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상대습도 및 저장 온도가 분말녹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124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분말 녹차를 상대습도(23, 69, 81%)와 온도(-20, 4, 20℃)를 달리하여 3달간 저장한 후, 1.5 g에 100 mL을 첨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 아스코르브산 함량, 카테킨 함...

      분말 녹차를 상대습도(23, 69, 81%)와 온도(-20, 4, 20℃)를 달리하여 3달간 저장한 후, 1.5 g에 100 mL을 첨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 아스코르브산 함량, 카테킨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상대습도 23%, 4℃의 조건에 저장한 경우에서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 아스코르브산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각각 287.1 ㎎/g, 44.9 ㎎/g, 36.9 ㎎/g의 값을 보였다. 이는 저장 초기의 각각의 측정값인 267.5 ㎎/g, 49.4 ㎎/g, 24.2 ㎎/g에 비해 총 페놀과 아스코르브산은 증가하였고, 총 플라바놀 함량은 감소하였다. 카테킨류의 경우에도 상대습도 23%, 4℃에 저장하였을 때 가장 높았는데 주된 카테킨인 EGC와 EGCG는 초기의 16.9와 27.3 ㎎/g에서 3달 후에는 각각 24.3과 36.5 ㎎/g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카페인도 같은 조건에서 초기의 20.7 ㎎/g에서 3달 후에는 30.7 ㎎/g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높고 온도가 -20℃나 20℃에 저장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각 성분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분말 녹차의 상대습도와 저장 온도가 녹차의 품질 보존에 매우 중요하며, 낮은 습도에서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녹차의 품질 유지에 유리함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storing green tea powder for three months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20, 4, and 20℃) with three different relative humidities (RHs) (23, 69, and 81%), the chemical quality was evaluated with green tea, which was prepared by soaking 1.5 ...

      After storing green tea powder for three months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20, 4, and 20℃) with three different relative humidities (RHs) (23, 69, and 81%), the chemical quality was evaluated with green tea, which was prepared by soaking 1.5 g of the powder into 100 mL of distilled water at 70℃ for 5 min.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anol contents,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green tea powder stored at 4℃ with 23% RH changed from 267.5, 49.4, and 24.2 ㎎/g to 287.1, 44.9, and 36.9 ㎎/g,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powder before storage. EGC and EGCG, the main catechins of green tea, also changed from 16.9 and 27.3 ㎎/g to 24.3 and 36.5, g/g, respectively, after storage for 3 months at 4℃ with 23% RH. However, when the green tea powder was stored at -20 or 20oC with higher RH such as 69 and 81%, the chemical compound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emperature and RH are important during storage of green tea powder, and low RH and refrigerated condition (-4oC) are preferable to increase or preserve the chemical compounds of the t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정삼, "저장조건에 따른 녹차음료의 기능성성분 변화 및 안정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421-426, 2006

      2 윤광섭, "입자크기에 따른 분말 녹차의 흡습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720-1725, 2004

      3 박장현, "실온저장 중 가루녹차 품질 변화 억제에 적합한 포장방법" 한국원예학회 23 (23): 499-506, 2005

      4 Jeong DH, "The science of tea" Daegwang Press 87-92, 1997

      5 Kim YS, "The kinetics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in green tea during storage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and temperatures" 17 : 226-232, 1988

      6 Sikic BI,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deficiency and repletion on pulmonary, renal, and hepatic drug metabolism in the guinea pig" 179 : 663-671, 1977

      7 SAS Institute,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1995

      8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58 : 966-968, 1981

      9 Wang H, "HPLC determination of catechins in tea leaves and tea extracts using relative response factors" 81 : 307-312, 2003

      10 Ji BT, "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risk of pancreatic and colorectal cancers" 70 : 255-258, 1997

      1 고정삼, "저장조건에 따른 녹차음료의 기능성성분 변화 및 안정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421-426, 2006

      2 윤광섭, "입자크기에 따른 분말 녹차의 흡습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720-1725, 2004

      3 박장현, "실온저장 중 가루녹차 품질 변화 억제에 적합한 포장방법" 한국원예학회 23 (23): 499-506, 2005

      4 Jeong DH, "The science of tea" Daegwang Press 87-92, 1997

      5 Kim YS, "The kinetics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in green tea during storage at different water activities and temperatures" 17 : 226-232, 1988

      6 Sikic BI,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deficiency and repletion on pulmonary, renal, and hepatic drug metabolism in the guinea pig" 179 : 663-671, 1977

      7 SAS Institute,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1995

      8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58 : 966-968, 1981

      9 Wang H, "HPLC determination of catechins in tea leaves and tea extracts using relative response factors" 81 : 307-312, 2003

      10 Ji BT, "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risk of pancreatic and colorectal cancers" 70 : 255-258, 1997

      11 Graham HN, "Green tea composition, consumption and polyphenol chemistry" 21 : 334-350, 1992

      12 "Food Code"

      13 Lee SC,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catechin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green tea" 54 : 399-403, 2006

      14 Yamamoto T, "Chemistry and applications of green tea" CRC Press 1997

      15 Park JH, "Change in chemical components of powdered green tea during storage period at room temperature" 11 : 75-84, 2005

      16 Crespy V, "A review of the health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in in vivo animal models" 134 : 3431-3440, 2004

      17 Price ML,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vanillin reaction as assay for tannin in sorghum grain" 26 : 252-259,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