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teraction in an Elementary English Immersion Class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991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몰입 교육은 영어를 배우는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염두에 두고 2000년대부터 한국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기는 영어가 국제어로서 높은 위상을 떨치고 ...

      몰입 교육은 영어를 배우는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염두에 두고 2000년대부터 한국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기는 영어가 국제어로서 높은 위상을 떨치고 있는 국제적 정세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몰입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인기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실제 몰입 교육을 받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모습을 자세하게 담고 있는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몰입 교육 수업에서 선생님의 수업 전략과 의사소통 양상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고자 노력하였다. 우선, 영어 몰입 수업에서 담당 선생님이 어떠한 수업 전략을 사용하는지 살펴 보고, 선생님과 학생 사이에 어떤 유형의 의사소통이 이루어 지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담당 교사가 몰입 교육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본질적으로 제2언어 습득에 관한 입력, 상호작용, 그리고 출력 모델들과 관련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들은 사설 영어 학원에서 3개월 동안 수업 녹음과 담당 선생님 인터뷰, 그리고 현장 관찰 기록지들을 통해 모아졌다. 선생님의 수업 전략은 Wang(2008)의 연구에서 사용된 수업 전략과 비교를 하였으며, 의사소통 유형은 정해진 틀 없이 특징적으로 많이 보여지는 유형들을 소개하였다.
      이 연구에서 담당 선생님은 몸짓으로 의미를 표현하거나 어려운 단어는 쉬운 표현을 찾아내어 설명하는 전략을 자주 사용하였다. 또한 의미 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상황설정이나, 학생들의 경험과 연결해서 설명하기, 내용 파악 확인, 발표 순서 통제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쉽게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었다. 수업 시간에 의사소통은 주로 선생님의 질문을 통해 이루어 졌다. 선생님은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쉽게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 자주 수업 내용과 관련된 학생 자신들의 경험이나 느낌을 표현하도록 기회를 주었고, 수업 내용에 관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이나 이해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질문이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또한, 학생들이 적절한 단어나 표현을 찾지 못해서 의사소통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선생님의 도움이 의사소통에 활력소가 되었고, 학생들이 시간을 가지고 대답을 생각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듯 보였다. 특징적으로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친구들이나 담당 선생님을 놀리기 위해 영어로 의사소통을 시작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가 아닌 사설 영어 학원에서 연구 자료가 수집되었다는 점에서 정규 학교에서와는 다른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지만, 내용 중심 학습이나 몰입 교육을 통해 새로운 교수법을 찾는 교육자들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mersion programs have gained popularity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due to its effect on enhancing the communication skill of English learners. This trend corresponds with the trend of English as a world language. However, few studies have specif...

      Immersion programs have gained popularity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due to its effect on enhancing the communication skill of English learners. This trend corresponds with the trend of English as a world language. However, few studies have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nature of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mmersion program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help provide a more detailed picture of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strategies and pattern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an English immersion classroom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First, it investigates teaching strategies that an immersion teacher uses in an English immersion classroom. Second, it further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Lastly, it reveals an immerion teacher’s perception about immersion programs. The study fundamentally draws from the input, interaction, and output model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a private English institution for three months through audio recording of classroom interactions, interview with the teacher, and field notes during observations. The teaching strategies were analyzed comparing Wang’s (2008) study. The patterns of interaction were examined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In the study, the immersion teacher used various teaching strategies such as body language, language modification, contextual clues, connection to students’ lives, comprehension check, and turn-taking control to facillitate students’ comprehension of content. The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occurred through the teacher’s questioning to share experience and feeling, to check comprehension, and to elicit prior knowledge of content. The interaction also took place through error correction as scaffolding, longer wait-time, and students’ teasing each other in the classroom.
      Based on the finding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CBI or immersion teachers who are looking for new approaches to teach their students more effec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HAPTER I. INTRODUCTION 1
      • 1.The State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1
      • 2.General Understanding of CBI 6
      • 3.Purpose of the Study and Research Questions 9
      • 4.Limitation of the Study 10
      • CHAPTER I. INTRODUCTION 1
      • 1.The State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1
      • 2.General Understanding of CBI 6
      • 3.Purpose of the Study and Research Questions 9
      • 4.Limitation of the Study 10
      • CHAPTER II. LITERATURE REVIEW 12
      • 1.Theoretical Framework 12
      • 2.Overview of Immersion Programs 17
      • 3.CBI Classroom Research 21
      • 4.Teaching Strategies in CBI 29
      • 5.Interaction in CBI Classroom 35
      • CHAPTER III. METHODOLOGY 41
      • 1.Research Design 41
      • 2.Research Setting 41
      • 3.Participants 42
      • 4.Teaching Materials 44
      • 5.Teaching Procedures 44
      • 6.Data Collection 46
      • 7.Data Analysis 48
      • CHAPTER IV. RESULT 54
      • 1.Teaching Strategies 54
      • 2.Pattern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70
      • 3.Teacher’s Perception of Immersion Programs 80
      • CHAPTER V. DISCUSSION 84
      • CHAPTER VI. CONCLUSION 95
      • REFERENCES 98
      • 국문초록 1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