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현화 〈 불가불가 〉의 기호학적 연구-"극중극"의 보조행위소 기능을 중심으로 = A symbolic research of "Bulgabulga" by Lee hyun-hwa centering on the function of the assistant actantiels in a play within a p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89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조리극이란 20세기 후반 서양 연극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극의 한 형태로, 전통적인 글쓰기와 세계 인식을 동시에 전복한다. 그리고 희극적인 구성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본질과 실존의 ...

      부조리극이란 20세기 후반 서양 연극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극의 한 형태로, 전통적인 글쓰기와 세계 인식을 동시에 전복한다. 그리고 희극적인 구성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본질과 실존의 문제를 치열하게 추적하며, 인과율을 따르는 논리적 플롯을 거부하고, 단편적인 일화들을 나열하는 방식을 취한다. 1960ㆍ70ㆍ80년대의 한국적 상황은 정치적으로는 유신체제로부터 군사 독재 체제의 연장인 제5공화국의 출범으로 문화ㆍ예술이 위축되는 상황하에서 연극쪽에서는 일그러진 정치ㆍ사회현실에 대한 객관적 통찰과 심미적 인식을 향한 연극적 효능이 주된 관심사로 부상하면서 일군의 작가들은 부조리극을 들고 나온다. 한국의 대표적인 부조리극 작가로 이현화를 꼽지 않을 수 없다. 주로 1970~80년대에 집중되어 있는 그의 작품은 초기에는 인간 실존의 문제를 천착하다가 〈 카덴자 〉(1978), 〈 불가불가 >(1982)를 발표하면서 역사인식에로의 전환을 한다. 부조리극 작가들이 즐겨 사용한 연극 기법 중의 하나가 ``극중극`` 양식인데 ``연극성``과 ``거울``로서의 분신이라는 ``구조적 이분``과 ``주제의 이분``에 따른 말하기의 독특한 방식으로 부조리한 현실을 표현해내는 데 적합하다는 이유일 것이다. 극중극은 포괄 구조(전체틀)와 내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현화의 〈 불가불가 〉는 극중극의 형식으로 연극 연습의 과정이라는 포괄 구조와, 역사적 중요 사건들이 "어전회의"라는 내적 구조로, 포괄 구조와 내적 구조가 병렬ㆍ교차되는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극중극 즉 내적구조는 포괄구조의 배우①로 하여금 내적구조의 배우⑤를 살해하게끔 한다. 이처럼 내적 구조의 보조적 기능은 관객으로 하여금 연극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 형성을 유발시켜 현실에서의 방관자적인 태도를 버리고 실천적 행위를 유도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역학적 가능성을 극중극 기능의 하나인 보조행위소로서의 기능을 그레마스(Greimas)의 행위소 모델(models actantiels)을 분석틀로 삼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atre of the absurde" is a type of the most influential plays in Western Play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overthrow equally both the traditional writing and the cognition(understanding) about the world. And in spite of the comic plo...

      "Theatre of the absurde" is a type of the most influential plays in Western Play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overthrow equally both the traditional writing and the cognition(understanding) about the world. And in spite of the comic plot, it is drastically in pursuit of the human essential and existential problems and it denies the logical plot under the law of causality, and it takes a way to arrange some fragmentary stories. In 1960s, 70s and 80s, the Korean culture and art had been atrophied because of Korean political situation which had been appeared the 5th republican government extended to the caudillismo (soldier dictatorship) from Yusin organization: The Revitalizing Reforms, and in the field of plays, some theatrical effect for the objective insight and the aesthetic cognition about the present had raised to the surface to the main concerns and a group of writers have appeared with some theatre of the absurd. I think Lee Hyun-hwa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theatre of absurd. His works that had been centered chiefly between the 1970s and 1980s had been early seeking for the problem of human existence and then publishing "Kadenza(1978)", and "Bulgabulga(1982)", he had started to make a change of the historical cognition One of the theatric techniques that the writers of ``theatre of absurd`` have enjoyed is a form of a play within a play, which is a unique form of speaking in ``the structural dichotomy`` and ``the thematic dichotomy`` which are the incarnations of the nature of theatre and mirror, and the reason for using the technique is proper to express the absurd present. A play within play consists of inclusive structure and internal structure. "Bulgabulga" written Lee Hyun-hwa takes the technique of a play within a play, which composes of the inclusive structure and internal structure, one is a course of exercise in play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the historical events in "the meeting in the presence of the King", which arrange in a row and crosse each other. A play within a play, that is, the internal structure is that the actor 1 of the inclusive structure is forced to kill the actor 1 of the internal structure. Like this, the accessorial function in the internal structure induce the audience to form the vague border between the theatre and the present and then eventually throw away the attitudes of an onlooker and cause the practical behavior. In this treatise, I would like to analyze the dynamic possibilities with the functions of the supplementary actantiels on the basis of Greima`s models actantie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