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傳統的 空間材料의 心的價値에 관한 硏究  :  ‘살음 꼴’을 中心으로 = The study of application to ‘Spiritual Value’ in Korea traditional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8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양의 건축이론과 공간 개념은 수세기 동안 인류에게 많은 발전과 영향을 미쳐왔다. 그러나 이는인간성 상실과 환경공해의 요소로 나타나 심각한 문제를 주기도 하였다. 때문에 현재 동양...

      서양의 건축이론과 공간 개념은 수세기 동안 인류에게 많은 발전과 영향을 미쳐왔다. 그러나 이는인간성 상실과 환경공해의 요소로 나타나 심각한 문제를 주기도 하였다. 때문에 현재 동양건축물에서 비롯한 정신적 요소를 접합한 퓨전형식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미래공간은 이를 극복하기위한 새로운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한국전통 건축에서는 이미 이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이미 적용하여 왔으며, 다른 동양 어느 나라와도 다른 의미와 방식을 독자적으로 구축하였고 이를 추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한국전통의 심리적 공간요소를 추출하였고, 이러한 가치를 ‘심적 가치’라 명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stern theory of Architecture and it’s space recognition have had enormous effect on mankind for centuries. However, that also brings several problems like loss of human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For this reason, combining Eastern spiritual e...

      Western theory of Architecture and it’s space recognition have had enormous effect on mankind for centuries. However, that also brings several problems like loss of human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For this reason, combining Eastern spiritual elements of Eastern Architecture to overcome these problems occurs as a new fusion element of various and complicated future space. Amazingly it’s been already investigate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at a unique way of use of space has been built unlike other Eastern Architecture. We extract Korean spiritual space from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we call it ‘Spiritual Value’ in our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살음꼴의 형성: 전통건축재
      • 2.1 살음꼴의 의미
      • 1 서론
      •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살음꼴의 형성: 전통건축재
      • 2.1 살음꼴의 의미
      • 2.2 전통건축재의 종류
      • 2.3 소결:살음꼴의 가치
      • 3 살음꼴로 표현된 공간요소
      • 3.1 나무요소
      • 3.2 흙요소
      • 3.3 물요소
      • 3.4 바람요소
      • 4 살음꼴에서 가치추출
      • 5.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