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과 요구도 분석 = Teaching competency and needs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in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12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경력에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분석이다. 구체적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1.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경력에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분석이다. 구체적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1.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에 대한 요구도는 어떠한가?

      조사에 앞서, 참조집단에 의해서 45개(5개 영역: '개인적 특성', '지식', '교수설계 및 개발', '교수실행', '평가')의 교수역량이 도출되었다. 그리고나서 4개의 고등학교에서 조사가 실시되었다. 교사경력에 따른 표본수는 31명(0~5년차), 46명(6~20년차), 42명(21년차 이상)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그룹간에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4개('학생에 대한 애정 및 존중', '교과지식', '평가에 대한 지식', '적절한 과제 제시')의 교수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5개의 교수역량 영역으로 비교하였을 때, 3개의 영역('개인저거 특성', '지식', '교수실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수역량에 대한 세 집단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 0~5년차는 16개의 교수역량을 다른 교수량들 보다 높게 요구했고, 6~20년차는 15개 역량을 높게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21년차 이상은 13개 역량을 높게 요구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몇몇 후속연구와 제언을 제안한다.
      첫째, 교사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교수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교수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연구가 교사의 다양한 측면('예를 들어, 학위, 성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교사와 학생 양쪽의 입장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in high school.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set up as following. 1. What is perception about te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in high school.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set up as following.
      1. What is perception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2. What are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Prior to survey, 48 teaching competencies(five areas: ‘personal characteristic’, ‘knowledge’, ‘instructional design & development’, ‘instructional practice’, ‘assessment’) were drawn by referent group. And the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4 high school. Sample sizes in accordance with career are 31(0~5 years’ career), 46(6~20 years’ career), 42(over 21 years’ career).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teaching competencies between the thre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r competencies(‘Affection and respect for the students’, ‘subject knowledge’, ‘knowledge for assessment’, ‘appropriate problem presenting’). And when compared to the five teaching competency a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areas(‘personal characteristic’, ‘knowledge’, ‘instructional practi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of the three group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0~5 years’ teachers high needed 16 competencies more than the other competencies. And 6~20 years’ teachers high needed 15 competencies. Finally, over 21 years’ teachers high needed 13 competenc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 some further studies and suggestions.
      First, understanding of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y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hat teacher empowerment programs are operated effectively.
      Second, research for finding out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should be done on teacher’ various aspects(e.g., degree, gender).
      Third,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연구 제한점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연구 제한점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교수역량 6
      • 2. 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른 분류 17
      • Ⅲ. 연구방법 19
      • 1. 연구대상 및 표집 19
      • 2. 측정도구 19
      • 3. 자료의 분석방법 23
      • Ⅳ. 연구결과 25
      • 1. 교사경력에 따른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의
      • 차이 25
      • 2. 교사경력에 따른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요구도 분석 44
      • Ⅴ. 논의 64
      • 1. 교수역량에 대한 교사경력별 중요도 인식과 요구 64
      • 2. 교사에 대한 이해를 통한 효과적인 교수역량 강화 68
      • Ⅵ. 결론 및 제언 69
      • 1. 결론 69
      • 2. 제언 70
      • 참고문헌 72
      • Abstract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