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언해문의 방언 반사론에 대한 재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76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central dialects reflected in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eonhae(東國新續三綱行實圖諺解). It has long been talked about that Central dialects as well as dialects in other areas are reflected in the D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central dialects reflected in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eonhae(東國新續三綱行實圖諺解). It has long been talked about that Central dialects as well as dialects in other areas are reflected in the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eonhae(東國新續三綱行實圖諺解). There are unconfirmed informations of dialects in the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eonhae(東國新續三綱行實圖諺解). Consequently,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eonhae(東國新續三綱行實圖諺解) have characters as a central dial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체제와 구성
      • 3. 16세기 말∼17세기 초의 언해 자료와 ‘ㄷ 구개음화’
      • 4. 방언 영향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5. 결론
      • 1. 서론
      • 2.『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체제와 구성
      • 3. 16세기 말∼17세기 초의 언해 자료와 ‘ㄷ 구개음화’
      • 4. 방언 영향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두현, "현풍 곽씨 언간의 음운사적 연구" (창간) : 97-130, 2009

      2 이영희, "행실도류 언해의 분석적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영희, "행실도류 언해서의 국어학적 연구-『삼강행실도』와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의 동일부분을 중심으로" 24 : 93-106, 2011

      4 이병도, "해제, In 東國新續三綱行實圖" 국립도서관 편 통문관 간 5-13, 1959

      5 안대현, "한국어 중앙어 ㄷ구개음화의 발생 시기" 국어학회 (54) : 109-137, 2009

      6 남경란, "칠대만법의 저본과 국어학적 특징" 7 : 369-395, 2005

      7 장향실, "중국 북경대 도서관 소장 『삼강행실도』에 대하여" 우리어문학회 (23) : 245-278, 2004

      8 신중진, "율사본《불설대보부모은중경》의 국어학적 고찰" 21 : 229-254, 1996

      9 백두현,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태학사 1992

      10 이혜순, "열녀상의 전통과 변모: 삼강행실도에서 조선 후기 열녀전까지" 85 : 163-183, 1998

      1 백두현, "현풍 곽씨 언간의 음운사적 연구" (창간) : 97-130, 2009

      2 이영희, "행실도류 언해의 분석적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영희, "행실도류 언해서의 국어학적 연구-『삼강행실도』와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의 동일부분을 중심으로" 24 : 93-106, 2011

      4 이병도, "해제, In 東國新續三綱行實圖" 국립도서관 편 통문관 간 5-13, 1959

      5 안대현, "한국어 중앙어 ㄷ구개음화의 발생 시기" 국어학회 (54) : 109-137, 2009

      6 남경란, "칠대만법의 저본과 국어학적 특징" 7 : 369-395, 2005

      7 장향실, "중국 북경대 도서관 소장 『삼강행실도』에 대하여" 우리어문학회 (23) : 245-278, 2004

      8 신중진, "율사본《불설대보부모은중경》의 국어학적 고찰" 21 : 229-254, 1996

      9 백두현,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태학사 1992

      10 이혜순, "열녀상의 전통과 변모: 삼강행실도에서 조선 후기 열녀전까지" 85 : 163-183, 1998

      11 정병모, "삼강행실도 판화에 대한 고찰" 85 : 185-227, 1998

      12 정재영, "불갑사(佛甲寺) 소장의 화암사판(花岩寺版) 『부모은중경』에 대하여" (9) : 211-244, 2006

      13 김영춘, "병자일기에 나타난 17세기 국어연구-음운변화를 중심으로" 12 : 100-128, 1994

      14 이영경,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언해의 성격에 대하여" 진단학회 (112) : 103-125, 2011

      15 홍윤표, "근대국어의 국어사적 성격" 국어사학회 (9) : 153-172, 2009

      16 홍윤표, "근대국어연구(I)" 태학사 1994

      17 허웅, "국어사의 측면으로 본 인조대왕 행장의 언어분석" 1 : 159-203, 1981

      18 김주필, "구개음화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68 : 1985

      19 정일영, "광해군대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8

      20 이준환, "고유어와 한자어 구개음화의 상관성" 국어학회 (49) : 33-68, 2007

      21 안병희, "重刊杜詩諺解에 나타난 t 口蓋音化에 대하여, In 이희승선생 송수기념논총" 329-341, 1957

      22 지부소평, "諺解三綱行實圖の傳本とその系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 : 65-115, 1989

      23 이준환, "舌音系 漢字音의 口蓋音化 : 諺簡 漢字音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4 : 301-335, 2007

      24 김영신, "東國新續三綱行實의 국어학적 연구" 9 : 1-58, 1980

      25 南基卓, "東國新續三綱行實의 國語學的 硏究 : 東國三綱行實과 三綱行實圖의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79

      26 서울대학교 규장각, "東國新續三綱行實撰集廳儀軌" 2002

      27 "東國新續三綱行實撰集廳儀軌"

      28 김혁,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구성과 편찬 과정" 25 : 104-124, 2001

      29 유경민, "東國新續三綱行實圖 언해문의 번역과 어휘" 87-110, 2013

      30 국립중앙도서관, "東國新續三綱行實圖"

      31 서울대학교 도서관, "東國新續三綱行實圖"

      32 이숭녕, "東國新續三綱行實 에 대한 語彙論的 考察" 55 : 403-415, 1972

      33 홍윤표, "奎章閣 所藏 近代國語 文獻資料의 綜合的 硏究" 15 : 1-55, 1994

      34 안병희, "壬辰亂 直前 國語史 資料에 관한 二三 問題에 대하여" 33 : 81-102, 1972

      35 이광렬, "光海君代《東國新續三綱行實圖》편찬의 의의" 53 : 144-202, 2007

      36 이영희, "『삼강행실도』와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언해 양상 비교 연구-동일 내용을 중심으로" 6 : 125-143, 2006

      37 신성철,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국어사적 고찰" 한국어문학회 (107) : 65-90, 2010

      38 신성철, "『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방언"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495-518, 2010

      39 정우영, "『初發心自警文諺解』 연구-송광사판과 서봉사판의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51) : 175-209, 2008

      40 김항수, "《삼강행실도》편찬의 추이" 85 : 230-245, 1998

      41 조항범, "<순천 김씨묘 출토 간찰>에 대한 몇 가지 문제" 15 : 105-133, 1998

      42 田光鉉, "17世紀 國語의 硏究 : 特히 表記音韻形態의 問題點에 對하여" 서울대학교 1968

      43 김주필, "17․18세기 국어의 구개음화와 관련 음운현상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1994

      44 福井玲, "16世紀朝鮮語傍点資料についての基礎的研究" 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ㆍ文学部 朝鮮文化研究室 7 : 167-188,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