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 한류 현상과 대장금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98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90년대 말부터 시작된 중국 내 한류 현상이 10여년을 지나고 있다. '한류' 란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한국의 대중문화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라고 정의 할 ...

      90년대 말부터 시작된 중국 내 한류 현상이 10여년을 지나고 있다. '한류' 란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한국의 대중문화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이제 한류는 대중문화의 유행에서 벗어나 한국의 문화 산업은 물론, 국가 이미지 제고, 경제적 이윤을 직·간접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현재 한류 영역의 범위와 파급 효과를 보았을 때, 한류는 우리에게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에서 바라보는 중국 내 한류 현황이 아니라 한류 콘텐츠를 직접 수용하고 있는 수용자들의 수용 형태를 분석함으로서 수용자 측면에서의 한류 현상의 이해가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식이다. 수용자의 행태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다양한 한류 콘텐츠 중에서 드라마 콘텐츠를 대상으로 삼았고, 그 중에서 95년 중국 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던 『대장금』 에 대한 수용자 행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이유는 최초의 한류 현상을 가능하게 했던 콘텐츠가 바로 드라마이고, 중국 내 수출 된 한국 방송 프로그램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드라마이다. 이는 한국의 드라마가 중국 내 한류 현상을 이끄는 주요 상품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드라마는 다창구화 전략의 대표적인 장르이기 때문에 한편의 드라마로 파생될 수 있는 경제적 가치는 막대하다. 중국 내 진출한 많은 드라마 중에서 『대장금』 사례가 갖는 의미는 기존의 한류 드라마가 청소년이나 젊은층의 수용자가 대부분 이었지만, 『대장금』 의 경우 남녀노소 구분없이 전 수용자 층을 확보했다. 또한 『대장금』 은 기존의 드라마와 다른 소재로 중국 수용자들 엄청난 인기를 얻으며 다시금 한류 열풍에 도화선 역할을 했다. 중국 수용자들은 『대장금』 의 열광하는 반면, 열기가 고조 될수록 한류에 대한 견제도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보았을 때 『대장금』 은 기존 드라마와 다른 양상으로 수용 되었다. 한류에 대한 견제가 상승되는 이 시점에서 『대장금』 의 수용자 분석은 향후 한국 드라마가 중국 내 드라마 시장에 수용되어 질 때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대장금』 에 대한 수용자 분석을 통해 한국 드라마에 대한 수용자 수용 양상을 도출하고, 향후 한국 드라마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국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은 중국의 개혁 개방이후 방송국 수의 급격한 증가와 뉴미디어의 출현으로 중국 내 방송 시장의 채널 경쟁은 심화되며 중국은 심각한 방송 프로그램 부족 현상을 겪게 된다. 이와 함께 자본주의의 도입은 중국 시청자들의 경제 수준을 높였고, 더 많은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시청자들의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양질의 반송 프로그램을 요구하게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은 외국 방송 프로그램을 수입하게 되었다.
      한국 방송 시장에서의 뉴미디어 도입은 '다매체, 다채널' 방송 환경으로 변화 시켜, 각 방송사의간의 경쟁을 심화 시켰다. 이러한 방송 환경의 변화는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향상을 가져왔다. 또한 정부의 문화산업에 대한 지원은 제작 환경의 발전과 함께 한국 방송 프로그램의 경쟁을 가져왔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은 한국의 대중문화 상품이 중국에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배경을 만들어 주었다.
      『대장금』 의 수용자 행태를 분석해 보면, 먼저 『대장금』 의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았다.
      첫 째, 낮은 문화 할인율이 적용 되었다. 중국 수용자들에게 양국간의 유사한 가치관, 생활 방식 등이 『대장금』 을 거부감 없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했다
      둘 째, 중국의 근대화에 따른 사회 환경의 변화도 드라마 수용에 영향을 미쳤다.
      셋 째, 『대장금』 의 수용자들에게 친밀한 소재가 『대장금』 이 남녀노소 구분 없이 전 수용자층으로 확대될 수 있게 했다.
