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연출자의 시점에서 본 한국 창작 뮤지컬의 제작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54231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82.14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Production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Korean Creative Musical from the Viewpoint of the Director

      • 형태사항

        ix, 86장 : 삽화 ; 30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윤태
        참고문헌 : 장 84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뮤지컬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살짜기 옵서예>가 공연된 지 불과 50여년이 흐른 지금, 2001년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이 공연되면서 뮤지컬은 그야말로 산업이라는 평가를 받을 ...

      한국 뮤지컬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살짜기 옵서예>가 공연된 지 불과 50여년이 흐른 지금, 2001년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이 공연되면서 뮤지컬은 그야말로 산업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큼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다.

      문화 콘텐츠로 빠르게 자리 잡은 뮤지컬의 본질이 무엇인지, 어떤 특징과 요소를 갖추고 있는 지와 뮤지컬의 역사를 각 나라 별로 조사하였다.

      현재 한국의 뮤지컬 시장은 1년에 제작되어 무대에 오르는 뮤지컬 작품 수가 2000편을 넘고 있으며, 뮤지컬의 시장 규모도 4000억이 넘고 있는데 이는 매년 5~1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실제 공연되는 작품들을 살펴보면 창작 작품보다는 라이선스 작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규모(대극장) 공연의 경우가 소규모(소극장)의 작품들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예로 역대 공연되어졌던 작품들을 분류에 따라 정리하여 조사하였고 한국 뮤지컬 시장의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시점에 본인이 연출자의 시점으로 지금까지 뮤지컬 제작 작업에 임하여 실제로 뮤지컬 제작 현장을 겪으며 느꼈던 경험과 노하우, 연출자로서의 뮤지컬 제작에 대해 해왔던 생각을 바탕으로 한국 창작 뮤지컬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뮤지컬 제작 시스템의 정의와 창작, 라이선스 작품이 제작되어 가는 과정을 각각의 주체에 따라 분류하고 그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또한, 창작의 주체인 창작자들과 뮤지컬 작품을 제작하며 생겼던 문제들과 공연을 올릴 때 꼭 필요한 공연장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를 연구하였다. 하지만, 연출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방안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밝혀둔다.

      작품 자체의 문제, 제작 여건과 환경에 따른 문제, 인프라의 부재로 인한 문제 등, 우리 뮤지컬 업계와 창작자들이 가지고 가야 할 길은 멀고 험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짧은 역사 속에서 엄청난 성장과 발전 속도를 본다면 그 미래는 밝다고 하겠다. 본인은 연출자로서 뮤지컬의 미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래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50 years since ‘Saljjaki-opseoye’, a start of Korean musical, was performed. As musical <Ghost of Opera>was performed in 2001, the musical made an as remarkable development as being evaluated to be an industry. It was examined ...

      It has been 50 years since ‘Saljjaki-opseoye’, a start of Korean musical, was performed. As musical <Ghost of Opera>was performed in 2001, the musical made an as remarkable development as being evaluated to be an industry.
      It was examined by countries what the essence of musical which established itself as cultural contents quickly was and what feature and element it had with the history of musical.
      The number of musical works coming on the stage after being produced in a year is over 2000 ones in the Korean musical market now, and the market scale of musical is over 400 billion won, showing the growth rate of 5~10% every year. However, to look at the works actually performed, license works not the created works account for a main place, and the large-scale(large theater) performance are more remarkable than small-scale(small theater) works. For example, the works which had been performed were organized and examin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musical market was examined.
      The development plan of the Korean created musical was studied based on the thought the researcher had about the musical production as the director, and the know-how and experiences the researcher felt while undergoing the musical production site from the viewpoint of the director.
      In this thesis, the definition and creation of the basic musical production system, and the process that license works were produce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main agent and its difference was described.
      Also, the problem of the positively necessary theater and the problems which arose while producing the musical works with creators, main agents of creation, were examined and it was researched what the plan to improve them was. However, it is revealed once again that it is a plan examined from the director’s position.
      The way our musical industry and creators should go to is far and rough such as the problem of work itself, problem caused by the production condition and environment, and problem caused by the lack of infra. However, given the enormous growth and development speed in the short history, its future is bright. It is hoped the researcher will be helpful to the future of musical as a direct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i
      • 표 목 차 v
      • 그림목차 vi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국문요약 i
      • 표 목 차 v
      • 그림목차 vi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 Ⅱ. 뮤지컬과 제작시스템 3
      • 1. 뮤지컬의 정의 및 종류 3
      • 2. 뮤지컬의 특징 5
      • 2.1 음악구조 5
      • 2.2 구성요소 7
      • 3. 뮤지컬의 역사 11
      • 3.1 영국의 뮤지컬 12
      • 3.2 미국의 뮤지컬 17
      • 3.3 프랑스의 뮤지컬 24
      • 3.4 일본의 뮤지컬 27
      • 3.5 한국의 뮤지컬 30
      • 4. 한국 뮤지컬의 분류 37
      • 4.1 창작 뮤지컬 37
      • 4.2 라이선스 뮤지컬 39
      • 5. 한국 뮤지컬 제작 시스템 41
      • 5.1 정의 41
      • 5.2 제작 방식 42
      • 5.3 한국 뮤지컬 시장 현황 48
      • Ⅲ. 연출자의 시점에서 본 창작 뮤지컬의 문제점 52
      • 1. 연출자의 정의 및 역할 52
      • 1.1 연출자의 정의 52
      • 1.2 연출자의 역할과 의무 52
      • 2. 연출자의 시점에서 본 창작 뮤지컬의 문제점 54
      • 2.1 사전제작과정 55
      • 2.2 연습과정 61
      • 2.3 무대 연습 64
      • 2.4 공연 단계 68
      • 2.5 그 밖의 문제점 69
      • Ⅳ. 연출자의 시점에서 본 창작 뮤지컬의 발전 방안 74
      • 1. 연출자의 역할로 본 창작 뮤지컬의 발전 방안 74
      • 2. 제작의 환경과 여건으로 본 뮤지컬 제작의 발전 방안 75
      • 3. 인프라의 부재를 극복하는 뮤지컬 제작의 발전 방안 77
      • Ⅴ. 결론 82
      • 참고문헌 84
      • Abstract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