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운동지속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22919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11. 8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0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in youth based on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and Continuance of Physical

      • 형태사항

        79 p. : 挿図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정학
        참고문헌 : p.66-73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운동지속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 Method)에 의해서 경기도지역 6개 학교를 선...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운동지속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 Method)에 의해서 경기도지역 6개 학교를 선정하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600부의 수거된 설문지 중 응답을 하지 않은 자료와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파악된 88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512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지 각 문항의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보완 하였다. 자신이 직접 질문 내용에 응답하는 자기평가 기입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에 대한 소개 및 작성 요령 시 주의사항은 설문지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직접 자세하게 설명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통계적 방법은 기술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서 운동행동변화단계, 신체적 자기개념(신체활동, 체지방, 지구력, 스포츠 유능감, 건강, 외모), 운동지속(경향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신체활동, 강화성, 경향성이 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행동변화단계는 신체적 자기개념, 운동지속에 하위요인(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은 운동지속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운동행동변화단계는 신체적 자기개념과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높이고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has purpose on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in youth based on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and Continuance of Physical. For the purpose of securing base data of the study, it was used by the Convenience Sa...

      This research has purpose on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in youth based on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and Continuance of Physical. For the purpose of securing base data of the study, it was us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om the 600 students of 6 middle and high schools in Kyung-ki do, present. Out of the 500 questionnaires responded to, only 512 were used in final analysis except for 88 that be responded to incorectly or incompletely. The questionnaire had been prepared as research tool, for purpose on finding whether those surveyed could understand each question of the survey, preliminary inquiry had been conducted and corrected, supplement the questions. Self evaluation filling up method that oneself directly respond the question had been used, for securing credibility of the questionnair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after giving a full explanation about report of the questionnaire and how to fill in. The statistical method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izing the collected data were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lastly, Scheffe Back-Testing. And SPSS Version 18.0 was used For Correlation Analysis.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physical Self-Concept(physical activity, endurance, sports ability, body fat, appearance) and the act of Physical Continuance(tendency) by youth's gender were different. From lower grade students, the figure of physical activity, strengthening and tendency marked higher. In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the Physical Self Concept', 'tendency, possibility and strengthening'-a subordinate concept that part of Physical Continuance- were different. The Physical Self Concept makes partially an impact on Physical Continuance.
      Therefore,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is important variable having a decisive effect on 'Physical Self Concept and Physical Continuance. In the future, succeeding study that can try to enhance youth's Physical Self Concept and exercise consistently, has to be progre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 내용 6
      • 4. 용어의 정의 7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 내용 6
      • 4. 용어의 정의 7
      • 5. 연구의 제한점 9
      • 6. 연구 변인 9
      • Ⅱ. 이론적 배경 10
      • 1. 청소년의 개념 10
      • 1) 생리학적 정의 11
      • 2) 인지적 정의 11
      • 3) 사회학적 정의 12
      • 2. 신체적 자기개념 13
      • 3. 운동지속 18
      • 1) 운동지속의 개념 18
      • 2) 운동지속의 결정요인 20
      • 3) 운동지속의 특징 21
      • 4. 행동변화단계 23
      • 5. 범이론적 모형 26
      • 6. 선행연구 28
      • Ⅲ. 연구방법 32
      • 1. 연구 대상 32
      • 2. 조사도구 34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 35
      • 2) 신체적 자기개념 35
      • 3) 운동지속 35
      • 3.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36
      • 4. 자료처리 방법 42
      • Ⅳ. 연구결과 43
      • Ⅴ. 논의 60
      • Ⅵ. 결 론 및 제언 63
      • 참고 문헌 66
      • ABSTRACT 74
      • 부 록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