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리 변동에 따른 영산강에서의 수질 변화 분석 연구 = Analysis of Water Quality Variation after Hydraulic Changes in Yeongsan Ri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35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eongsan River, one of the four major rivers in Korea, shows the highest degree of water pollution compared to the other major rivers. The construction and opening of two weirs, Seungchon and Juksan, induced fluctuations in the hydrologic conditio...

      The Yeongsan River, one of the four major rivers in Korea, shows the highest degree of water pollution compared to the other major rivers. The construction and opening of two weirs, Seungchon and Juksan, induced fluctuations in the hydrologic conditions and water quality of the river. To investigate the water quality changes caused by the opening of the weir in 2017, this study analyzed the water quality data using the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the three-dimensional spatiotemporal plots. The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all parameters has increased after 2017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For the parameters that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change, chlorophyll-a and suspended solids, the median values have increased by more than 30% after weir opening. Visual analysis additionally showed the spatial changes in the Yeongsan River. Generally, the sites above the Seungchon weir showed higher pollution levels than those above the Juksan weir. In time series, visual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the trend of rising concentration for all water quality parameters, indicating that the opening of two wei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water quality of the Yeongsan Riv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은숙 ; 전송미 ; 이어진 ; 박도진 ; 신용식, "통계적 경향 분석을 통한 영산강의 클로로필 a와 수질 변동 해석" 한국하천호수학회 45 (45): 302-313, 2012

      2 송은숙 ; 신용식 ; 장남익 ; 이준배, "영산호 식물플랑크톤 변동에 대한 영양염과 광 제한의 상대적 평가" 한국하천호수학회 43 (43): 35-43, 2010

      3 신재기 ; 강복규 ; 황순진, "영산강 중류(승촌보)의 봄철 녹조류 Eudorina elegans 대발생과 봇물 펄스방류에 대한 육수학적 고찰"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320-333, 2016

      4 이용운 ; 이용운 ; 양원모 ; 윤광식, "영산강 수계의 하천유지용수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 19 (19): 13-20, 2019

      5 손미선 ; 박종환 ; 임채홍 ; 김세경 ; 임병진, "영산강 수계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 한국환경생물학회 31 (31): 105-112, 2013

      6 정수정 ; 이동진 ; 황경섭 ; 이경희 ; 최경축 ; 임상순 ; 이윤희 ; 이재영 ; 임병진, "영산강 수계 오염특성 파악을 위한 다변량 통계분석법의 적용" 한국하천호수학회 45 (45): 368-377, 2012

      7 신용식 ; 유행선 ; 이학영 ; 이다혜 ; 박건우, "보 건설에 따른 영산강의 조류 발생 및 환경 변화: 수질측정망 장기 자료 분석" 한국하천호수학회 48 (48): 238-252, 2015

      8 서경애 ; 나정은 ; 류희성 ; 김경현, "보 건설 이후 영산강 보 구간에서의 질소계열 영양염류 및 식물플랑크톤 동태" 한국물환경학회 34 (34): 423-430, 2018

      9 서동일 ; 김재영 ; 김진수,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 가동보 운영이 수질 및 녹조현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53 (53): 877-887, 2020

      10 신용식 ; 이창희 ; 조기안 ; 송은숙, "국내 연안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chlorophyll a)및 수질 동향" 한국하천호수학회 38 (38): 160-180, 2005

      1 송은숙 ; 전송미 ; 이어진 ; 박도진 ; 신용식, "통계적 경향 분석을 통한 영산강의 클로로필 a와 수질 변동 해석" 한국하천호수학회 45 (45): 302-313, 2012

      2 송은숙 ; 신용식 ; 장남익 ; 이준배, "영산호 식물플랑크톤 변동에 대한 영양염과 광 제한의 상대적 평가" 한국하천호수학회 43 (43): 35-43, 2010

      3 신재기 ; 강복규 ; 황순진, "영산강 중류(승촌보)의 봄철 녹조류 Eudorina elegans 대발생과 봇물 펄스방류에 대한 육수학적 고찰"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320-333, 2016

      4 이용운 ; 이용운 ; 양원모 ; 윤광식, "영산강 수계의 하천유지용수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 19 (19): 13-20, 2019

      5 손미선 ; 박종환 ; 임채홍 ; 김세경 ; 임병진, "영산강 수계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 한국환경생물학회 31 (31): 105-112, 2013

      6 정수정 ; 이동진 ; 황경섭 ; 이경희 ; 최경축 ; 임상순 ; 이윤희 ; 이재영 ; 임병진, "영산강 수계 오염특성 파악을 위한 다변량 통계분석법의 적용" 한국하천호수학회 45 (45): 368-377, 2012

