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204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158.3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 형태사항

        93 p. ; 26cm

      • 일반주기명

        한영신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한숙자
        참고문헌: p.69-80

      • 소장기관
        • 서울한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were administered to 227 students from theological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0.0 program,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mental stability tha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tual self, the ideal self, the ideal/oth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urvey on gender difference shows that, in theologic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than male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the ideal/other, and self-discrepancy than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less satisfied with their school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e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satisfied with their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rvey on the majors of the theological students reveals that those who major in theology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real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ose who major in general subjects have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general discrepancies, and depression. In general universities, the Christian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an non-Christian students.
      Third, th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and non-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prove to have the degree of the real self in increasing order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n increasing order of the degree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 decreasing ord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final test h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the variables in the degree of the ideal self and the deal/other.
      Fourth, depression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other discrepanc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Psychological well-being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prove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by 43% of accountability, while shame-proneness have a higher degree of influence on depression. Shame-proneness and the actual/own discrepancy wiel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44% of accountability. Shame-pronen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operate as important variables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practical programs to deal with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in cultivating the students' positive selves in the school atmosphe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self)관련 변인인 수치심 경향성과 자기불일치가 대학생의 우울...

      본 연구는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self)관련 변인인 수치심 경향성과 자기불일치가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학대학교와 일반대학교에 재학 중인 227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대학교 학생이 일반대학교 학생보다 실제 자기, 이상 자기, 이상/타인,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서는 신학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 이상/타인, 자신불일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만족도에서는 신학대학교의 경우 학교에 불만족하는 학생들이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대학교는 학교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신학대학교 학생의 전공에 있어서는 신학전공 학생이 실제자기,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전공학생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 전체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 학생의 기독교 신앙유무에 있어서는 이상 자기, 이상/타인에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학생들이 기독교 신앙을 가지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의 세 집단간을 분석한 결과는, 실제 자기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는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후검정 결과,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 세 집단과 변인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실제 자기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실제 자기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우울,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3%였고, 수치심 경향성이 우울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치심 경향성, 실제 자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4%였다. 수치심 경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대학생의 긍정적인 자기(self)형성을 위한 대학환경 구성에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 문제 = 3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B. 연구 문제 = 3
      • C. 용어의 정의 = 4
      • D. 연구의 제한점 = 8
      • Ⅱ. 이론적 배경 = 9
      • A. 신학대학교와 일반대학교 = 9
      • B. 수치심 경향성 = 11
      • C. 자기불일치 = 17
      • D. 우울 = 21
      • E. 심리적 안녕감 = 24
      • F. 선행 연구 고찰 = 29
      • Ⅲ. 연구의 방법 = 35
      • A. 연구의 대상 = 35
      • B. 연구의 도구 = 36
      • C. 연구의 절차 = 38
      • D. 자료의 처리 = 38
      • Ⅳ. 결과의 해석 및 논의 = 40
      • A. 결과의 해석 = 40
      • B. 논의 = 52
      • Ⅴ. 요약 및 결론 = 61
      • A. 요약 = 61
      • B. 결론 = 65
      • C. 제언 = 67
      • 참고문헌 = 69
      • ABSTRACT = 81
      • 부록 = 84
      • 부록 1. 수치심 경향성 척도 = 85
      • 부록 2. Beck의 우울증 척도 = 86
      • 부록 3. 심리적 안녕감 척도 = 89
      • 부록 4. 자기불일치 척도 =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