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의 스트로크가 유아의 인성, 자기조절능력,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2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 스트로크 유형이 유아의 인성, 자기조절능력,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5세 유아와 부모 및 담임...

      본 연구는 부모 스트로크 유형이 유아의 인성, 자기조절능력,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5세 유아와 부모 및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스트로크 유형은 어머니의 긍정-언어적, 긍정-무조건적 스트로크와 아버지의 노 스트로크였다. 둘째, 유아 자기조절 능력에는 어머니의 긍정-신체적, 긍정-언어적, 긍정-무조건적 스트로크, 부정-언어적 스트로크와 아버지의 긍정-신체적, 긍정-무조건적, 부정-신체적, 부정-무조건적 스트로크, 노 스트로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스트로크 유형은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무조건적, 긍정-조건적, 부정-신체적, 부정 언어적 스트로크 유형과 아버지의 부정-조건적 스트로크 및 노 스트로크였다. 부모의 차이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어머니는 긍정적 스트로크 유형에서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아버지는 긍정적 스트로크 유형 외에도 부정적 스트로크 유형에서 어머니에 비해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자녀의 교류적 변인으로 스트로크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유아의 긍정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부모의 역할을 시사하는 이론적, 교육적 자료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arent``s stroke patterns affects children``s personality, self-regulation, problems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arent``s stroke patterns affects children``s personality, self-regulation, problems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stroke patterns affecting children``s personality are mother``s positive linguistic and unconditional stroke and father``s no stroke. Second, parent’s stroke patterns affecting children``s self-regulation are mother``s positive physical, linguistic, and unconditional stroke, negative linguistic stroke and father``s positive physical, unconditional stroke and negative physical, unconditional stroke, and no stroke. Lastly, Parent’s stroke patterns affect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re positive unconditional and conditional stroke and negative physical and linguistic stroke of mothers and fathers, father``s negative conditional stroke, and no stroke.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that positive stroke patterns of mothers are more affective than father’s on children``s personality, self-regulation,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s the importance of parent’s stoke responses to their children and will be used as a theoretical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childhood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영주, "형제자매 변인에 따른 유아의 마음 이해와 마음관련 표현 비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77-498, 2010

      2 김종호, "현역 지원병의 자아상태와 스트로크에 관한 연구-교류분석(TA)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8 (8): 181-197, 2007

      3 장영애, "취학전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19-629, 2009

      4 박지향, "종이접기를 활용한 조형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5 최철숙,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스트로크 유형과 자녀의 생활자세와의 관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우재현, "임상교류분석 프로그램" 정암서원 2004

      7 이윤옥,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효율적인 상호작용 - 비고스키 이론을 중심으로: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효율적인 상호작용" 10 (10): 125-153, 2006

      8 徐秀京, "유아의 행동과 기질 및 성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3

      9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0 성지현,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29-253, 2012

      1 송영주, "형제자매 변인에 따른 유아의 마음 이해와 마음관련 표현 비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77-498, 2010

      2 김종호, "현역 지원병의 자아상태와 스트로크에 관한 연구-교류분석(TA)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8 (8): 181-197, 2007

      3 장영애, "취학전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19-629, 2009

      4 박지향, "종이접기를 활용한 조형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5 최철숙,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스트로크 유형과 자녀의 생활자세와의 관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우재현, "임상교류분석 프로그램" 정암서원 2004

      7 이윤옥,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효율적인 상호작용 - 비고스키 이론을 중심으로: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효율적인 상호작용" 10 (10): 125-153, 2006

      8 徐秀京, "유아의 행동과 기질 및 성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3

      9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0 성지현,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29-253, 2012

      11 안선희,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63-180, 2002

      12 박희경, "유아의 어머니 및 아버지와의 애착과 애착 일치 양상이 유아의 또래지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보상적 영향력"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183-197, 2012

      13 최미숙, "유아의 성격이 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과 놀이성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99-316, 2014

      14 박지영, "유아의 성, 기질, 가정의 월수입,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사회적유능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59-382, 2010

      15 최경미, "유아의 사회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261-275, 2010

      16 양미경,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 또래 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77-199, 2011

      17 이찬숙, "유아의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유아 개인변인과 부모양육태도"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1-70, 2008

      18 박미진, "유아의 기질, 부부갈등,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9 오현숙, "유아의 기질 및 성격, 어머니의 만족도와 양육행동의 관계: 유아의 자율성과 연대감발달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211-226, 2006

      20 최지영, "유아기질과 부모양육태도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19-137, 2010

      21 김언경, "유아기 형제간 사회적 놀이와 형제구조, 기질, 또래유능성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61-179, 2013

      22 이대경, "유아기 아동의 부모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울산대학교 2014

      23 이지희, "유아기 긍정적·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 관련된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301-322, 2012

      24 임우영,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323-350, 2011

      25 강인설, "유아-부모 애착유형과 유아의 인기도의 대응분석 연구: 사회측정적 인기도와 지각된 인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381-402, 2012

      26 김지나, "유아 인성과 부모가 인식한 부모-자녀 관계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7 오현주, "유아 성별에 따른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185-204, 2013

      28 강정순, "어머니의 행동유형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성지능" 2 (2): 153-168, 2007

      29 정현희,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적 불안" 20 : 31-45, 2000

      30 조순옥,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및 유아의 공감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243-266, 2014

      31 용명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41-159, 2011

      32 안연경, "어머니의 스트로크가 유아 또래 간 인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15-134, 2014

      33 김영휼, "어머니의 스트로크 유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7 (7): 7-25, 2010

      34 김혜경, "어머니의 부모역할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5 김언경, "어머니가 인식한 형제관계와 형제 및 형제 또래의 낯선 동성 유아와의 상호작용 간의 관련성"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197-219, 2014

      36 윤현경, "아버지의 정서적 공감과 양육참여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2010

      37 한명숙, "아버지의 놀이 참여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7

      38 정재용, "아버지와의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유아 자아유능감 및 아버지 양육참여의 변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49-365, 2010

      39 고유미,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0 손금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인성특성과의 관계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1 구선희,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인성 및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2 조부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일치유형 및 일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비교"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93-119, 2009

      43 조정애,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기질 및 교사기질과의 관계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4 김미진,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15 (15): 137-163, 2013

      45 Shore, R., "What have we learn? In rethinking the brain: New insight into development father and work institute" Families and Work Institute 1997

      46 Berne, E., "What do you say after you say hello?: The psychology of human destiny" Grove Press 1972

      47 Dubow, E. F., "The rel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60 : 1412-1423, 1989

      48 Bowlby, J.,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39 (39): 350-373, 1958

      49 Ebel, W. J., "Supersaturation of nitrogen in the Columbia River and its effect on salmon and steelhead trout" 68 (68): 1-11, 1969

      50 Kendall, P. C., "Self-control in children :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47 : 1020-1029, 1979

      51 Fantuzzo, J., "Parent involve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ren's peer-play competencies : An examination of multivariate relationships" 6 (6): 3-21, 2002

      52 Achenbach, T. M., "Manual for child behavior checklis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1991

      53 Josephson Institute, "Making ethical decisions: The six pillars of character"

      54 Fagan, J., "Fathers and early childhood programs" Thomson Delmar Learning 2004

      55 Grier, L. K., "Character, social-emtional, and academic outcomes among under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17 : 201-216, 2012

      56 Goulding, M. M., "Changing lives through redecision therapy" Grove Press 1997

      57 Brown, T. H., "Change of self-concept with an intact group by a transactional analysis approach" ProQuest Information & Learning 1974

      58 Behar, L. B., "A behavior rating scale for the preschool child" 10 : 601-610,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