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봄 · 여름철 대기 중 미세먼지와 빗물 수질 상관성 분석 =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and Rainwater Quality During Spring and Summer of 202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42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봄철과 여름철 대기 중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 농도 및 빗물 수질을 정량화하고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계절(봄, 여름) 특성에 따른 대기 중 PM 농도가 빗물 ...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봄철과 여름철 대기 중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 농도 및 빗물 수질을 정량화하고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계절(봄, 여름) 특성에 따른 대기 중 PM 농도가 빗물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기간(2020년 3월-8월)동안 기상청 AWS (automatic weather system)에서 측정된 대기 중 PM 농도와 총 68번의 강우 특성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68번의 강우 이벤트 중 13회 강우를 대상으로 부산 부경대학교 캠퍼스에 집수장치를 설치하여 총 216개의 빗물 샘플을 수집하였다. 빗물의 pH와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는 실시간 측정되었으며, 빗물 내 양이온(Na<sup>+</sup>, Mg<sup>2+</sup>, K<sup>+</sup>, Ca<sup>2+</sup>, and NH<sup>4+</sup>) 및 음이온(Cl<sup>-</sup>, NO<sup>3-</sup>, and SO<sub>4</sub><sup>2-</sup>)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체 제작한 미세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강우 전후로 대기 중 PM<sub>10</sub>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과 피어슨 상관분석(Pe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대기 중 PM<sub>10</sub> 농도와 빗물 수질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부산지역의 일평균 대기 중 PM 농도 및 강우 특성은 계절적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대기 중 PM<sub>10</sub> 농도와 빗물 수질간 상관성 또한 상이하게 나타났다. 봄철의 경우, 일평균 대기 중 PM<sub>10</sub> (34.11 μg/㎥) 및 PM<sub>2.5</sub> (19.23 μg/㎥)의 평균 농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일평균 누적 강우량 및 강우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대기 중 PM<sub>10</sub> 농도는 빗물 수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기 중 PM<sub>10</sub> 농도는 pH (r = -0.84)는 감소시키고 EC (r = 0.95) 및 수용성 음이온(r = 0.99) 농도는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름철의 경우에는 일평균 PM<sub>10</sub> (27.79 μg/㎥) 및 PM<sub>2.5</sub> (17.41 μg/㎥)의 평균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 분포를 보였으며, 최대 일평균 강우 강도는 81.6 mm/h로 오랜 시간 많은 양의 비를 기록하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대기 중 PM 농도와 높은 강우 강도로 인해 대기 중 PM<sub>10</sub> 농도가 빗물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ulate matter (PM) in the atmosphere and rainwater quality in Busan, South Korea, and evaluated the seasonal effect of PM<sub>10</sub>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on the rain...

      This study investigate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ulate matter (PM) in the atmosphere and rainwater quality in Busan, South Korea, and evaluated the seasonal effect of PM<sub>10</sub>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on the rainwater quality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PM in the atmosphere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s (daily precipitation amount and rainfall intensity) are obtained from automatic weather systems (AWS)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from March 2020 to August 2020. Rainwater samples (n = 216, 13 rain events) were continuously collec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ecipitation using the rainwater collecting device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pH, EC (electrical conductivity), water-soluble cations (Na<sup>+</sup>, Mg<sup>2+</sup>, K<sup>+</sup>, Ca<sup>2+</sup>, and NH<sup>4+</sup>), and anions (Cl<sup>-</sup>, NO<sup>3-</sup>, and SO<sup>42-</sup>). The concentration of PM<sub>10</sub> in the atmosphere was steadily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ecipitation with a custom-built PM sensor node.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M<sub>10</sub> in the atmosphere and rainwater quality. In spring, the daily average concentration of PM<sub>10</sub> (34.11 μg/㎥) and PM<sub>2.5</sub> (19.23 μg/㎥) in the atmosphere were relatively high, while the value of daily precipitation amount and rainfall intensity were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PM<sub>10</sub> in the atmosphe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ions (r = 0.99) and EC (r = 0.95)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H (r = -0.84) of rainwater samples. In summer, the daily average concentration of PM<sub>10</sub> (27.79 μg/㎥) and PM<sub>2.5</sub> (17.41 μg/㎥) in the atmosphere were relatively low, and the maximum rainfall intensity was 81.6 mm/h, recording a large amount of rain for a long ti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M<sub>10</sub> in the atmosphere and rainwater quality in summ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표, "초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및 정책 방향" 한국대기환경학회 33 (33): 191-204, 2017

      2 손규원,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PM2.5 농도에 대한 기상과 배출 영향 분석: 2019년 12월~2020년 3월" 한국대기환경학회 36 (36): 442-463, 2020

      3 황윤정, "대구지역 대기 중 미세먼지의 오염도 분석 및 기상인자에 따른 영향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 25 (25): 459-471, 2009

      4 박혜민, "기상인자에 따른 대기 중 미세먼지 감소 및 빗물 특성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36 (36): 1733-1741, 2020

      5 박혜민, "강우 강도에 따른 대기 중 미세먼지 저감효과와 강우수질 특성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36 (36): 1669-1679, 2020

      6 Kim, J. Y.,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gaseous and particulate PAHs at a roadside station in Seoul, Korea" 116 : 142-150, 2012

      7 Kim, H. C., "Regional contributions to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outh Korea: Seasonal variation and sensitivity to meteorology and emissions inventory" 17 (17): 10315-10332, 2017

      8 Yang, L. X., "Influence of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particulate matter on visual range impairment in Jinan, China" 383 (383): 164-173, 2007

      9 Lee, S., "Hydrometeorological Drivers of Particulate Matter Using Bayesian Model Averaging" 7634-7637, 2019

      10 Tai, A. P., "Correlations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he United States:Implications for the sensitivity of PM2.5 to climate change" 44 (44): 3976-3984, 2010

      1 김용표, "초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및 정책 방향" 한국대기환경학회 33 (33): 191-204, 2017

      2 손규원,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PM2.5 농도에 대한 기상과 배출 영향 분석: 2019년 12월~2020년 3월" 한국대기환경학회 36 (36): 442-463, 2020

      3 황윤정, "대구지역 대기 중 미세먼지의 오염도 분석 및 기상인자에 따른 영향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 25 (25): 459-471, 2009

      4 박혜민, "기상인자에 따른 대기 중 미세먼지 감소 및 빗물 특성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36 (36): 1733-1741, 2020

      5 박혜민, "강우 강도에 따른 대기 중 미세먼지 저감효과와 강우수질 특성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36 (36): 1669-1679, 2020

      6 Kim, J. Y.,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gaseous and particulate PAHs at a roadside station in Seoul, Korea" 116 : 142-150, 2012

      7 Kim, H. C., "Regional contributions to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outh Korea: Seasonal variation and sensitivity to meteorology and emissions inventory" 17 (17): 10315-10332, 2017

      8 Yang, L. X., "Influence of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particulate matter on visual range impairment in Jinan, China" 383 (383): 164-173, 2007

      9 Lee, S., "Hydrometeorological Drivers of Particulate Matter Using Bayesian Model Averaging" 7634-7637, 2019

      10 Tai, A. P., "Correlations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he United States:Implications for the sensitivity of PM2.5 to climate change" 44 (44): 3976-3984, 2010

      11 Son, J. Y., "Characteriz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and associations between particulate chemical constituents and mortality in Seoul, Korea" 120 (120): 872-878, 2012

      12 Tian, G.,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PM10)and its relationship with meteorological factors during 2001-2012 in Beijing" 192 : 266-274,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4 0.72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