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통일 후 북한지역에서의 군용지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After unifying the research regarding a military reservations security plan from the North Korea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476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북한은 서로 대립적인 체제 하에서 남한은 토지의 개인 소유가 자유로우나 북한은 개인의 소유를 일체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통일 과정에서 북한 내의 토지에 대한 구 소유권자...

      남·북한은 서로 대립적인 체제 하에서 남한은 토지의 개인 소유가 자유로우나 북한은 개인의 소유를 일체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통일 과정에서 북한 내의 토지에 대한 구 소유권자들의 소유권 주장과 남한 자본에 의한 투기장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병력의 주둔지와 훈련장으로 사용되는 군용지(軍用地)는 군사력 유지를 위한 필수요소이나 토지의 재산 가치 상승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 욕구의 증가로 도심(都心) 주변 군부대의 이전 요구와 새로운 지역의 군부대 건설 반대 민원이 증가되고 있으며, 지가 급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군용지의 확보가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므로 통일 후 토지의 사유화가 금지되어 있는 상태인 북한지역내의 군용지 확보 관련 정책을 올바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현재 남한에서 겪고 있는 것 이상의 문제와 함께 군용지 확보가 매우 어려울 것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통일 한국군의 군용지 소요를 파악해 본 후 이에 대한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서는 총 6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2장에서는 토지정책 일반 및 군용지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통일 독일의 군용지 처리 사례와 교훈을 살펴보고 제4장에서는 통일 한국의 적정 군사력 규모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통일 한국의 군용지 소요 및 확보 방안과 유휴지 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군용지 관련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종합하여 결론을 제시하였다.
      각종 연구 자료를 종합해 볼 때 통일 한국군의 총 병력 수는 50만명 정도로서 육군은 60%인 30만명, 해·공군은 각각 20%인 10만명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군사력 건설과 함께 주변국의 위협 요소와 군사전략에 따라 부대 구조 및 배비 방향을 결정하여야 한다. 아울러 군용지 소요 기준은 최소한 우리 군이 최근에 서해안 지역에 건설한 공군 비행장과 해군 함대사령부 수준의 규모 및 교범이나 규정으로 정한 훈련장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의 규모를 표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통일 후 북한지역의 토지 소유권 처리는 여러 방안 중에서 재 국유화하는 방안이 군용지 확보를 위해서는 가장 유리하나 어떠한 소유권 처리 방안이 마련되더라도 북한지역의 군용지는 사유화 대상에서 제외하고 반드시 국유화한 후에 국방부에서 관리하며, 불필요한 토지에 대해서는 정부와 협조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통일 한국군을 위한 북한지역 내의 적정 군용지 확보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이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특수 토지(군용지)의 국방부 관리로서 군용지로 사용되는 토지는 반드시 재 국유화하여 국방부의 관리 하에 둔다. 둘째, 군용지 소요에 대한 우선권 확보로서 북한지역의 국토개발계획과 연계하여 군이 필요로 하는 부대 주둔지와 훈련장용 토지 소요를 군이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한다. 셋째, 토지 매수의 우선권 확보로서 몰수 토지를 구 소유권자에게 반환하거나 보상하는 방안으로 결정 될 경우 민간 소유자 등의 투기장화 이전에 가칭 ‘군용지 소요 토지 우선 매수 권에 관한 특별 조치법’등을 통한 우선 매수권의 확보로 군이 필요한 토지를 민간보다 우선하여 매수한다.
      또한, 군사력의 재배치 과정에서 군이 필요로 하지 않는 유휴 군용지는 첫째, 과감히 정부 도는 민간에 매각하거나 원 소유주에게 반환하도록 한다. 둘째, 군전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비행장과 항만 등은 사회간접자본으로의 역할과 함께 물류 기지화 및 금융센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통일과 함께 발생할 북한지역의 토지 관련 문제를 미리 예측하여 통일 초기에 군이 필요한 군용지를 적절하게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통일 이전에 준비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North Korea with each other South Korea the personal disturbance of the land is free but North Korea all does not recognize the possession of the individual from under be opposed setup. It is like that it is forecast with the fact that the mult...

