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현장실습으로서의 대학생보조교사활동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경험 분석 = An analysis of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as teaching assistants in a field training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28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field experiences of assisting in-service teachers in teaching the underachieved for 8 hours per week, which a loca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introduced to its juniors as a field t...

      This study analyzed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field experiences of assisting in-service teachers in teaching the underachieved for 8 hours per week, which a loca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introduced to its juniors as a field training requirement since 2013. This 10-week-long field training program is designed for junior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o cope with and teach the underachieved in classroom contexts. The study focuses on describing a multitude of responsibilities and duties that they are actually supposed to deal with, difficulties and frustration that they encounter during the course of training, and their thoughts and reflections on their own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 hour or 1.5 hours interviews with seven students who had completed the field experience earlier. Results showed that their experiences varied depending upon supervising teachers, learners, and school environments. Some reported that they had often spent time doing things that did not seem to correspond to the intended purposes of the training program. Some form of frustration that they had to go through came from an overall lack of teachers’ guidance, their own lack of ability to teach the underachieved, and more importantly, the reality that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required training program during the semester while taking courses almost every day. However, the interviewees also mentioned that the program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get a glimpse of, and form their own view of, how to teach and interact with the underachieved. Other educational benefits and relevant issues including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ogram are discussed as we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A교육대학교가 2013학년도부터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대학생보조교사활동으로서의 학교현장실습에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이 실습은 A교대 3학년 재학생...

      이 연구는 A교육대학교가 2013학년도부터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대학생보조교사활동으로서의 학교현장실습에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이 실습은 A교대 3학년 재학생들로 하여금 10주 동안 일주일에 8시간씩초등학교 교실에서 현장교사를 도와 학습부진을 겪고 있는 아동들을 지도하게 함으로써 학습부진아 교육 실천역량을함양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보조교사활동으로서의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재학생들이 실제하게 되는 활동과 실습을 이행하며 겪게 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또 실습 경험을 통해 느끼고 배우게 되는 점이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A교대 재학생 중 7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의분석 결과 이 실습을 통해 실제 수행했던 활동은 참여자마다 다양하였으며 참여자 중에는 이 실습의 취지에 맞지않는 활동을 하며 실습기간을 보내는 이들도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실습을 이행하며 겪는 어려움은 충분하지않았던 지도교사의 안내와 지도, 참여자 자신의 지도 능력 부족으로 인한 학습부진아 지도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대학 강의 수강과 병행되는 운영방식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보조교사 실습을 통해 얻는 효과는참여자들이 수행했던 활동만큼이나 다양하였다. 특히 학습부진아에 대한 이해 함양이나 전문적 교직관 형성에 긍정적인인식의 변화가 나타났지만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학습부진아 지도능력의 함양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초등학교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실습이기에 참관을 통해 학교현장에 대한 현실적 이해에 많은 기여를 한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석, "한국 교사양성과정에서 교육실습 교육에 대한 성찰과 미래 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47-74, 2013

      2 이금진, "질적연구를 통해 살펴 본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05-333, 2016

      3 김수진,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통한 반성과 변화" 한국수학교육학회 32 (32): 59-77, 2018

      4 인천투데이, "인천지역 고등학교에 대학생보조교사 배치"

      5 김병찬,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49-76, 2005

      6 한종임, "영어과 대학생 보조교사제의 블랜디드 모형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1 (11): 151-168, 2008

      7 오영열,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대학생 지도교사제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257-275, 2007

      8 고경석, "보조교사 활용을 통한 초등영어 수준별 쓰기지도" 글로벌영어교육학회 14 (14): 89-125, 2009

      9 손승현, "대학생 보조교사제가 교육봉사에 주는 함의:K대학교의 학습부진아 실습 사례연구" 안암교육학회 15 (15): 181-204, 2009

      10 한국경제, "대학생 보조교사, 초등 학습부진아 지도"

      1 강현석, "한국 교사양성과정에서 교육실습 교육에 대한 성찰과 미래 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47-74, 2013

      2 이금진, "질적연구를 통해 살펴 본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05-333, 2016

      3 김수진,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통한 반성과 변화" 한국수학교육학회 32 (32): 59-77, 2018

      4 인천투데이, "인천지역 고등학교에 대학생보조교사 배치"

      5 김병찬,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49-76, 2005

      6 한종임, "영어과 대학생 보조교사제의 블랜디드 모형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1 (11): 151-168, 2008

      7 오영열,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대학생 지도교사제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257-275, 2007

      8 고경석, "보조교사 활용을 통한 초등영어 수준별 쓰기지도" 글로벌영어교육학회 14 (14): 89-125, 2009

      9 손승현, "대학생 보조교사제가 교육봉사에 주는 함의:K대학교의 학습부진아 실습 사례연구" 안암교육학회 15 (15): 181-204, 2009

      10 한국경제, "대학생 보조교사, 초등 학습부진아 지도"

      11 주미경,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한국수학교육학회 45 (45): 295-314, 2006

      12 서울시교육청, "대학과 함께 한느 중등 교육" 서울시 교육청 2008

      13 허창수, "교육지식을 재구성하는 장으로서 교육실습: 다섯 교육실습생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95-127, 2007

      14 박영만, "교육실습제도 개선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15 정미재,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역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63-83, 2012

      16 정혜영, "교육실습을 통한 교육실습생의 교육신념 변화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35-257, 2008

      17 엄미리, "교육실습 전.후 예비교사의 역량변화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91-508, 2009

      18 황윤한, "교육대학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 광주교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301-334, 2007

      19 교육부, "교원자격검정실무편람" 2018

      20 김성훈, "교원업무부담을 위한 사범계 대학생 도우미 활용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1

      21 조석훈, "교사양성 교육과정으로서 교육실습의 가치"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317-342, 2008

      22 연합뉴스, "‘교대생들 보조교사로’... 전북초등생 기초학력 향상 돕는다"

      23 Knowles, J. G, "Through preservice teachers’ eyes: Exploring field experience through narrative and inquiry" Macmillan 1994

      24 Schö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25 Darling-Hammond, L., "Teacher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A review of state policy evidence" 8 (8): 1-44, 2000

      26 Henry, M., "Supervising student teachers: The professional way" Sycamore Press 1989

      27 Clandinin, D. J.,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 study of teachers’ classroom images" 15 (15): 361-385, 1985

      28 Lowenhaupt, M., "Making student teaching work: Creating a partnership"

      29 Scott, L., "Making preservice teachers better: Examining the impact of a practicum in a teacher preparation program" 9 (9): 294-301, 2014

      30 Whatman, J., "High quality practica and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initial teacher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prepared for the Education Council"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017

      31 김용익, "G 교육대학교‘학습지도실습(학습보조교사)제’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4 (54): 155-170, 2015

      32 Atputhasamy, L., "Cooperating teachers as school based teacher educators: Student teachers' expectation" 30 (30): 1-11, 2005

      33 Darling-Hammond, L., "Constructing 21st-century teacher education" 57 (57): 1-15, 2006

      34 Jumani, N., "Connection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eacher education" 4 (4): 788-800, 2013

      35 Goodrick, D., "Comparative case studies. Methodological briefs impact evaluation" UNICEF Office of Research 2014

      36 Pelletier, C., "A handbook of techniques and strategies for coaching student teachers" Allyn and Bacon 2000

      37 교육부,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