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전 유가에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 : 플라톤과의 대조를 통해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6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현행 신자유주의가 가장 기성을 부리고 있는 현행 한국사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진정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 및 국가의 正義에 대한 고전적인 본래 관점을 復命하려는 시도에서 ...

      이 논문은 현행 신자유주의가 가장 기성을 부리고 있는 현행 한국사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진정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 및 국가의 正義에 대한 고전적인 본래 관점을 復命하려는 시도에서 기술되었다. 여기서 필자의 문제의식은 현재 우리 사회의 주도적인 이념인 개인적 자유주의 및 기술 산업사회의 경쟁의 논리에 의해서는 미래 우리의 훌륭한 삶이 담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문제점을 노정할 수 있기 때문에 儒家적인 인간의 德에 관한 관점과 사회 정의관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서양의 고전적 인간-사회관의 전형을 형성하는 플라톤의 입장을 먼저 개진하고, 이와 대조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에 대해 공자와 맹자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하여 유가의 훌륭한 인간 및 사회에 대한을 명확히 하려고 하였다. 먼저 고전 유가는 인간의 보편적인 덕목을 ‘仁’이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곧 인간을 관계적-공동체적-사회적 존재로 정립한다는 점이다. 나아가 이러한 유가의 ‘仁’은 인간 본성이 단순히 개인의 생존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同情心으로 무조건적-자발적으로 발출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인간을 하나의 ‘類的 共同體’로 규정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우리는 유가는 인간의 인간다운 보편 덕의 실현에 인간의 훌륭한 삶이 구현된다고 주장했다는 점을 제시하여, 욕망의 실현에 모든 가치의 근거를 두는 현실의 입장에 대한 비판의 준거를 확보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가의 正名論을 통해 올바르고 정의로운 사회란 무엇인가 하는 점을 반성하고, 국가는 단순히 권력기관이 아니라, 그 구성원을 훌륭한 삶으로 이끌도록 계도하여야 한다는 ‘교육국가’의 이념을 제시하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the most classical question in classical political philosophy was 'what is truly a human virtue and a good life?' 'Human virtue' and 'Good life', and 'good State' are thus essentially tied together. Platon And Confuciani...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the most classical question in classical political philosophy was 'what is truly a human virtue and a good life?' 'Human virtue' and 'Good life', and 'good State' are thus essentially tied together. Platon And Confucianism. We began with Platon and Confucianism's definitions of human virtue & good life, and 'good State'. This Essay attempts to systematically approach to what Confucianism thinks as a human virtue and a good life in contrast with Platon. Confucius asserted that the most humane human life is a civilized life and it means to realize the value of 'benevolence as a human virtue. 'Mencius also concurred that Confucius's explication of the good life was right. Moreover, he argued that to realize this, political practice should follow. Mencius discussed about 'Four Virtues', the essential goodness of human, confirmed by 'Four Clues (四端)' to talk about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good life and a good state. On the other hand, he devised Politics of benevolence.)' as a practical tool for it. An classica eastern philosophy(platon and confucianism) consider a human beings as human relationship. Confucianism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mind & it's nature. Confucian human mind & it's nature is comprised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Confucianism proposed that we have to approach to other man as benevol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
      • Ⅲ. 훌륭한 국가의 구성과 治者의 德
      • Ⅳ. 결론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
      • Ⅲ. 훌륭한 국가의 구성과 治者의 德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