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mpet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25625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 창업학과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대전

      • 형태사항

        76 p. ; 26cm

      • 소장기관
        • 국립한밭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mpet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Yang, Soo-Hee Department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Graduate Schoo...

      ABSTRACT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mpet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Yang, Soo-Hee
      Department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Hanbat National University
      Advisor : Jung, Hwa-Young

      With the advent of knowledge-based society where knowledge emerges as the foundation of all kinds of producti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businesses has dramatically changed to a globally competitive one. Technological start-ups are both an important source of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However, technological start-ups find it difficult to survive and grow under the ever increasing threat from established companies due to their limited access to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r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start-ups from resource-based view of firm. The entrepreneur's competence have often been explored as key enterprise resources of technological start-ups i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trepreneur's compet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f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1)entrepreneur's competen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2)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mediator effects among the latent variables and business performance.
      Data for the study was compiled through directly surveys to entrepreneurs representing 125 technological start-ups. In data analysis, SPSS 12.0 OK for Windows was used for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while AMOS 5.0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Empirical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results indicate that all two variable groups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outcome of business performance. Especially strategic competence is highly related to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s a parameter was significan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Key Words :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
      Technology-based Start-ups, firm Performance, Resource-based Vie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요 약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출자 양 수 희 지도교수 정 화 영 오늘날 기술창업기업은 첨단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

      국 문 요 약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논문제출자 양 수 희
      지도교수 정 화 영
      오늘날 기술창업기업은 첨단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기술의 융․복합화에 대응하여 기술혁신을 이루고, 수요자 지향적인 기술 사업화를 도모하여 치열한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도 미래 국가 경쟁력을 뒷받침할 핵심역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 주도 연구개발투자 및 기술창업기업의 창출과 육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혁신주도형 선진경제를 이루기 위한 중요 메커니즘으로 기술사업화가 부상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술창업기업의 핵심적 자원으로 간주되고 있는 기업가 역량은 여러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기술창업 기업의 창출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는 이론적․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또한 최근 기술사업화 관련 연구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자원기반이론의 측면에서 볼 때도 기업가의 역량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술창업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통해 변수 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을 각각 독립변수로 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 역량과 기술사업화 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가설에 제시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대전 지역에 소재한 기술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설정하였고, 연구목적에 적합한 표본 총 125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역량은 기술사업화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기술사업화 능력은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기업가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기술사업화 능력이 중요한 매개변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기업가 특성은 중간경로에 있는 기술사업화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후에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술사업화 능력은 기업가 역량과 경영성과 사이에 매개변수로 작용하며, 특히 기업가의 역량요소 중 전략적 사고 역량이 기술사업화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표 목 차 ⅰ
      • 그 림 목 차 ⅱ
      • 국 문 요 약 ⅲ
      • 목 차
      • 표 목 차 ⅰ
      • 그 림 목 차 ⅱ
      • 국 문 요 약 ⅲ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방법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기술창업기업 7
      • 2. 기업가 역량 10
      • 3. 기술사업화 능력 23
      • 4. 경영성과 35
      • Ⅲ. 연구 설계 39
      • 1. 연구모형의 설계 39
      • 2. 가설의 설정 40
      • 3. 측정변수의 조작적 정의 42
      • 4. 표본조사 및 실증결과 분석방법 48
      • Ⅳ. 실증 분석 49
      • 1. 변수의 측정방법 및 도구 49
      • 2. 연구 대상 및 표본 수집 방법 50
      • 3. 자료 분석 방법 53
      • 4. 실증 분석 결과 59
      • Ⅴ. 결 론 64
      • 1. 요약 및 결론 64
      • 2. 시사점 66
      •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7
      • 참 고 문 헌 68
      • ABSTRACT 73
      • 부 록(설문지)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