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드백 및 학생실수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과 피드백 수행의 관계 = Relation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Feedback and Student Error to Their Feedback Pract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6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condary-school teachers’ feedback practice, beliefs about feedback, and beliefs about student error by their teaching subject field.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d how teache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condary-school teachers’ feedback practice, beliefs about feedback, and beliefs about student error by their teaching subject field.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d how teachers’ beliefs about feedback and student error predicted their feedback practice. For those purposes, data from 294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s and PE teachers performed more ‘non-teacher feedback’, put more importance on ‘timeliness of feedback’ and ‘self-regulated feedback’, and showed a higher level of ‘competence about student error’ and ‘reflection about student errors’ th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eachers. Second, teachers’ belief about feedback as ‘accountability’ positively predicted all four types of feedback practice (i.e., non-teacher feedback, formative feedback, protective evaluation feedback, and parent reporting feedback). Third, teachers’ belief about feedback as ‘learning improvement’ negatively predicted ‘teacher protective evaluation feedback’. Fourth, teachers’ tendency of covering up student errors positively predicted ‘non-teacher feedback’, whereas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 as strain positively predicted ‘protective evaluation feedback’ and ‘formative feedback’. Also, teachers’ challenging attitude toward student errors negatively predicted ‘parent reporting feedback’.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perception of feedback as their primary role and showed that teachers’ feedback practice would be affected by how they perceived student erro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awareness about the positive effects of feedback and error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in order to increase various forms of teachers’ feedback prac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전공계열에 따른 피드백 수행, 피드백 인식, 학생실수 인식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피드백 및 학생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이들의 피드백 수행을 어떻게 예측하는...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전공계열에 따른 피드백 수행, 피드백 인식, 학생실수 인식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피드백 및 학생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이들의 피드백 수행을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3개 도시 중·고등학교 교사 294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결과를 일원분산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체능 계열 교사가 인문·사회 계열 교사보다 비교사 피드백 수행을 많이 하고, 자기조절 피드백과 피드백의 적시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실수에 대한 유능감과 고찰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피드백에 대한 책무성 인식은 4가지 유형의 모든 피드백 수행(비교사, 형성적, 의례적, 학부모 피드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피드백에 대한 학습향상 인식은 의례적 피드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학생의 실수를 숨기려는 교사의 태도는 비교사 피드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학생실수에 대한 부담은 형성적 피드백과 의례적 피드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학생실수에 대한 도전적인 태도는 학부모 피드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피드백을 교사의 역할로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해 줄 뿐만 아니라, 교사가 학생의 실수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서도 피드백 수행에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피드백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피드백 및 실수가 가진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먼저 교사의 인식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 "형성평가의 재등장과 교육 평가적 시사"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719-738, 2013

      2 연은모, "협력학습 상황에서 교실목표구조, 사회적 관계 및 실수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2014

      3 강대중,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 -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23 (23): 27-53, 2017

      4 김신영, "학생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141-161, 2014

      5 신종호, "학교목표구조, 개인목표성향 및 학업적 자기평가가 학습자의 실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225-249, 2014

      6 서종진, "피드백 방법에 따른 수학 학습의 효과" 한국학교수학회 10 (10): 71-89, 2007

      7 윤종건, "포스트모더니즘, 구성주의, 그리고 바람직한 교사상" 17 (17): 213-229, 2000

      8 안희상, "초중등교사의 피드백 인식과 혁신적 학교풍토가 피드백 실제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2017

      9 강대중, "초등학교 교사들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7-43, 2014

      10 하유라, "초등교사의 개인 내적특성과 평가실제와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215-236, 2013

      1 박정, "형성평가의 재등장과 교육 평가적 시사"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719-738, 2013

      2 연은모, "협력학습 상황에서 교실목표구조, 사회적 관계 및 실수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2014

      3 강대중, "학습자자세, 학습관리장치, 맥락지식 -평생학습이론 구축을 위한 중심 개념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23 (23): 27-53, 2017

      4 김신영, "학생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141-161, 2014

      5 신종호, "학교목표구조, 개인목표성향 및 학업적 자기평가가 학습자의 실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225-249, 2014

      6 서종진, "피드백 방법에 따른 수학 학습의 효과" 한국학교수학회 10 (10): 71-89, 2007

      7 윤종건, "포스트모더니즘, 구성주의, 그리고 바람직한 교사상" 17 (17): 213-229, 2000

      8 안희상, "초중등교사의 피드백 인식과 혁신적 학교풍토가 피드백 실제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2017

      9 강대중, "초등학교 교사들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7-43, 2014

      10 하유라, "초등교사의 개인 내적특성과 평가실제와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215-236, 2013

      11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12 김은영, "초·중·고 학부모와 학교의 소통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학부모 학교참여 시범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7-49, 2016

      13 김종백, "지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실패교육"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745-766, 2017

      14 주병하, "중학교 체육교사의 피드백 유형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3 (23): 841-853, 2014

      15 신종호, "예비교사들이 지각하는 학습자의 실수의 개념화" 한국교육심리학회 30 (30): 735-761, 2016

      16 김여주, "아츠프로펠(Arts PROPEL)을 적용한 음악감상수업의 원리 연구" 10 : 121-139, 2018

      17 김종백, "실수-기반 학습의 의미와 교육적 시사점"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895-913, 2010

      18 안혜리, "시각문화(Visual Culture)로의 패러다임 변화와 미술교과 교사교육의 새로운 방향"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17 (17): 117-132, 2005

      19 김성일, "수행에 대한 피드백 제공방식과 지각된 유능감 및 수행목표성향이 과제흥미도와 수행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15-134, 2005

      20 김지영, "무용 교육의 관점에서 잠재적인 무용 지능의 발견: 다중지능이론(MIT)의 적용에 관한 비평" 한국무용예술학회 44 (44): 1-37, 2013

