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신체의 지방분포양상과 고혈압 = Body fat distribution and hyperten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37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심성 지방분포와 고혈압과의 관계와 비근 내측 피부두께가 기존의 말초성 지방분포를 나타내주는 삼두근 피부두께에 비해 더 우수한 지표가 되는지를 알아보기위해서 1990 년 해군수중 근...

      중심성 지방분포와 고혈압과의 관계와 비근 내측 피부두께가 기존의 말초성 지방분포를 나타내주는 삼두근 피부두께에 비해 더 우수한 지표가 되는지를 알아보기위해서 1990 년 해군수중 근무자 특수신체검사자 중에서 450 명을 연구자의 편의에 의해 추출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27.9 세였고 범위가 19-51세었다. 말초성 지방분포의 지표로 삼두근과 비골 내측 피부두께를, 중심성 지방분포는 견갑골하 피부두께와 이것과 삼두근으로 이루어진 비와 차이로 측정을 했다. 신체의 지방분포를 나타내는 피부두께와 이 들을 기준으로한 비와 차이의 지수를 4 분위수로 나누어 첫 1/4 분위수를 기준으로 하고 나머지 3 가지 수준을 기준에 비교를 했다. 연령과 전체적인 비만도를 다중지수분석으로 통제를 한 후 고혈압과의 관계에서 견갑골하 피부두께가 기준인 1/4 분위수와 비교해 보아 2/4, 3/4, 4/4 분위수로 증가함에 따라 각각 2.05(95 % 신뢰구간 1.18-3.59), 2.02(1.06-3.86), 4.00 (1.99-8.06) 의 유병비차비를 보였다. 견갑골하 피부두께와 비골 내측 피부두께의 차이 역시 4/4 분위수가 되었을 때만 2.45 (1.28-4.68)의 비차비를 보였다. 그 외의 삼근 피부두께와 비근내측 피부두께에서는 기준에 비교해 보아 1 을 포함하지 않은 비차비는 없었다. 연령과 전체적인 비만도를 조정한 비차비는 조정치 않은 조비차비에 비해 대체적으로 조금 감소했다. 비근 내측의 피부두께는 삼두근 피부두께에 비교해보아 더 우수한 말초성 지방분포를 대표해주는 피부두께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체적인 비만도 수준과는 독립적으로 견갑골하 피부두께로 측정된 중심성 지방분포가 고협압과 관계가 있으며 우수한 중심성 지방분포를 나타내주는 지표가 됨을 시사해주는 소견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 of central body fat distribution with hypertension as well as the superiority of medial calf skinfold measured as peripheral fat distribution over the conventional triceps skinfold using 450 Korean N...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 of central body fat distribution with hypertension as well as the superiority of medial calf skinfold measured as peripheral fat distribution over the conventional triceps skinfold using 450 Korean Navy divers selected by authors' convenience in 1990. Their mean age was 27.9 and range of it was 19-51. The centrally located body fat was approximated by subscapular skinfold and peripherally located fat by triceps and medial calf skinfolds. Four indices were constructed from these skinfold measures to reflect central versus peripheral fat distribution pattern : 2 ratios and 2 differences. After controlling age and overall obesity (body mass index), prevalance odds ratios of the 2/4, 3/4, 4/4 quartiles of subscapular skinfold comparing with lowest 1/4 quartile were 2.05(95% confidence interval, CI 1.18-3.59), 2.02(95% CI 1.06-3.86), 4.00 (95% CI 1.99-8.06)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subscapular and medial calf skinfolds wa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odds ratio 2.45, 95% CI 1.28-4.68 comparing highest with lowest quartiles). Triceps and medial calf skinfolds alone did not show any odds ratio not including unity. The adjusted odds ratios were generally reduced in small magnitude compared with crude odds ratios not adjusted for age and overall obesity. The medial calf skinfold appeared to be more representative of peripheral body fat distribution than triceps skinfol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entral fat distribution rather than peripheral distribution i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dependent of age and overall level of obesity and medial calf skinfold may replace conventional triceps skinfold in predicting peripheral distribution of body fa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