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한복 디자인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for Building an Online Platform for Mass Customization Hanbok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04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t opin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Hanbok and fashion experts as an exploratory survey to build an online platform for mass customization Hanbok Design. For this study, we conducted interviews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t opin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Hanbok and fashion experts as an exploratory survey to build an online platform for mass customization Hanbok Design. For this stud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12 Hanbok and clothing specialists to find out the mass customization of Hanbok design and online platforms and the requirements for a competitive platfor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experts recognized that the Hanbok ha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ized, while Hanbok education, mixed terminology, recognition as special clothing, and negative prejudice were still problems. Moreover, experts on how to develop Hanbok culture and industry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wearable environment that the Hanbok can be worn on a daily basis, develop practical design, and diversify sales strategies. Also, experts generally think that the Hanbok industry needs an attempt to develop an online platform for strategic mass casemade Hanbok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consumers' customized design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design practical product designs, while considering a reasonable target age group for 20-30s, a reasonable price, easy and efficient interface, and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ere should be an active and concrete solution to the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ss customization Hanbok design online platform to be conducted in the follow-up study. The mass customization Hanbok Design online platform through this process can be utilized as a methodological guideline for user-oriented design implementation and fashion interface construction through theoretical planning and practical verification of holistic perspective. It will then be possible to build a Hanbok brand in response to the market environment of the creation and market 4.0,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Hanbok culture and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량 맞춤 한복 디자인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로서 한복 및 패션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번...

      본 연구의 목적은 대량 맞춤 한복 디자인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로서 한복 및 패션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번 연구를 위하여 한복 디자인 및 온라인 플랫폼의 대량 맞춤화, 경쟁력 있는 플랫폼의 요건 등을 파악하기 위해 한복 및 의류 전문가 12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들은 한복이 점점 대중화되었다고 인식했고, 한복 교육, 혼합 용어, 특수 의복으로 인식, 부정적인 편견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더욱이 한복 문화와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은 한복을 일상적으로 입을 수 있는 웨어러블 환경 조성, 실용적인 디자인 개발, 판매 전략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한복 업계가 소비자의 맞춤형 디자인의 필요에 따라 전략적인 대량 한복 디자인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2030세대의 합리적인 목표 연령대, 합리적인 가격대, 쉽고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소비자와의 다방향 커뮤니케이션 등을 고려하면서 실용적인 제품 디자인을 신중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그 문제에 대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해결책이 있어야 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후속연구에서 실시될 대량 맞춤 한복 디자인 온라인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를 통한 대량 맞춤 한복 디자인 온라인 플랫폼은 이론적 기획과 전체적인 관점의 실용적 검증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구현과 패션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방법론적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어 창조와 시장 4.0의 시장 환경에 대응한 한복 브랜드 구축이 가능해지고, 한복 문화와 산업의 발전과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리듬, "한복 브랜드의 현황과 미적특성"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 (20): 127-141, 2016

      2 이미숙, "한복 브랜드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및 온라인 쇼핑몰 현황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425-441, 2018

      3 이윤미, "품질기능전개(QFD) 이론을 적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속성 : 중·노년층 여성 니트 정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4 정인희, "패션 기업의 CRM에 대한 고객 반응 연구" 한국의류학회 27 (27): 1060-1171, 2003

      5 임아영,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방안"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0 : 170-180, 2015

      6 이미숙, "웹 미디어에 나타난 커스터마이저블 패션 브랜드의 유형 및 전략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1 (21): 134-147, 2017

      7 "우리가 만든 우리한복, 리네한"

      8 고현진, "소비자 중심의 현대 패션 제품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8 (58): 93-104, 2008

      9 이보람, "소비자 맞춤 양산 의류의 시장 현황 및 고객 인식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10 최예빈, "생활한복의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분석 연구 - 2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411-422, 2016

      1 배리듬, "한복 브랜드의 현황과 미적특성"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 (20): 127-141, 2016

      2 이미숙, "한복 브랜드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및 온라인 쇼핑몰 현황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425-441, 2018

      3 이윤미, "품질기능전개(QFD) 이론을 적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속성 : 중·노년층 여성 니트 정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4 정인희, "패션 기업의 CRM에 대한 고객 반응 연구" 한국의류학회 27 (27): 1060-1171, 2003

      5 임아영,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방안"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0 : 170-180, 2015

      6 이미숙, "웹 미디어에 나타난 커스터마이저블 패션 브랜드의 유형 및 전략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1 (21): 134-147, 2017

      7 "우리가 만든 우리한복, 리네한"

      8 고현진, "소비자 중심의 현대 패션 제품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8 (58): 93-104, 2008

      9 이보람, "소비자 맞춤 양산 의류의 시장 현황 및 고객 인식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10 최예빈, "생활한복의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분석 연구 - 2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411-422, 2016

      11 남윤진, "사용자에 의한 변화형 다목적 패션디자인의 형식적 교류의 유형 및 특성" 한국디자인학회 24 (24): 163-172, 2011

      12 박진아,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3 은명진, "대량 맞춤(mass customization)형 의류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 인터넷 쇼핑 환경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4 신현암, "국내 기업의 대량 맞춤화 사례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11-131, 2012

      15 이승윤, "구글처럼 생각하라: 디지털 시대, 소비자코드를 읽는 기술" 넥서스 BIZ 144-, 2016

      16 김정지, "공예프로세스의 디지털 기술 적용과 문화적 의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7) : 43-52, 2015

      17 장민정, "감성디자인을 통한 한국복식의 지속가능성 연구" 한복문화학회 19 (19): 145-162, 2016

      18 Lewis, D., "Soul of the New Consumer: Authenticity – What We Buy and Why in the New Economy" Nicholas Brealey Publishing 3-, 2001

      19 최인숙, "SNS 인증샷에 나타난 한복의 조형적 특징 연구" 한국복식학회 67 (67): 15-30, 2017

      20 Pine, B. J., "Mass customization : the new frontier in business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Press 9-10, 1993

      21 Feitzinger, E., "Mass Customization at Hewlett Packard : The Power of Postponement" 75 : 116-121, 1997

      22 Deborah L., "Made-To-Order Fashion Goes Mainstream" Forbes

      23 Throsby, "Economics and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2001

      24 Gilmore, J. H., "Authenticity : What consumers really want" Harvard Business Press 50-, 2007

      25 Lee, S., "Acceptance of Mass Customization of Apparel: Merchandising Issues Associated with Preference for Product, Process, and Place" 20 : 138-146, 2002

      26 Connell, L., "A Consumer-Driven Model for Mass Customization in the Apparel Market" 6 (6): 240-258, 2002

      27 산업통상자원부, "2016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사업설명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4-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ociety for culture of HAN-BOK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 0.67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