

      1 조용현, "하천 제방 비탈면 녹화용 자생 지피식물의 종자발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5 (15): 103-115, 2012

      2 최충호, "열탕처리 시간이 자귀나무 종자의수분 흡수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 20 (20): 267-271, 2007

      3 강진호,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약용작물 종자처리의 실용성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328-341, 2004

      4 Davison, V. E., "Wildlife values of the lespedezas" 9 : 1-9, 1945

      5 Henson, P. R., "The lespedezas" 9 : 113-157, 1957

      6 Coolbear, P.,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pre-sowing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performance and membrane integrity of artificially aged tomato seeds" 35 : 1609-1617, 1984

      7 Han, Y. C., "The effect of different periods of seed storage on germination of genus Lespedeza" 31 : 30-36, 1976

      8 Han, Y. C., "The cuttings of the genus Lespedeza" 20 : 45-50, 1973

      9 Allen, O. N., "The Leguminosae" Univ. Wisconsin Press, Madison & Macmillan Publishers 1981

      10 Suh, H. M., "Studies on seed treatments of pelletized seeds for direct seeding" University of Konkuk 2004

      11 Vogel, W., "Seeds of Woody Plants in the United States" USDA Forest Service 488-490, 1974

      12 Baskin, C. C., "Seeds : ecology, biogeography, and, evolution of dormancy and germination" Academic Press 2014

      13 Gabrielson, F., "Seed size influence on germination and plant growth of Kobe lespedeza and other species used for surface mine revegetation" 1 : 271-281, 1982

      14 Geneve, R. L., "Seed dormancy in eastern redbud(Cercis canadensis)" 116 : 85-88, 1991

      15 Bradford, K. J., "Seed Development, Dormancy and Germination" Blackwell Publishing 2007

      16 Edwards, T. I., "Relations of germinating soy beans to temperature and length of incubation time" 9 : 1-30, 1934

      17 Owsley, C., "Registration of ‘Amquail’thunberg Lespedeza" 29 : 238-238, 1989

      18 Venier, P., "Physical dormancy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seeds of five Acacia species(Fabaceae)from xerophytic forests in central Argentina. Flora-Morphology, Distribution" 207 : 39-46, 2012

      19 Jeon, G. S., "Optimal amount and mixture ratio of seeding of the exotic and native plants for slope revegetation(II)" 2 : 33-42, 1999

      20 Crider, F. J., "Natob-a new bush Lespedeza for soil conservation" USDA 1952

      21 Clewell, A. F., "Native north American species of Lespedeza(Leguminosae)" 68 : 359-405, 1966

      22 Baskin, C. C., "Mistakes in germination ecology and how to avoid them" 16 : 165-168, 2006

      23 Davison, V. E., "Lespedezas for quail and good land use" USDA Soil Conservation Service 373 : 10-, 1954

      24 Martin, R. E., "Germination response of legume seeds subjected to moist and dry heat" 56 : 1441-1445, 1975

      25 Lee, Y. N.,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2002

      26 Coolbear, P., "Effects of a low-temperature pre-sowing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of tomato seed under temperature and osmotic stress" 44 : 43-54, 1990

      27 Stoddard, H. L., "Bobwhite quail; its habits, preservation and increase" Charles Scribner’s Sons 1936

      28 Li, X., "Anatomy of two mechanisms of breaking physical dormancy by experimental treatments in seeds of two North American Rhus species(Anacardiaceae)" 86 : 1505-1511,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7 1.15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