      South, North Korea with each other South Korea the personal disturbance of the land is free but North Korea all does not recognize the possession of the individual from under be opposed setup. It is like that it is forecast with the fact that the multi problem point of the competition boot back due to the right of ownership assertion and a South Korea capital of nine right of ownership sleeping fields against the North Korea undergarment land from unity process will appear.
      One side, the military reservations where it is used at the camp and the training market of strength with demand the previously city center circumference army authorities righteousness the army authorities large construction opposition civil appeal of the new area increasing with the essential element for a military power maintenance or quality improvement craving increase of life of asset worth rise and the citizen of the land, about lower the security of the new military reservations is hard very with price of land sudden rise.
      Is like that after unifying straightly does not accomplish the North Korea area undergarment military reservations security relation policy which is a condition where the private anger of the land is forbidden to the case currently with problem above the thing which it is undergoing from South Korea for the military reservations security to be difficult together very, is forecast the preparation against hereupon it is necessary.
      The research which it sees consequently it stands and recognizes trying like this problem and after to grasp the military reservations disturbance of the unity South Korean military, there is a place objective which presents the security plan against hereupon.
      The research which it sees from 1st chapter to be composed of total 6 chapters which stand against agrarian policy generality and a military reservations present condition the military reservations control instance and an instruction of unity Germany from 3rd chapter and the contents regarding the enemy conditions military power size and an unit structure and an arrangement of unity Korea from report 4th chapter, it examined from 2nd chapter to present a research objective and a scope and a method, it observed the military reservations disturbance and a security plan and an idle Ji control plan of unity Korea from 5th chapter it presented it presented. With military reservations relation problem point it will reach from 6th chapter and it solves to put together the plan for, it presented a conclusion.
      When trying to put together a various preceding research data, total strength possibility of the unity South Korean military as 500000 person degree the army 300000 person the 60%th person, the navy and air force 100000 person 20%th people are each judged with the enemy conditions one thing. With like this military power construction together it follows in threat element and military strategy of the circumference country and must decide an unit structure and an arrangement direction. The training market standard which the air force airport which the military reservations disturbance standard the minimum our army constructs together recently in the west coast area and naval fleet headquarters level decide with size and manual or regulation must do the size above the level which is the possibility of being sufficient with standard.
      After unifying land ownership control of the North Korea area the plan which it re-nationalizes military reservations security hazard the head of a family separation one what kind of right of ownership control plan which stands is prepared from in multi plan the military reservations of the North Korea area from the private anger object to except, after nationalizing certainly, it manages from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gainst the land which is unnecessary the government and it cooperates and it means it will be desirable to take the management which is appropriate.
      With afterwords together 3 branches there is a wild possibility with the North Korea area undergarment enemy conditions military reservations security plan for the unity South Korean military. The land which first, as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civil official of the special land is used in the military reservations re-nationalizes certainly and it puts unde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civil official. As the priority security against a second, military reservations disturbance national land development Plans Division connection of the North Korea area it does and the right the army will be able to secure with the mail boat enemy the unit camp which the army does in necessity and training market land disturbance it secures. Third, as priority security of land buying over it returns the confiscation land to nine right of ownership people and the land where the army is necessary with security of mail boat buying over volume it leads the special care law ' back regarding provisional name ' military reservations disturbance land mail boat buying over volume previously the competition boot of the case civil owner back which will be decided with the plan which it compensates more prior the people than it buys over.
      Also, the idle military reservations which from relocation process of military power the army does not do in necessity first boldly to dispose in the government and or the people in order to return to the unit owner. The airport which is not used in the second, army whole aspect and the harbor back with role at infrastructure together the possibility of doing a goods base anger and the role as the financial center in order to be.
