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주지역 지하수 성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in Components of the Groundwater Quality in Gwa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2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alysis of groundwater was carried out at 127 sites of Gwangju in 2005. The result of analysis for major anion contents showed chloride > sulfate > nitrate-nitrogen > fluoride and the one for major cation contents calcium > sodium >...

      The analysis of groundwater was carried out at 127 sites of Gwangju in 2005. The result of analysis for major anion contents showed chloride > sulfate > nitrate-nitrogen > fluoride and the one for major cation contents calcium > sodium > magnesium > potassium > ammonium. Correlation between the hardness of the groundwater and chloride, sulfate and total solids was carried out.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44, 0.30 and 0.91, respectively. Thi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imilar to other regions such as Seoul, Gangwon and Incheon. A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62 between nitrate-nitrogen and chloride and was 0.35 between chloride and sulfa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teven S. B., 36 : 1993

      2 Philp, B. B., 81 : 1994

      3 환경부, "환경백서 2005" 2005

      4 이창기, "환경과 건강" 하서출판사 141-143, 1993

      5 김태헌, "표고별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의 특성비교"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 15 : 149-171, 2004

      6 김흥락, "충청남도 음용지하수 수질의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1 (11): 721-727, 2002

      7 한정상, "지하수 환경과 오염" 박영사 2000

      8 김경태, "지하수 오염지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방안 연구(IV)"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185-201, 2003

      9 이창근, "지하수 오염지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방안 연구(II)" 156-169, 2003

      10 김학명, "지하수 오염론" 동화기술 1997

      1 Steven S. B., 36 : 1993

      2 Philp, B. B., 81 : 1994

      3 환경부, "환경백서 2005" 2005

      4 이창기, "환경과 건강" 하서출판사 141-143, 1993

      5 김태헌, "표고별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의 특성비교"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 15 : 149-171, 2004

      6 김흥락, "충청남도 음용지하수 수질의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1 (11): 721-727, 2002

      7 한정상, "지하수 환경과 오염" 박영사 2000

      8 김경태, "지하수 오염지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방안 연구(IV)"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185-201, 2003

      9 이창근, "지하수 오염지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방안 연구(II)" 156-169, 2003

      10 김학명, "지하수 오염론" 동화기술 1997

      11 조선형, "지하수 어떻게 할 것인가" (주)북스힐 161-183, 1999

      12 미국환경청, "음용수중의 각종 화합물질의 건강 영향 평가" 1987

      13 정원구, "약수의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13 : 150-156, 2002

      14 김죄곤, "수질오염개론" 동화기술 1998

      15 김익수, "서울지역의 지하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9 (9): 54-63, 2004

      16 배주순, "비상급수시설 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119-140, 2003

      17 김현실, "부산지역 일부 약수터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11 : 152-174, 2001

      18 유숙진, "부산시 지하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13 (13): 90-136, 2003

      19 박석기, "먹는물의 수질관리" 동화기술 1998

      20 환경부, "먹는물수질공정시험방법" 환경부 2002

      21 환경부,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2003

      22 황재석, "맛있고 건강에 이로운 물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1999

      23 김승현, "경상남도 지역의 지하수질 특성조사" 7 (7): 859-865, 1998

      24 손진석, "경기북부지역 지하수의 지역별 미량무기물질 함유실태 조사연구" 2002

      25 박진호, "경기북부지역 약수터의 수질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2002

      26 현근우, "강원지역 온천수의 수 질특성과 관광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14 : 88-96, 2003

      27 정원구, "강원도 지하수의 수질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15 : 77-89, 2004

      28 National Reseach Council, "The health effects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Natl. Acad of Sci. 1995

      29 광주광역시, "2004 환경백서"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9-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분석학회지 ->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 JOURNAL OF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7 0.38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