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작로봇(UCR) 기술을 활용한 동극활동 모형 개발 연구 = Dramatic Activities Using the UCR(User Created Robot) Tech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3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UCR(User Created Robot) 기술을 활용하여 유아교육현장에 적절한 동극활동 을 개발하고, UCR 기술의 유아교육현장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UCR(User Created Robot) 기술을 활용하여 유아교육현장에 적절한 동극활동 을 개발하고, UCR 기술의 유아교육현장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UCR 기술을 활용한 동극활동을 계획하고 동화내용에 적절한 로봇의 외형을 설계하였다. 또한 로봇의 이동성과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로봇콘텐츠를 개발하여 유아가 로봇과 함께 동극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로봇기술을 활용한 동극활동은 전문가 검토과정을 거쳐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한 후,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육현장에 UCR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로봇콘텐츠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고, 유아들이 로봇과 같이 동극활동을 수행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동극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CR 기술을 활용한 동극활 동 개발 연구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로봇콘텐츠를 수정·제작함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수매체로서 로봇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으며 유아의 활동을 촉진하는 유용한 로봇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dramatic activities using the UCR(User Created Robot) technology,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UCR techn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apply the UCR technology on dramatic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 de...

      This study developed dramatic activities using the UCR(User Created Robot) technology,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UCR techn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apply the UCR technology on dramatic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 designed robots that are suited for a fairy tale and robotic contents based on the mobility and the interactive system of robots to help young children perform dramatic plays with robots. After going through a review process, dramatic activities using UCR technology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eactions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in the childhood education field. Through this study, not only could we see the possibility of various robotic contents based on UCR technology, but we could also confirm that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dramatic activities more enthusiastically when they were performing with robots. Due to the fact that user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ors can create robotic contents by themselves, the UCR technology, as a proper instructional medium demand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contribute to lots of valuable robotic cont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경, "통섭적 교육 활동을 위한 교육용 로봇의 활용 방안 탐색" 363-364, 2008

      2 김진오, "창작로봇(UCR) 기반 친환경 r-러닝 서비스 실천방안" 한국IT서비스학회 10 (10): 21-30, 2011

      3 유구종, "지능형로봇을 활용한 유아교육기관 선택활동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93-520, 2011

      4 유구종, "지능형로봇 활용 프로그램의 사회·정서 관련측면에서의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93-425, 2013

      5 김영실,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89-409, 2011

      6 현은자,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5-196, 2008

      7 정상녀, "지능형 로봇과의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 유형 분석: Genibo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69-492, 2011

      8 유구종, "지능형 로봇 제니보와의 놀이상황 분석을 통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81-312, 2011

      9 현은자, "증강현실과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 동극활동이 유아의 언어 발달, 창의성,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67-195, 2012

      10 현은자, "증강현실과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동극 활동에서 기술적인 요소에 대한 유아의 반응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13-124, 2012

      1 조혜경, "통섭적 교육 활동을 위한 교육용 로봇의 활용 방안 탐색" 363-364, 2008

      2 김진오, "창작로봇(UCR) 기반 친환경 r-러닝 서비스 실천방안" 한국IT서비스학회 10 (10): 21-30, 2011

      3 유구종, "지능형로봇을 활용한 유아교육기관 선택활동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93-520, 2011

      4 유구종, "지능형로봇 활용 프로그램의 사회·정서 관련측면에서의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93-425, 2013

      5 김영실,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89-409, 2011

      6 현은자,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5-196, 2008

      7 정상녀, "지능형 로봇과의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 유형 분석: Genibo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69-492, 2011

      8 유구종, "지능형 로봇 제니보와의 놀이상황 분석을 통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81-312, 2011

      9 현은자, "증강현실과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의적 동극활동이 유아의 언어 발달, 창의성,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67-195, 2012

      10 현은자, "증강현실과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동극 활동에서 기술적인 요소에 대한 유아의 반응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13-124, 2012

      11 현은자, "증강현실과 로봇 기반 극놀이 적용성에 대한 전문가 기초 조사" 1-3, 2011

      12 이연승, "유치원의 로봇활용 현황 및 수업 운영 실태"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07-132, 2013

      13 박선희, "유아의 창의적 극놀이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9 : 65-94, 2002

      14 박경희, "유아교육현장의 로봇활용교육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61-187, 2010

      15 윤현민,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16 홍희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을 통한 동극 활동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 인천광역시와 시흥시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현은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로봇에 대한 유아의 경험과 인식" 한국아동학회 31 (31): 267-282, 2010

      18 오채선, "유아교육기관 극 놀이의 현장적용 한계와 가능성"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65-99, 2007

      19 현은자,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9 (9): 482-491, 2009

      20 이희경, "유아 교수·학습방법" 동문사 2008

      21 박흥제, "아동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159-181, 2010

      22 신나민, "아동-로봇 친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97-111, 2008

      23 조혜경, "사용자 창작 지원을 위한 멀티미디어 연동 로봇콘텐츠 저작 도구의 개발" 199-200, 2010

      24 양미선, "만 5세 파랑반의 동극 활동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교육문제연구소 46 : 217-250, 2009

      25 손혜진, "만 5세 유아들의 유아교육용 로봇 이미지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로봇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6 서경숙, "로봇주제 집단탐구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7 이정욱, "로봇기반교육이 유아교육기관 및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23-444, 2011

      28 김영옥, "로봇기반교육과 유아교육" 50 : 1-7, 2010

      29 김철, "로봇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교육효과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233-243, 2012

      30 신나민, "로봇과 교육의 관계 맺기" 2008

      31 이종향, "로봇 활용 수업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53-171, 2012

      32 이고은, "교사보조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33 김경철, "교사보조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5-42, 2010

      34 정한울, "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R-러닝 수업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27-47, 2012

      35 한정혜, "r-Learning에서의 로봇보조학습" 한국정보교육학회 13 (13): 497-508, 2009

      36 조혜경, "User Created Robots: 사용자 참여와 아이디어 공유를활성화하는 교구 로봇의 새로운 방향" 365-367, 2010

      37 Lee, D., "S!Ci: A new approach to user created robot contents. Ubiquitous Robots and Ambient Intelligence (URAI)" 23-26, 2011

      38 김경철, "R-러닝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R-러닝 수용에 대한 인식 연구: 콘텐츠와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249-269, 2010

      39 임수진, "R-러닝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47-372, 2013

      40 이연승,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487-511, 2013

      41 홍혜경, "R-러닝로봇기반 언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7 (77): 73-100, 2013

      42 김동춘, "R-러닝 로봇의 활동성에 기초한 통합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활동 참여 및 신체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57-182, 2013

      43 Park, I., "Philosophy and Strategy of Minimalism-based User Created Robots(UCRs)for Educational Robotics-Education, Technology and Business Viewpoint. International Journal of Robots" 1 (1): 26-38, 2011

      44 Kim, J., "New clay for digital natives' HRI: Create your own interactions with SiCi. Human-Robot Interaction (HRI)" 405-406, 2013

      45 Hyun, E., "Delphi Survey on the Use of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in Dramatic Activity for Young Children" 5 (5): 272-282, 2011

      46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정․보완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