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의 심리적 특성 비교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by Psychological Trai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인의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심리적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검토하였고,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보이는 이질성...

      본 연구는 개인의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심리적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검토하였고,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보이는 이질성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하였다. 또한, 부정적 사건뿐만 아니라 긍정적 사건을 경험한 후에도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에 따라 정서적 반응과 인지적 해석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및 고등학생 5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치심경향성은 반추적 반응양식, 과일반화, 사회불안과는 정적 상관을, 죄책감경향성은 반성적 반응양식과 성취동기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수치심경향성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반추적 반응양식이, 죄책감경향성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반성적 반응양식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인의 수치심경향성과 죄책감경향성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내부초점적 반응양식(반추적, 반성적 반응양식)이 하나의 매개변인이 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수치심경향성이 높은 사람은 죄책감경향성이 높은 사람보다 긍정적인 사건 경험을 하더라도 정서적 반응을 덜 경험하며, 인지적인 해석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측면을 더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상담 장면에서 수치심경향성이 높은 내담자들에 대해서 좀 더 심층적인 이해와 상담적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by identify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on adaptation-mechanisms. This study examin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by identify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on adaptation-mechanism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on affective responses and cognitive interpretations in positive situations as well as in negative situ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guilt-proneness and adaptation was mediated by a reflective response styl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proneness and adaptation was mediated by a ruminative response style. In particular, shame-proneness was not found to be related with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affective response in positive situations. In negative situations,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er shame-proneness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the results to their personal traits than those who had higher guilt-proneness. This study extended the current body of knowledge on the essential property of two self-conscious concep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윤,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16 (16): 251-264, 1997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남기숙,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수치심과 죄책감의 구분 문제" 11 (11): 35-52, 2002

      4 김기범, "자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분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8 (18): 29-45, 2004

      5 한혜림,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수치심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6 서현령, "자기불일치와 수치심,죄책감의 관계:자기불일치 중요도와 자기기준 선호도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2

      7 이은영, "자기불일치 기제에 따른 우울과 불안의 공존현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1

      8 박한샘, "이혼가족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9 김진영, "우울한 기분에 대한 두 가지 내부 초점과 반응양식:반추적 반응양식 대 반성적 반응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 이영호, "우울증과 인과귀인:개관" 9 (9): 111-133, 1990

      1 이정윤,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16 (16): 251-264, 1997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남기숙,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수치심과 죄책감의 구분 문제" 11 (11): 35-52, 2002

      4 김기범, "자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분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8 (18): 29-45, 2004

      5 한혜림,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수치심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6 서현령, "자기불일치와 수치심,죄책감의 관계:자기불일치 중요도와 자기기준 선호도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2

      7 이은영, "자기불일치 기제에 따른 우울과 불안의 공존현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1

      8 박한샘, "이혼가족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9 김진영, "우울한 기분에 대한 두 가지 내부 초점과 반응양식:반추적 반응양식 대 반성적 반응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0 이영호, "우울증과 인과귀인:개관" 9 (9): 111-133, 1990

      11 이성식, "역할담당 감정으로서의 수치심과 청소년 비행:상징적 상호작용 모델의 검증을 중심으로" 29 : 617-649, 1995

      12 유경, "아동의 도덕적 정서의 발달" 11 (11): 53-69, 2002

      13 유창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성취동기와 그에 관련되는 변인" 17 (17): 75-77, 1985

      14 정형수, "수치심의 지각정도에 따른 대처방식과 우울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15 심종온, "수치심경향성,죄책감경향성 및 사건귀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

      16 신주연, "성장기의 부모화 경험이 대학생의 병리적 의존에 미치는 영향:수치심경향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7 이영호, "생활사건에 대한 합의성 지각 및 객관적 합의성 정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17 (17): 57-68, 1998

      18 류설영, "대인관계 상황에서의 죄책감.수치심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연구: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19 이영호, "귀인양식,생활사건,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공변량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20 Rodin, J., "Women and weight: A normative discontent"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67-307, 1985

      21 Freud, S., "Three essays on theory of sexuality" Hogarth Press 7 : 134-243, 1953

      22 Lewis, H. B., "The role of shame in symptom form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7

      23 Blavier, D. C., "The role of shame in perceptions of marital equity, intimacy and competency" 23 : 73-82, 1995

      24 Smith, R. H., "The role of public exposure in moral and nonmoral shame and guilt" 83 (83): 138-159, 2002

      25 Sanftner, J. L.,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eating disorders symptomatology" 14 : 315-324, 1995

      26 Kaufman, G.,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Routledge 1989

      27 Damon, W., "The moral child: Nurturing children's natural moral growth" Free Press 1988

      28 Hoblitzelle, W, "The measurement of shame and guilt and the role of shame in depression" A Dissertation of Yale University 1982

      29 Abramson, L. Y., "The cognitive diathesis-stress theories of depression: Toward an adequate evaluation theories' validities" Guilford Press 1978

      30 Lester, D., "The association of shame and guilt with suicidality" 18 : 535-536, 1998

      31 Harder, D. H., "The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Erlbaum 6 : 89-114, 1987

      32 Tangney, J. P., "The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George Mason University 1989

      33 Lewis, M., "The Role of the Self in Shame" 70 (70): 1181-1204, 2003

      34 Lewis, M., "Shame: the exposed self" The Free Press 1992

      35 Morrison, A. P., "Shame: The underside of narcissism" Analytic Press 1989

      36 Einstein, D., "Shame, guilt, ego development,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66 : 555-582, 1998

      37 Andrews, B., "Shame, early abuse, and course of depression in a?clinical sample: a preliminary study" 11 : 373-381, 1997

      38 Cook, D. R., "Shame, attachment, and addictions: implications for family therapists" 13 : 405-419, 1991

      39 Lewis, H. B., "Shame and guilt in neurosis"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1

      40 Harder, D. H., "Shame and guilt assessment, and relationships of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to psychopathology" Guilford 1995

      41 Tangney, J. P., "Shame and guilt" The Guilford Press 2002

      42 Baker, R. W., "SACQ: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Ma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4

      43 Nolen-Hoeksema, S.,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100 : 569-582, 1991

      44 Burness, E., "Psychoanalytic term and concepts"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 Yale University Press 1990

      45 Harter, S., "Processes underlying the construct,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the self-concept in children" Erlbaum 3 : 1986

      46 Atkinson, J., "Motivational determinants of risk-taking behavior" 64 : 359-372, 1957

      47 Tangney, J. P., "Moral affect: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61 : 598-607, 1991

      48 Watson, D.,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 33 : 448-457, 1969

      49 Ferguson, T. J., "Measure for measure: a multitrait-multimethod analysis of guilt and shame" 69 : 425-441, 1997

      50 Merritt, P., "Guilt and shame in recovering addicts" 35 : 46-49, 1997

      51 Hoblitzelle, W., "Differentiating and measuring shame and guilt: the relation between shame and depress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7

      52 Lewis, M., "Differences in shame and pride as a function of children's gender and task difficulty" 63 : 630-638, 1992

      53 Caver, C. W., "Depression and components of self-punitiveness: High standard, self-criticism and overgeneralization" 92 : 330-337, 1983

      54 Similansky, S., "Children of divorce" 학지사 2002

      55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56 Alexander, B., "An investigation of shame and guilt in a depressed sample" 72 : 323-338, 1999

      57 Eisenberg, N, "Altruistic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Erlbaum 1986

      58 Barrett K. C., "A functional approach to shame and guilt" The Guilford Press 25-63,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2 2.3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58 3.68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