      넷째, 호남위성TV가 독점적으로 방영함으로서 호남위성TV에 의한 초기 마케팅도 『대장금』 을 성공으로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대장금』 의 대한 수용자 양상을 보면 크게 수용과 견제로 나눠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수용자들은 한국 드라마의 우수성을 인정하며 한류 드라마의 제작 기술을 받아들이자는 나래주의적 양상을 보였다. 반면, 『대장금』 에 잘못된 중국 역사 고증, 그리고 『대장금』 을 통한 자국 문화 우월감은 『대장금』 을 수용하는데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한류 드라마에 대한 견제를 부추겼다. 또한 문화 침략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면서 일부 수용자로 하여금 한류 드라마에 대한 견제 양상을 야기 시켰다. 중국 정부 역시 날로 확장되어 가는 한류 드라마에 대한 위기감으로 인해 한류 드라마에 심의를 강화 하고 편성을 규제하는 등 한국 드라마에 대한 견제 양상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대장금』 의 수용과 한국 드라마의 수용과 견제는 한국 드라마가 중국 시장에서 수용되어지면서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에 대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끌어 낼 수 있다.
      첫 째, 한 드라마가 타 문화권에 수용되어 질 때, 그 문화권의 문화 · 사회적 환경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향후 국내 드라마가 중국에 진입 할 때 유사 문화라는 이 점을 최대한 살려 문화 할인을 낮추며, 중국 사회 환경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둘 째, 한국 드라마 제작의 양적 성장 보다는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
      『대장금』 의 독점 방영이 실효를 거둠에 따라 독점 방영권 현태의 프로그램 확보가 증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국 방송사에서 질적으로 우수한 드라마만을 요구 할 것이다. 또한 중국 정부의 강화된 심의에 따라 이제는 양질의 드라마를 수출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방송사는 외주 제작시스템 방식을 더욱 증가 시키며 드라마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극대화하여 드라마의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
      셋 째, 최근 대두되고 있는 반한류의 수용 양상과 중국 정부의 정책적 흐름을 보았을 때 한 · 중간의 공동 제작, 합작 방식을 통한 드라마 교류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중국 수용자들은 한국 드라마를 적극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고, 중국 정부 역시 규제는 강화한 반면, 자국과의 합작 방식을 유도하고 있다. 이는 반한류의 흐름을 완화하고 양국 간의 드라마 교류를 지속할 수 있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ound ten years has passed since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shows) from China in the nineties. The 'Korean wave' refers to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s such,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the ...

      Around ten years has passed since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shows) from China in the nineties. The 'Korean wave' refers to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s such, the popularity of South Korean popular culture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n East Asia, especially in China. The Korean wave lead up to improve the image of Korea and the economic profit by direct/indirect ways as well as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Korean wave might be the very important cultural phenomenon to Korean since it has had a ripple effect on the culture. Therefore, this article did not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wave in China from the Korean view, but the consumption forms of the direct Korean wave consumers to understand the Korean wave phenomenon in the consumers' side first of all. This article used Korean TV dramas, especially sensational TV drama 『Dae Jang Geum (Jewel in the Palace)』 in 2005 as the objects for the Korean wave consumers' behavior among Korean shows. Because TV dramas are just the first contact agents of the Korean wave and have majority of the export TV shows to China. It means that the Korean TV dramas are the major products to lead the Korean wave in China. And the economic value is enormous because the TV dramas is the typical genre for multi channel strategy. Among the Korean TV drama in China, diverse consumers watched the 『Jewel in the Palace』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except that existing exported Korean TV drama were for the young aged people or teenagers. Also, it led up to Korean wave again in China since it had different plot and story from other dramas. While Chinese consumers likes the Jewel in the Palace』, the more popular it was, the more check it was. After considering the all factors, 『Jewel in the Palace』 was consumed different from existed TV dramas. At this time that the check on the Korean wave is increasing, the consumer analysis of the 『Jewel in the Palace』 might be suggest the consumption direction of the Korean TV dramas in China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article would publish the consumers' aspect on the Korean TV dramas by the analysis of the 『Jewel in the Palace』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Korean TV dramas.
