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악관정 내장증 환자의 최대 개구시 하악과두 운동량에 대한 자기공명영상 평가  :  경두개촬영법과의 비교 comparison with transcranial view = Evaluation of the condylar movement on MRI during maximal mouth opening in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MJ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441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condylar movement at maximal mouth opening on MRI in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Materials and Methods : MR images and transcranial views for 102 TMJs in 51 patients were taken in closed and maximal opening positions...

      Purpose : To evaluate the condylar movement at maximal mouth opening on MRI in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Materials and Methods : MR images and transcranial views for 102 TMJs in 51 patients were taken in closed and maximal opening positions, and the amount of condylar movement was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sults : For MR images, the mean condylar movements were 9.4 ㎜ horizontally, 4.6 ㎜ vertically and 10.9 ㎜ totally, while those for transcranial views were 12.5 ㎜, 4.6 ㎜, and 13.7 ㎜ respectively. The condyle moved forward beyond the summit of the articular eminence in 41 TMJs (40.2%) for MR images and 56 TMJs (54.9%) for transcranial views.
      Conclusion : The horizontal and total condylar movements were smaller in MR images than in transcranial view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1; 31 : 185-92)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1. 연구대상
      • 2. 연구 방법
      • 1) 임상검사
      • 2) 자기공명영상 및 경두개 방사선사진 촬영
      • 서 론
      • 1. 연구대상
      • 2. 연구 방법
      • 1) 임상검사
      • 2) 자기공명영상 및 경두개 방사선사진 촬영
      • 3) 영상 평가
      • 4) 하악과두 전방운동의 정량적 평가
      • 5) 하악과두 전방운동의 정성적 평가
      • 3. 분석방법
      • 연 구 결 과
      • 1. 임상적 및 영상 평가
      • 2. 하악과두 운동량의 정량적 비교
      • 1) 전체 악관절의 하악과두 운동량 비교
      • 2) 개구제한 유무에 따른 비교
      • 3) 동통 유무에 따른 비교
      • 4) 관절잡음 유무에 따른 비교
      • 5) 관절원판 변위 종류에 따른 비교
      • 6) 관절원판 형태에 따른 비교
      • 7) 관절 삼출 유무에 따른 비교
      • 8) 골 변화 유무에 따른 비교
      • 3. 하악과두 운동량의 정성적 비교
      • 4. 관절원판 변위 종류에 따른 개구량의 비교
      • 고 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