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한 유치원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ndangered ani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81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한 유치원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감수성과 생명존중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27...

      본 연구는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한 유치원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감수성과 생명존중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27명, 통제집단 27명으로 실험집단에게는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하여 구성한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프로그램을 10주간 실시하였으며, 환경 감수성 검사와 생명존중인식 검사를 사전사후에 두 집단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환경감수성과 생명존중인식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유치원에서 독자적으로 실천하기 어려운 체험중심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을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하여 실시할 때 유아에게 환경에 대한 감수성과 생명 존중 인식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ndangered Ani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ffects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This program focused on making a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ndangered Ani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ffects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This program focused on making a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The sample group consisted of 54 young children (27 experimental group, 27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27 children in 10 week session.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est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Test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s.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meaningful improvements in all area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t implies that, if the program plans and administrates while being connec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it can help increase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he Asahi Glass Foundation, "환경위기시계[The Environmental Doomsday Clock]"

      2 안윤화, "환경동화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 지옥정, "환경기념일로 풀어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창지사 2014

      4 채경희, "환경그림책 스토리텔링 후 자연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과 환경친화태도에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 배용철, "홀리스틱 생태소양 학습 프로그램의 구안·적용이 아동의 생명존중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지옥정, "호주 퀸즐랜드 주 Bunyaville 환경교육센터의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 고찰: ‘Easter Bilby Adventure’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51-474, 2013

      7 시사 in, "트로피 사냥에 갇힌 라이언 킹의 포효"

      8 임미진, "통합적 접근을 통한 생태미술교육 방안 연구 : 유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환경부, "초록지팡이: 환경교육포털사이트 - 유아환경교육관"

      10 구나경, "초등학교 생물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분석 및 교재화 연구 : 생물다양성의 의미와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1 The Asahi Glass Foundation, "환경위기시계[The Environmental Doomsday Clock]"

      2 안윤화, "환경동화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 지옥정, "환경기념일로 풀어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창지사 2014

      4 채경희, "환경그림책 스토리텔링 후 자연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과 환경친화태도에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 배용철, "홀리스틱 생태소양 학습 프로그램의 구안·적용이 아동의 생명존중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지옥정, "호주 퀸즐랜드 주 Bunyaville 환경교육센터의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 고찰: ‘Easter Bilby Adventure’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51-474, 2013

      7 시사 in, "트로피 사냥에 갇힌 라이언 킹의 포효"

      8 임미진, "통합적 접근을 통한 생태미술교육 방안 연구 : 유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환경부, "초록지팡이: 환경교육포털사이트 - 유아환경교육관"

      10 구나경, "초등학교 생물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분석 및 교재화 연구 : 생물다양성의 의미와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11 김수경, "초․중학교 여학생들의 멸종 위기종 황새 복원과 연계한 생물 다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82-96, 2010

      12 김정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생물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및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전수옥,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환경교육교재 개발 연구 : 자연환경 영상 및 사진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장정애, "자연의 소리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5 조부경, "자연과 더불어 꿈꾸는 우리 유아환경교육관 최종보고서" 환경부 2014

      16 정병호, "자연과 공동육아" 11 : 47-58, 1993

      17 Carson, R., "자연,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에코리브르 2002

      18 鄭賢淑, "유치원에서의 환경교육의 현황에 관한 분석" 圓光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19 지옥정, "유치원과 유아환경교육센터의 협력과정에 참여한 유아 및 교사의 경험"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 (14): 307-327, 2015

      20 박해정, "유치원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실행"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7 (7): 119-143, 2008

      21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위한 국가 추진 전략 개발 연구"

      22 박세령,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과정과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3 조부경, "유아교사 환경교육 연수 운영 사업 최종보고서" 환경부 2015

      24 강영식, "숲체험 활동이 환경친화적 태도와 생명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37-158, 2009

      25 박은예,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자연친화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6 김지혜, "숲 체험을 통한 조직캠프 집단상담이 아동의 학교적응과 친구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4

      27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05

      28 Wackernagel, M., "생태발자국" 이매진 2006

      29 최재천, "생물 산책: 생물다양성"

      30 김귀순, "생명존중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1 강영식, "생명존중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18, 2012

      32 이희옥, "생명세계 프로젝트가 유아의 생명존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7 (7): 25-40, 2007

      33 이희옥, "생명세계 프로젝트가 유아의 생명존중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4 김은정, "사진을 활용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23-46, 2013

      35 김남수, "사진 찍기를 통한 환경교육의 실행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36 프랑스 자연유산생물다양성과학위원회, "사례로 본 생물다양성"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7

      37 강인숙,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33-158, 2014

      38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교육 활성화 방안" 2009

      39 지옥정,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사례로서의 ‘무심천 프로젝트’에 나타난 유아들의 지역사회 참여 내용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63-382, 2011

      40 Davis, J., "Young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Early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41 UN,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5 Revision"

      42 Henderson, K., "Whole-school approaches to sustainability: An international reviews of sustainable school program" Australian Research Institute in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RIES) for th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Heritage, Australian Government 2004

      43 UNESCO,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ED/DESD/2005/PI/01)" UNESCO 2005

      44 UNESCO, "Shaping the Future we want: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 ment (2005-2014) Final report"

      45 Bonnett M., "Retrieving nature: Education for a post-humanist age" Blackwell Publishing 2004

      46 Davis, J.,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ustainability" Routledge 1-17, 2014

      47 Barratt, R., "Participation and learning: Perspectives on education and environment, health and sustainability" Springer 285-298, 2008

      48 Sivek, D. J., "Environmental sensitivity among Wisconsin high school students" 8 (8): 155-170, 2002

      49 Katz, L. G., "Engaging children’s minds: The project approach" Praeger 2014

      50 Barratt, H. E., "Engaging children : Research issues around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learning" 13 (13): 529-544, 2007

      51 Mortari, L., "Educating for thinking about “a good quality of life” and qualitative research outcomes" 5 : 93-113, 2000

      52 Smith, A., "Editorial" 9 (9): 3-4, 2005

      53 정소현, "<달팽이>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생명존중의식 형성과 태도 함양"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4 조혜령, "<나무>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생명존중의식 함양"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5 교육인적자원부, "6차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56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013

      57 교육과학기술부,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총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