      Since the rapid increase of the broadcasting system and the appearance of the new media after revolution of the Chinese broadcasting system, China suffered from the lack of TV shows and severe competition in the industry. And The Chinese people raised their standard of living by the introduction of the capitalism and could enjoy the more leisure time. The change of watchers' life style needed programs of good quality. So Chinese broadcasting system imported foreign TV shows to solve this problem.
      The introduction of the new media in Korean broadcasting system changed to "multimedia, multichannel" and deepened the competition in the industry. These change improved the quality of Korean TV shows. Also the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culture industry brought the competition among the TV shows and the active support for the overseas expansion made the environment to get in the Chinese market.
      There are success factors of the 『Jewel in the Palace』 by the result from the comsumer analysis. Firstly, low culture discount. Chinese people watched the 『Jewel in the Palace』 without aversion because of the similar values and life-style between Korean and China. Secondly,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Chinese modernization. Thirdly, the close episodes of 『Jewel in the Palace』 could make watchers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Fourthly, exclusive broadcasting the 『Jewel in the Palace』 by Hunan Satellite TV for the initial marketing.
      There are two groups such as acceptance and restraint of the 『Jewel in the Palace』 consumers by the analysis. Almost consumers acknowledge the good quality of the Korean TV dramas and took on "Bring - it - here? ism" toward Korean TV dramas. On the other hand, wrong Chinese historical research and Chinese pride through 『Jewel in the Palace』 acted negatively on the consumption that and promoted the restraint to the Korean TV dramas. Besides, some Chinese felt it like a cultural invasion and it provoked restraint on Korean wave. Also, Chinese government strengthens the restraints including intensifying deliberation and controlling the program organization on Korean TV dramas owing to the expansion of Korean wave. By these analyses, the consumption and restraint of Korean TV dramas, especially 『Jewel in the Palaces』 are shown simultaneously when they were consumpted in Chinese market.
      I suggested the following on consumption of Korean TV dramas in Chinese market.
      Firstly, when a TV drama is consumpted in other cultural area, the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 in the area are the important. So the future Korean TV dramas need the lowest culture discount with the advantage of similar culture as much as possible and development strategy though social environmental analysis.
      Secondly, the production of the Korean TV dramas should be developed in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According to the success of the 『Jewel in the Palaces』, the exclusive television right may increase the procurement of TV shows in the condition of exclusive broadcasting. And the Chinese broadcasting system will offer only superior dramas. Now Korea should export good quality's dramas to China in regard to the Chinese government's intensifying delib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the broadcasting system should increase the outside product system and strengthen the competition by maximizing the creativity and diversity. Furthermore, the preliminary production should be expanded to make marketable dramas based on precise market research. Thirdly, the drama exchange between two countries should be revitalize through joint production because of the current anti-Korean wave and change of Chinese government's policy. Chinese consumers presented positive consumption on Korean TV dramas and Chinese government induces the joint production while it strengthens the control. These would alleviate the anti-Korean wave and continue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Ⅴ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 제기 = 1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 5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Ⅴ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 제기 = 1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 5
      • 제2장 한류 현상에 대한 이론적 논의 = 7
      • 제1절 한류의 개념 = 7
      • 제2절 문화적 할인 이론 = 9
      • 제3절 문화 연구적 접근 = 11
      • 제3장 중국 내 한류 현상의 배경 = 13
      • 제1절 다채널화에 따른 중국 방송 환경의 변화 = 13
      • 제2절 중국 수용자의 방송 시청 환경의 변화 = 18
      • 제3절 한국 방송 프로그램 제작 환경의 변화 = 25
      • 제4장 한국 드라마의 중국 수용 현황과 분석 = 30
      • 제1절 한국 드라마의 시청률 분석 = 30
      • 제2절 한국 드라마의 편성 분석 = 33
      • 제3절 한국 드라마의 수출입 현황 분석 = 36
      • 제4절 한국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 선호도 분석 = 41
      • 제5장 『대장금』 사례를 통해 본 중국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수용 양상 및 효과 분석 = 45
      • 제1절 중국에서의 『대장금』 성공 요인 = 45
      • 제2절 수용자들의 『대장금』 수용양상 및 효과 분석 = 64
      • 제6장 결론 = 80
      • 참고문헌 = 85
      • Abstract =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