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더덕의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 =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Dodok ( Codonopsis laceolat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263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더덕과 재배더덕의 일반성분.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재배더덕은 산더덕보다 조회분은 1.83배, 조단백질 1.67배 높았으며, 산더덕은 재배더덕에 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산더덕과 재배더덕의 일반성분.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재배더덕은 산더덕보다 조회분은 1.83배, 조단백질 1.67배 높았으며, 산더덕은 재배더덕에 비하여 조지방이 1.09배. 조섬유가 2.03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질성분의 지방산조성은 총지방질, 유리지방질. 결합지방질에서 함량의 차이는 있지만,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가 주요 지방산으로 60%이상을 차지하였다. 아미노산양은 시료 100㎎당 건량기준으로 산더덕이 6.07㎎, 재배더덕이 8.42㎎이었으며, 질소 gram당 아미노산 함량순위는 산더덕의 경우 Arg>Glu>Lys>Asp>Phe이었으며, 재배더덕의 경우는 Arg>Glu>Asp>Lys>His의 순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proximate compostions,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wild and cultivated Doˇdoˇk (Codonopsis laceolata B. et H.) were analysed. The contents of crude ash and crude protein were higher in the cultivated Doˇdoˇk th...

      In the present study, proximate compostions,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wild and cultivated Doˇdoˇk (Codonopsis laceolata B. et H.) were analysed.
      The contents of crude ash and crude protein were higher in the cultivated Doˇdoˇk than in the wild Doˇdoˇk.
      The main fatty acids in the total lipid, free lipid and bound lipid of wild and cultivated Doˇdoˇk were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nd followed by linolenic acid. In the case of wild Doˇdoˇk, numerous unknown peaks were appeared significantly.
      The amino acids analyzed in wild aid cultivated Doˇdoˇk were lysine, histidine,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l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and phenylalanine. Arginine was the predominant amino acid in both wild and cultivated Doˇdoˇ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