      21 연은모, "대학생의 실수 인식에 대한 잠재적 유형과 주관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평가 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6 (16): 137-158, 2015

      22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23 최현준,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참여, 학업적 자기조절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959-979, 2019

      24 안혜정,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효능감이 수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비교" 교육문제연구소 31 (31): 145-170, 2018

      25 지은림, "교사의 피드백 수행을 위한 구성요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10 (10): 77-102, 2009

      26 김난옥, "교사의 특성과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9-151, 2018

      27 노현종, "교사의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879-902, 2015

      28 지은림, "교사의 수업 및 평가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165-184, 2011

      29 Wang, P., "What role does error orientation pl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innovative behavior?" 265-271, 2017

      30 Joung, W., "Using"war stories"to train for adaptive performance : Is it better to learn from error or success?" 55 (55): 282-302, 2006

      31 Norman, D. A., "Things that make us smart : Defending human at tributes in the age of the machine" Basic Books 1993

      32 Manalo, E., "The role of failure in promoting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 New findings and insights about how failure can be beneficial for learning" 30 : 1-6, 2018

      33 Bouvier, A., "The right to make mistakes" 7 (7): 17-25, 1987

      34 Hattie, J., "The power of feedback" 77 (77): 81-112, 2007

      35 Knopp, T. Y., "The passion of teaching: Dispositions in the schools" Scarecrow Education 1-13, 2005

      36 Harks, B., "The effects of feedback on achievement, interest and self-evaluation : the role of feedback’s perceived usefulness" 34 (34): 269-290, 2014

      37 Rubie-Davies, C. M., "Teacher belief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chool contextual factors: What are the relationships?" 82 (82): 270-288, 2011

      38 Brown, G. T. L., "Teacher beliefs about feedback within an assessment for learning environment" 28 (28): 968-978, 2012

      39 Covington, M. V., "Task-oriented versus competitive learning structures : Motivational and performance consequences" 76 (76): 1038-, 1984

      40 Reusser, K., "Success and failure in school mathematics : effects of instruction and school environment" 9 (9): 17-26, 2000

      41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qpplications" Sage 56-75, 1995

      42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43 Matteucci, M. C., "Progress in education" Nova Science 2015

      44 Wong, S. S. H., "Prevention–Permission–Promotion : A Review of Approaches to Errors in Learning" 54 (54): 1-19, 2019

      45 Santagata, R., "Practices and beliefs in mistake-handling activities : A video study of Italian and US mathematics lessons" 21 (21): 491-508, 2005

      46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2010

      47 Holmes, N., "Making the failure more productive : Scaffolding the invention process to improve inquiry behaviors and outcomes in invention activities" 42 (42): 523-538, 2014

      48 Metcalfe, J., "Learning from one’s own errors and those of others" 25 (25): 402-408, 2018

      49 Loibl, K., "Knowing what you don't know makes failure productive" 34 : 74-85, 2014

      50 Kohn, A., "Incentive Plans, A’s, Praise, and Other Bribes" Houghton Mifflin 1993

      51 Gelman, R.,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An educational approach" Ablex 55-82, 1994

      52 Reason, J., "Human er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53 Stiggins, R., "From Formative Assessment to Assessment FOR Learning : A Path to Success in Standards-Based Schools" 87 (87): 324-328, 2005

      54 Mathan, S., "Fostering the intelligent novice : Learning from errors with metacognitive tutoring" 40 (40): 257-265, 2005

      55 Cauley, K. M, ., "Formative assessment techniques to support stud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83 (83): 1-6, 2010

      56 Nicole, D. J., "Formative assess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 a model and seven principles of good feedback practice" 31 (31): 199-218, 2006

      57 Shute, V. J., "Focus on formative feedback" 78 (78): 153-189, 2008

      58 Price, M., "Feedback : all that effort, but what is the effect?" 35 (35): 277-289, 2010

      59 Hofmann, D. A., "Errors in organizations" Routledge 1-44, 2011

      60 Rybowiak, V., "Error orientation questionnaire (EOQ)" 20 (20): 527-547, 1999

      61 Tulis, M., "Error management behavior in classrooms : Teachers' responses to student mistakes" 33 : 56-68, 2013

      62 Steele-Johnson, D., "Error framing effects on performance : Cognitive, motivational, and affective pathways" 148 (148): 93-111, 2014

      63 Butler, R., "Enhancing and undermining intrinsic motivation : The effects of task‐involving and ego‐involving evaluation on interest and performance" 58 (58): 1-14, 1988

      64 Baldwin, T. T., "Effects of alternative modeling strategies on outcomes of interpersonal-skills training" 77 (77): 147-154, 1992

      65 Keith, N., "Effectiveness of error management training : A meta-analysis" 93 (93): 59-69, 2008

      66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67 Norman, D. A., "Categorization of action slips" 88 (88): 1-15, 1981

      68 이자현, "Arts PROPEL 프로젝트 학습에 기초한 미술 감상 교육과정의 분석적 탐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165-200, 2005

      69 Cohen, J.,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Erlbaum 2003

      70 McLean, A. J., "An anatomy of feedback : a phenomenographic investig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conceptions of feedback" 40 (40): 921-932, 2015

      71 Frese, M., "Action errors, error management, and learning in organizations" 66 : 661-687, 2015

      72 Fodor, E. M., "Achievement and Power Motives, Performance Feedback, and Creativity" 34 (34): 380-396, 2000

      73 S. Earl Irving, "'One assessment doesn't serve all the purposes' or does it? New Zealand teachers describe assessment and feedback" 교육연구소 12 (12): 413-426,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4 1.94 2.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35 2.393 0.9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