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을 위한 가상현실(VR) 360도 정맥수액주입 교육용 콘텐츠의 적용 = Adaptation of VR 360-degree Intravenous Infusion Educational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4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fter applying VR 360-degree video contents for intravenous intravenous infusion education, basic data on whether VR 360-degree video can be applied as educational content in the future is prepared by grasping the empathy and flow of nu...

      In this study, after applying VR 360-degree video contents for intravenous intravenous infusion education, basic data on whether VR 360-degree video can be applied as educational content in the future is prepared by grasping the empathy and flow of nursing students in graduating grades. The VR 360 degree intravenous fluid injection educational content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planning, production, modification and completion.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descriptive research, and the study period was from November 9 to November 22, 201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th grade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totaling 64 students. Nursing students watched VR 360 degree intravenous infusion educational content using HMD unde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research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mpathy of nursing students was 5.32±0.88 points out of 7 points, and the flow was 6.02±0.84 points out of 7 poi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veloped VR 360 degree intravenous intravenous infusion educational conten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medium in subjects and comparative department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verif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detail in future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정맥수액주입 교육을 위해 VR 360도 영상콘텐츠를 졸업학년의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후 감정이입과 몰입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VR 360도 영상을 교육용 콘텐츠로 적용할 수 있...

      본 연구에서는 정맥수액주입 교육을 위해 VR 360도 영상콘텐츠를 졸업학년의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후 감정이입과 몰입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VR 360도 영상을 교육용 콘텐츠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VR 360도 정맥수액주입 교육용 콘텐츠는 기획, 제작, 수정 및 완료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기간은 2019년 11월 9일에서부터 11월 22일까지였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으로 총 64명이었다. 간호대학생은 연구자의 안전관리하에 VR 360도 정맥수액주입 교육용 콘텐츠를 HMD를 사용하여 감상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정이입은 7점만점에 5.32±0.88점이었고, 몰입은 7점만점에 6.02±0.84점이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면, 개발된 VR 360도 정맥수액주입 교육용 콘텐츠는 교과 및 비교과에서 교육매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 교수학습방법을 구체적으로 개발하고 검증할 필요가 있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정, "환자 안전 역량을 위한 수혈 시뮬레이션에서 간호학부생의 오류 발생과 복구 수준" 기본간호학회 22 (22): 180-189, 2015

      2 엄미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0 (40): 151-160, 2010

      3 黃勇碩, "웹 이용과정에서 플로우(flow) 형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델의 구축"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9

      4 서은영, "시뮬레이터와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이론적 기틀 개발"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206-219, 2012

      5 신승호,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눈치, 문제해결 능력,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397-407, 2020

      6 이미진, "문제기반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20 (20): 123-131, 2014

      7 박정하, "간호대학생의 투약활동에 대한 자가평가역량 측정도구 개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465-474, 2019

      8 김명희, "간호 대학생의 약물계산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기초간호학회 14 (14): 174-182, 2012

      9 정은영, "가상현실과 햅틱기술을 적용한 정맥주사시뮬레이터의 실습교육평가"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10 마예원, "VR 및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경험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73-1288, 2020

      1 김은정, "환자 안전 역량을 위한 수혈 시뮬레이션에서 간호학부생의 오류 발생과 복구 수준" 기본간호학회 22 (22): 180-189, 2015

      2 엄미란,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0 (40): 151-160, 2010

      3 黃勇碩, "웹 이용과정에서 플로우(flow) 형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델의 구축"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9

      4 서은영, "시뮬레이터와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이론적 기틀 개발"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206-219, 2012

      5 신승호,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눈치, 문제해결 능력,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397-407, 2020

      6 이미진, "문제기반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20 (20): 123-131, 2014

      7 박정하, "간호대학생의 투약활동에 대한 자가평가역량 측정도구 개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465-474, 2019

      8 김명희, "간호 대학생의 약물계산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기초간호학회 14 (14): 174-182, 2012

      9 정은영, "가상현실과 햅틱기술을 적용한 정맥주사시뮬레이터의 실습교육평가"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10 마예원, "VR 및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경험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73-1288, 2020

      11 J. E. Escalas, "Sympathy and empathy : Emotional responses to advertising dramas" 29 (29): 566-578, 2003

      12 K. A. Lee, "Study of impact of vicarious experience on audience's behavior intention for public-service dvertisement : focusing on advertising appeal types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Hongik University 2013

      13 J. H. Park, "Practical Guidebook for Patient Safety Risk Prediction Training" Komoonsa 2019

      14 이지영, "Nursing students' and instructors' perception of simulation-based learni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8 (8): 44-55, 2020

      15 T. P. Novak, "Measuring the customer experience in online environments :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19 (19): 22-42, 2000

      16 D. L. Hoffman,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 Conceptual foundations" 6 (6): 50-68, 1996

      17 S. J. Kim, "Investment in Edu Tech"

      18 I. S. Oh, "Influence of cognitive experience and empathy for VR advertisement on flow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advertise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Korea University 2017

      1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of nursing education"

      20 D. H. Suh, "A study on learning achivement through developing smart-devic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core nursing skills" Hyekyung University 2017

      21 S. H. Lee, "A Study of Multi-Dimensional Responses of Empathy Affecting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Effect" 18 (18): 307-31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