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칭의와 종말 : 톰라이트와 김세윤에 대한 개혁신학의 대응 = Justification and Eschaton: A Reformed Theological Response to Tom Wright and Kim Se-yo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83038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ii, 151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병훈

      • UCI식별코드

        I804:41051-200000196826

      • 소장기관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연구 배경 1
      • 1. ‘justification’에 대한 교리 분쟁의 반복 1
      • 2. 톰 라이트와 김세윤 신학의 기여와 우려 4
      • B. 연구 범위, 선행연구, 논문의 구성, 논문의 용어 6
      • I. 서론 1
      • A. 연구 배경 1
      • 1. ‘justification’에 대한 교리 분쟁의 반복 1
      • 2. 톰 라이트와 김세윤 신학의 기여와 우려 4
      • B. 연구 범위, 선행연구, 논문의 구성, 논문의 용어 6
      • 1. 연구 범위 6
      • 2. 라이트와 김세윤 신학에 대한 한국 신학자들의 선행 연구 7
      • 3. 논문의 구성 9
      • 4. 논문의 용어 11
      • II. 개혁신학의 칭의론 12
      • A. 칭의에 대한 개념 12
      • B. 칭의와 구원 17
      • C. 칭의와 성화 20
      • D. 칭의와 성도의 견인 25
      • E. 칭의와 종말 28
      • III. 톰 라이트의 칭의론 35
      • A. 톰 라이트의 칭의에 대한 개념 33
      • 1. ‘하나님의 의’(δικαιοσύνη Θεοῦ ) 36
      • 2. 언약: 아브라함과 그의 가족을 통한, 전 세계를 축복하시려는, 하나님의 단일한 계획 41
      • 3. 하나님의 언약 백성: 율법(토라: תּוֹרָה )을 지키는 자 43
      • 4. 칭의: 아브라함의 가족 안에, 예수 안에, 언약 백성 안에 머묾에 대한 선언 48
      • B. 톰 라이트의 종말론적 심판에 대한 개념 53
      • C. 톰 라이트가 바라보는 전통신학에 대한 관점 60
      • 1. 비(非)성경적 칭의 교리 해석 60
      • 2. 비(非)성경적 교리인 ‘의의 전가’ 강조 64
      • 3. 성화(聖化)를 간과한 ‘이신칭의’ 교리 67
      • D. 톰 라이트 신학에 대한 비평 68
      • 1. 톰 라이트의 칭의론에 대한 교리적 비평 69
      • a. 샌더스나 던이 범한 오류와의 유사성 69
      • b. 축소된 ‘하나님의 의’ 개념 70
      • c. 라이트의 칭의론 안에 있는 행위구원적 요소 72
      • d. 라이트의 칭의론에 수반된 ‘반(半)펠라기우스적’(semi-Pelagianian) 요소 74
      • e. 개인 차원의 칭의에 대한 가치 축소 75
      • 2. 톰 라이트 칭의론의 성경 해석적 비평 77
      • a. ‘1세기 유대주의 관점’ 틀에서의 성경 해석의 오류 78
      • b. 사도행전 9장 해석에 대한 오류 80
      • c. 갈라디아서와 로마서 해석의 오류 83
      • 3. 톰 라이트의 전통신학에 대한 오해와 이에 대한 비평 86
      • a. ‘의의 전가’ 교리의 성경적 타당성 89
      • b. ‘이신칭의’ 교리에서의 성화의 필연성 92
      • c. 그 밖의 오류들에 대한 비평 95
      • 4. 라이트 신학과 비평 요약 96
      • IV. 김세윤의 칭의론 98
      • A. 김세윤의 칭의에 대한 개념 100
      • 1. 칭의와 성화 개념의 동일시 100
      • 2. 현재와 미래의 이중적 개념으로의 칭의 102
      • 3. 관계론적 의미로서의 칭의 103
      • 4. 칭의의 시작점으로서의 세례 106
      • B. 김세윤의 종말론적 심판에 대한 개념 107
      • C. 김세윤이 바라보는 전통신학에 대한 관점 111
      • D. 김세윤 신학에 대한 비평 114
      • 1. 김세윤의 칭의론에 대한 교리적 비평 115
      • a. ‘칭의’와 ‘성화’를 동일시(同一視)하는 오류 115
      • b. 칭의를 현재와 최종의 이중적인 것으로 보는 오류 117
      • c. ‘세례’를 칭의와 성화의 시점(始點)으로 보는 오류 118
      • d. 그릇된 ‘관계적 칭의’ 해석에 대한 오류 121
      • e. 행위중심의 구원론적 오류 123
      • f. 성도(聖徒)의 ‘구원의 탈락 가능성’ 허용에 대한 오류 126
      • 2. 김세윤의 칭의론에 대한 성경 해석적 비평 129
      • a. 최종 심판대에서 최종 심판과 관련한 성경 해석적 오해 129
      • b. 시제(tense)와 관련한 성경 해석적 오류 132
      • 3. 김세윤의 전통신학에 대한 오해와 이에 대한 비평 135
      • a. 전통신학을 가톨릭적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한 비평 135
      • b. 전통교회가 성화를 무시하며, 구원파적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한 비평 137
      • c. 전통교회가 칭의와 종말에 대하여 그릇된 성경해석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한 비평 140
      • 4. 김세윤 신학과 비평 요약 142
      • V. 결론 145
      • 참고문헌 1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