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0년 이후 유럽연합과 한국의 청소년정책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youth policies in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since 200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8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has aimed to compare the youth policies between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in order to gain the lessons in developing youth policies in South Korea. For the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has chosen the two policy papers from European...

      This research has aimed to compare the youth policies between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in order to gain the lessons in developing youth policies in South Korea. For the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has chosen the two policy papers from European Commission such as White Paper(2001)and An EU Youth Strategy for Youth(2009). Also from the 3rd National Youth Policy paper to the 5th National Youth Policy paper has analaysed. This study compared the social contexts and changes for the youth policies and analysed the vision, aims and the policy contents. There were common social context which influence on the implementing the youth policies both in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Such as citizenship and youth participation, developing the career competence were the key themes for the youth policies but the approaches were different. As a result this research suggest how to adapt and apply the analysis from the comparison in the developing of youth policy in South Korean contex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럽연합과 한국의 청소년정책을 비교분석하여 한국 청소년정책에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청소년정책인 European Commission...

      본 연구는 유럽연합과 한국의 청소년정책을 비교분석하여 한국 청소년정책에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청소년정책인 European Commission White Paper(2001)와, An EU Youth Strategy for Youth(2009), 한국은 제3차에서 제5차에 이르는 청소년정책기본계획이 비교 분석되었다. 유럽연합과 한국 청소년정책이 수립된 공통적 배경과 상황, 그리고 정책의 주요 비전과 내용이 비교되었으며, 각 정책이 가지는 성과와 한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유럽연합과 한국 모두 청소년정책이 필요하고 중요한 공통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청소년시민성과 청소년참여, 청소년 취업역량강화 등의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접근방법과 이해가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럽연합의 경우 청소년정책이 학교교육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교육의 파트너로 인식되고 있는 반면 한국의 청소년정책은 수립과 실시에 있어 다양한 범정부적 추진체계를 갖추고 있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정책의 발전을 위한 발전과제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2 박선영, "청소년자원봉사활동 동향과 발전방안"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5

      3 여성가족부,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14

      4 오해섭,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5 여성가족부,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13~2017)"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과 2012

      6 여성가족부, "제4차 청소년정책(수정·보완)기본계획(2008~2012)"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과 2010

      7 청소년육성위원회, "제3차 청소년육성기본계획(안) (2003-2007)" 2003

      8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시설정보검색"

      9 천정웅, "글로벌 청소년정책론" 양서원 2013

      10 "국민대통합위원회"

      1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2 박선영, "청소년자원봉사활동 동향과 발전방안"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2015

      3 여성가족부,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14

      4 오해섭,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5 여성가족부,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13~2017)"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과 2012

      6 여성가족부, "제4차 청소년정책(수정·보완)기본계획(2008~2012)"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과 2010

      7 청소년육성위원회, "제3차 청소년육성기본계획(안) (2003-2007)" 2003

      8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시설정보검색"

      9 천정웅, "글로벌 청소년정책론" 양서원 2013

      10 "국민대통합위원회"

      11 Denstad, F. Y., "Youth Policy Manual: How to develop a national youth strategy" Council of Europe Publishing 21-40, 2009

      12 Rochester, "Making sense of volunteering" The Commission on the Future Volunteering 2006

      13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Commission White Paper. A new Impetus for European Youth" European Commission 2001

      14 European Commission, "An EU Youth Strategy for Youth - Investing and Empowering" European Commission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