      It predicts the land related issue of the North Korea area which with unity will occur conclusion together in advance and the military reservations where the army is necessary in unity early stage it is appropriate and in order it will be able to secure stably, before unifying must prep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Abstract
      • 국문초록 = i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목적 = 1
      • 목차
      • Abstract
      • 국문초록 = i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목적 =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2
      • 제2장 토지정책과 군용지 관리 = 4
      • 제1절 토지정책 일반 = 4
      • (1) 토지의 개념 및 특성 = 4
      • (가) 토지의 개념 = 4
      • (나) 토지의 특성 = 4
      • (2) 토지정책개념 = 5
      • (3) 남·북한의 토지제도 = 7
      • (가) 남한의 토지제도 = 8
      • 1) 토지 소유권 제도 및 토지정책 = 8
      • 2) 지가 상승과 토지 소유 편중 = 8
      • (나) 북한의 토지제도 = 10
      • 1) 토지정책 = 10
      • 2) 토지소유권 제도 및 토지이용 현황 = 11
      • 제2절 군용지 관리 = 12
      • (1) 군용지의 개념 및 특성 = 12
      • (가) 군용지의 개념 = 12
      • (나) 군용지의 특성 = 13
      • 1) 토지로서의 일반적 특성 = 13
      • 2) 국유지로서의 특성 = 15
      • (2) 한국군의 군용지 관리 = 15
      • (가) 군용지 관리 실태 현황 = 15
      • (나) 군사시설 보호구역 = 18
      • (3) 군용지 정책의 현안 문제 = 19
      • 제3장 통일 독일의 군용지 정책 = 22
      • 제1절 통일과 국유 재산의 사유화 = 22
      • 제2절 사유화 추진상의 문제점 = 23
      • 제3절 통일 후의 군용지 정책 = 24
      • (1) 동·서독의 군사력 및 군용지 현황 = 24
      • (2) 통일 독일의 군사 통합 = 25
      • (3) 통일 후 군용지 처리 = 27
      • 제4장 통일 한국의 군사력 건설 = 29
      • 제1절 안보 환경과 통일 = 30
      • (1) 주변국과의 지정학적 관계 = 30
      • (2) 안보 환경과 통일 = 30
      • 제2절 통일 한국의 적정 군사력 = 32
      • (1) 통일 한국의 군사 전략 = 32
      • (가) 안보와 국방 정책 = 32
      • (나) 군사 전략 = 33
      • (2) 통일 한국의 적정 군사력 = 33
      • 제5장 통일 후 군용지 정책과 확보 방안 = 36
      • 제1절 통일 한국의 토지 정책 = 36
      • (1) 북한 지역의 토지 소유권 처리 = 36
      • (가) 몰수 토지의 반환 방안 = 36
      • (나) 몰수 토지의 보상 방안 = 37
      • (다) 몰수 토지의 재국유화 방안 = 37
      • (2) 안보적 측면의 국토 활용 = 38
      • (3) 북한 내 군용지에 대한 처리 = 40
      • 제2절 적정 군용지 확보 방안 = 40
      • (1) 현 한국군의 주요 군용지 점유 현황 = 40
      • (2) 통일 후 주요 군용지 소요 규모 = 43
      • (가) 육군의 소요 = 44
      • (나) 해군, 해병대의 소요 = 45
      • (다) 공군의 소요 = 45
      • (3) 군사력 재배치 과정의 군용지 확보 방안 = 48
      • (가) 특수토지의 국방부 관리 = 49
      • (나) 군용지 소요에 대한 우선권 확보 = 49
      • (다) 토지 매수의 우선권 확보 = 50
      • 제3절 유휴 군용지 처리 = 51
      • (1) 점진적 민간 이양 = 52
      • (2) 물류기지화 및 산업단지 배후 시설로의 활용 = 52
      • 제6장 결론 = 54
      • 부록 = 58
      • 참고문헌 =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