      7 신용식 ; 유행선 ; 이학영 ; 이다혜 ; 박건우, "보 건설에 따른 영산강의 조류 발생 및 환경 변화: 수질측정망 장기 자료 분석" 한국하천호수학회 48 (48): 238-252, 2015

      8 서경애 ; 나정은 ; 류희성 ; 김경현, "보 건설 이후 영산강 보 구간에서의 질소계열 영양염류 및 식물플랑크톤 동태" 한국물환경학회 34 (34): 423-430, 2018

      9 서동일 ; 김재영 ; 김진수,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 가동보 운영이 수질 및 녹조현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53 (53): 877-887, 2020

      10 신용식 ; 이창희 ; 조기안 ; 송은숙, "국내 연안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chlorophyll a)및 수질 동향" 한국하천호수학회 38 (38): 160-180, 2005

      11 Naselli-Flores, L., "Water-level fluctuations in Mediterranean reservoirs : Setting a dewatering threshold as a management tool to improve water quality" 548 (548): 85-99, 2005

      12 Cha, S. M., "Water quality changes according to the midstream weir construction in the Yeongsan river, Korea" 53 (53): 3066-3071, 2015

      13 Ministry of Environment (ME),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14 Hamed, K. H., "Trend detection in hydrologic data: the Mann–Kendall trend test under the scaling hypothesis" 349 (349): 350-363, 2008

      15 Prathumratana, L., "The relationship of climatic and hydrological parameters to surface water quality in the lower Mekong river" 34 (34): 860-866, 2008

      16 Helsel, D. R., "Statistical methods in water resources (Vol. 49)" Elsevier 1992

      17 Lee, H. W., "Statistical and visual comparison of water quality changes caused by a large river restoration project" 36 (36): 23-34, 2019

      18 Luo, P., "Spatiotemporal trend analysis of recent river water quality conditions in Japan" 13 (13): 2819-2829, 2011

      19 Wang, Y. B., "Spatial pattern assessment of river water quality : Implications of reducing the number of monitoring stations and chemical parameters" 186 (186): 1781-1792, 2014

      20 Xu, G., "Seasonal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its main influencing factors in the Dan river basin" 173 : 131-140, 2019

      21 Quinlan, R., "Relationships of total phosphorus and chlorophyll in lakes worldwide" 66 (66): 392-404, 2021

      22 Canfield, D. E., "Prediction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in Florida lakes : The importance of phosphorus and nitrogen 1" 19 (19): 255-262, 1983

      23 Zhang, R., "Precise and economical dredging model of sediments and its field application : Case study of a river heavily polluted by organic matter, nitrogen, and phosphorus" 53 (53): 1119-1131, 2014

      24 Marshall, H. G., "Phytoplankton assemblages associated with water quality and salinity regions in Chesapeake bay, USA" 69 (69): 10-18, 2006

      25 Crawford, C. G., "Nonparametric tests for trends in water-quality data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US Geological Survey 1983

      26 Boyer, J. N., "Maximizing information from a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rough visualization techniques, Estuarine" 50 (50): 39-48, 2000

      27 Ofman, P., "Impact assessment of treated wastewater on water quality of the receiver using the Wilcoxon test" 22 : 00127-, 2017

      28 Teodosiu, C., "Environmental impact and risk quantification based on selected water quality indicators" 75 (75): 89-105, 2015

      29 Lee, H. W., "Effective visualization for the spatiotemporal trend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in the Nakdong river of Korea" 5 (5): 281-292, 2010

      30 Liu, X.,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n the remediation of river sediment due to the addition of calcium nitrate" 575 : 887-894, 2017

      31 김진수 ; 김재영 ; 서동일, "EFDC를 이용한 영산강 주요 오염 부하 저감에 따른 승촌보 및 죽산보 녹조 현상 개선 효과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53 (53): 369-381, 2020

      32 Karamouz, M., "Design of river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 A case study" 14 (14): 705-714, 2009

      33 Kisi, O., "Comparison of Mann–Kendall and innovative trend method for water quality parameters of the Kizilirmak river, Turkey" 513 : 362-375, 2014

      34 Liu, J., "Characterizing and explaining spatio-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a highly disturbed river by multi-statistical techniques" 5 (5): 1-17, 2016

      35 Vega, M., "Assessment of seasonal and polluting effects on the quality of river water by exploratory data analysis" 32 (32): 3581-3592, 1998

      36 Kim, D. R., "Algal boom characteristics of Yeongsan river based on weir and estuary dam operating conditions using EFDC-NIER Model" 13 (13): 2295-,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 한국물환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CI등재
      2011-12-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lity ->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39 0.61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