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전통무용 태평무 지도자의 전문내용지식 분석 = Analysis of the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of Traditional Korean Dance Instru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75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문내용지식(SCK)과 PCK는 학생들의 학업성취 또는 수행 향상과 관련하여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SCK는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다양한 학습과제를 통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전문내용지식(SCK)과 PCK는 학생들의 학업성취 또는 수행 향상과 관련하여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SCK는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다양한 학습과제를 통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Ward, Kim, Ko & Li, 201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 태평무 지도자들의 SCK를 조사하는 것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 92호 강선영류 태평무를 이수한 지도자 20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다. 지도자들의 SCK를 조사하기 위해 (1) 오류지식과 (2) 과제제시 지식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가르치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지도자들의 오류지파악식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연습과제는 학습자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중급/고급 무용수에 대한 지도자들의 오류지식은 비슷하였다. 둘째, 전달형과 확장형 과제를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그리고 중급수준 무용수에게는 실제공연 발표상황으로 연습하는 비게임형(AN), 게임형(AG) 과제제시를 많이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무용지도자들의 교수행동을 향상시키고, PCK를 개발하기 위한 무용 예술분야에 적합한 전문내용지식 조사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of traditional Korean dance instructors. Research questions wer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 in (1) error detection and (2) instructional task presentation accor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of traditional Korean dance instructors. Research questions wer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 in (1) error detection and (2) instructional task presentation according to dancing ability of observed dancers. Total of twenty dance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K data were collected using (1) the description of performance errors of dancers based on video clip of previous performance, and (2) content map (Ward et al.,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 relation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instructor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big different performance errors of dancers based on the ability of dancers. 2) Also, they presented different instructional task to correct errors of dancers. Instructor used the most common tasks: informing, extension, extension-applying tasks more often than any other tasks. This study provides depth of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structors. Analysis of the SCK is a valuable tool to modify teaching behaviors of dance instruct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샛별, "현직체육교사의 축구 내용지식에 따른 집단차이비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 박현하, "학습자 중심 코칭: 지도자들의 전문내용지식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 (78) : 9-19, 2019

      3 차은채, "테니스 초임 지도자와 경력 지도자의 전문내용 지식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 (77) : 205-215, 2019

      4 최지희, "초임과 경력 발레지도자의 전문내용지식 비교" 한국체육학회 58 (58): 351-361, 2019

      5 홍수민, "발레 교수학습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적 교육모형 탐색 : 예술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6 곽주현, "리듬체조 지도자들의 전문내용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 58 (58): 147-157, 2019

      7 홍애령, "뛰어난 발레교육자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 발레교수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발달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Ward, P., "of improving teacher’s content Knowledge on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86 : 130-139, 2015

      9 Ward, P., "Using content maps to measure content development in physical education:validation and application" 36 : 20-31, 2017

      10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 4-14, 1986

      1 문샛별, "현직체육교사의 축구 내용지식에 따른 집단차이비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 박현하, "학습자 중심 코칭: 지도자들의 전문내용지식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 (78) : 9-19, 2019

      3 차은채, "테니스 초임 지도자와 경력 지도자의 전문내용 지식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 (77) : 205-215, 2019

      4 최지희, "초임과 경력 발레지도자의 전문내용지식 비교" 한국체육학회 58 (58): 351-361, 2019

      5 홍수민, "발레 교수학습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적 교육모형 탐색 : 예술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6 곽주현, "리듬체조 지도자들의 전문내용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 58 (58): 147-157, 2019

      7 홍애령, "뛰어난 발레교육자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 발레교수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발달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Ward, P., "of improving teacher’s content Knowledge on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86 : 130-139, 2015

      9 Ward, P., "Using content maps to measure content development in physical education:validation and application" 36 : 20-31, 2017

      10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 4-14, 1986

      11 Rink, J., "Teaching physical education for learning" McGrawHill 2014

      12 Iserbyt, P., "Task adaptations as a function of content knowledge: A functional analysis" 91 (91): 539-550, 2020

      13 Shulman, L. S., "Knowledge and teaching: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 1-21, 1987

      14 Ward, P, "Historic tradi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345-356, 2009

      15 Kim, I, S., "Exploring changes to a teacher’s teaching practices and student learning through a volleyball content knowledge workshop" 22 (22): 225-242, 2015

      16 Siedentop, D., "Expertise, experience, andeffectiveness" 8 : 254-260, 1989

      17 Ward, P., "Differences in the content knowledge of those taught to teach and those taught to play" 37 : 59-68, 2018

      18 Ward, P., "Content maps: a teaching and assessment tool for content knowledge" 86 (86): 38-46, 2015

      19 Kim, I, "Content knowledge, enact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tudent performance between teachers with different level of content expertise" 39 : 111-120, 2020

      20 Ball, D.,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59 : 389-407, 2008

      21 Ward, P., "Chinese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depthof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in soccer" 37 : 101-112, 2018

      22 Cooper, J. O., "Applied behavior analysis" Pearson Prentice Hall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