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의 박사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North Korea's Baksawon (Graduate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30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박사원 제도의 형성과정과 박사원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방이후 현재까지의 박사원 제도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박사원의 현황을 학사...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박사원 제도의 형성과정과 박사원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방이후 현재까지의 박사원 제도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박사원의 현황을 학사행정과 교육과정, 교육강령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박사원 교육의 특징을 교육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박사원제도의 형성과정은 학위제도의 변화에 따라 총 4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단계는 박사원 형성의 기반이 확립되는 단계로 해방이후 1960년까지이다. 이 시기에 소련을 모방하여 북한 최초로 김일성종합대학과 연구원, 과학원이 설립되어 박사원 설립의 기초가 되었다. 둘째 단계는 1961년부터 1972년까지의 기간으로 이 시기에는 연구원의 수가 증가하였고, 1961년에 김일성종합대학에 박사원이 처음으로 설립되었다. 박사원이 제도로서 정립된 단계라 할 수 있다. 셋째 단계는 1973년부터 1982년까지이며 이때 박사원생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1979년에는 ‘학사’ 학위의 명칭이 ‘준박사’로 바뀌었다. ‘자연과학분야’에만 있던 박사반이 ‘사회과학분야’에도 설치되고, 박사원의 수도 40여개로 증가하였다. 박사원이 양적으로 팽창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넷째 단계는 1983년 학위학직수여조례가 일부 변경된 후 현재까지이다. 이후 변화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준박사’학위의 명칭이 다시 ‘학사’로 바뀌었고, 199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교육법」이 채택되었으며, 2005년에 이를 다시 수정·보충하였다. 최근에는 박사원과 대학의 연계과정 등이 시행됨으로써 20, 30대 박사들이 증가하였다. 이와 함께 박사원의 사상교육과 중앙교육기관에의 통제가 강화되었다.
      박사원의 현황은 학사행정과 교육과정, 교육강령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입학과 유학, 졸업과 배치에서 여전히 출신성분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졸업하기 위해서는 사상교양과목과 외국어, 전공과 인접과목들에 대한 시험과 학위논문 심사를 통과해야한다. 과학기술분야, 특히 공학분야의 학사나 박사의 경우에는 실제 적용이 가능한지의 ‘공정확인서’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졸업논문 심의과정은 공개적으로 진행되는 등 전체적으로는 소련의 박사원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상에서 살펴본 북한 박사원의 특징은 교육적 측면에서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수업에서 박사반은 전반적으로 개인의 연구에 따라 이루어지지만, 학사반은 학급별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박사원 교육에 있어서도 정치사상교육이 더욱더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2000년 이후 박사원 교육이 수재교육과 대학연계과정 등의 교육제도 개편으로 인해 과학기술인력의 조기 양성이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박사원 교육에서 중앙교육기관의 통제가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 박사원의 사회적 측면에서의 특징은 국가발전전략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박사원은 교육간부 및 과학기술관료 양성을 기본으로 민족간부 양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시기별로 국가에 필요한 교육들을 보강해 왔다.
      북한사회는 국가의 운영에서 체제전복과 변화 등의 국내외적 위협 속에서 해방이후 국가수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인테리정책과 간부정책을 통해 끊임없이 인테리들을 관리하는 동시에 견제해 오고 있다. 북한의 박사원은 초기 교원 및 연구자 양성과 이들의 자질향상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사상에 투철한 기술관료들의 양성을 위해 최근에는 기존의 대학이 가지고 있던 민족간부양성 역할까지도 맡게 됨으로써 박사원 교육에 있어서도 중앙교육기관의 통제와 사상교육이 더욱더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North Korean Baksawon system, with a focus on its formation and associated spec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gives an overview of the formation process of Baksawon system from August 1945 to the present. Also, a...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North Korean Baksawon system, with a focus on its formation and associated spec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gives an overview of the formation process of Baksawon system from August 1945 to the present. Also, and the status of Baksawon under the category of academic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s is reviewed, based o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Baksawon education is then analyzed from educational and social perspective.
      Four types of degree system are studied under the Baksawon formation process. At the first stage which lasted from 1945 until 1960, North Korea is regarded to have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Baksawon. During this period, North Korea followed the USSR model and established Kim Il Sung University, various postgraduate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Academy of Science. The second stage is from 1961 to 1972, an establishment phase for Baksawon as a system. The number of research institutions increased during this period and Kim Il Sung University became the first institution to set up Baksawon in 1961. The third stage is from 1973 to 1982, during which the number of Baksawon students increased rapidly. In 1979, the name of 'Haksa(master)' degree was changed into 'Junbaksa(semi-doctor)'. The number of Baksawon also increased to 40, representing a quantitative leap in growth. The fourth stage is from 1983 to present day, beginning with the partial amendment of the Ordinance for Presentation of Degrees and Titles. In 1979, the name of 'Junbaksa(semi-doctor)' degree was reverted back to 'Haksa(master).' More recently, an academic bridge course between Baksawon and universities was introduced, thus increasing the number of doctorate degree holders in the age group of 20's and 30's. North Korea also reinforced ideological education in Baksawon and strengthened its control on central educational organs.
      Ancestry was found be an crucial condition for admission, overseas study, graduation and job allocation. Stud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the qualifying examinations and pass the defense of the thesis. Science & engineering students need to go through 'official confirmation' and public dissertation, as is the case in the USSR.
      The characteristics of Baksawon of North Korea as explained in the abov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 the educational aspects. First, Baksawon education is generally accomplish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rogress made by doctoral candidates, while master courses are progressed at the class level. Second,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is further strengthened at the Baksawon education. Third, early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s became possible at the Baksawon, as a result of the reform of the gifted & talented education program and university bridge programs after 2000. Lastly, the central educational organ is strengthening control of the Baksawon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in social aspects show that the Baksawon education is being pursued as a part of th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As seen in the intelligentsia policy of the early days to the cadre policy of today, the North Korean society has always had tight control over the intelligentsia group. Although North Korea's Baksawon was first established to bring out and improve quality of professors and researchers, it grew to assume the role of cadre training institute in an effort to bring up technocrats with firm confidence in ideology subsequently leading to strengthened control and indoctrination by the central educational org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2
      • 제3절 연구방법 및 범위 = 4
      • 국문요약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2
      • 제3절 연구방법 및 범위 = 4
      • 1. 연구방법 = 4
      • 2. 연구범위 = 7
      • 제2장 사회주의국가와 북한의 고등교육 = 8
      • 제1절 사회주의 국가의 고등교육 = 8
      • 1. 소련 = 8
      • 2. 중국 = 14
      • 제2절 북한의 고등교육 = 21
      • 1. 교육이념과 고등교육 정책 = 21
      • 2. 북한의 고등교육 체계 = 33
      • 제3장 북한 박사원 제도의 형성과정 = 39
      • 제1절 박사원 형성의 기반 확립: 해방~1960년 = 39
      • 제2절 박사원 제도의 정립: 1961년~1972년 = 41
      • 제3절 박사원의 양적 팽창: 1973년~1982년 = 44
      • 제4절 박사원의 질적 향상 도모: 1983년~현재 = 45
      • 제4장 북한 박사원의 현황과 특징 = 52
      • 제1절 북한 박사원의 현황 = 52
      • 1. 학사행정 = 52
      • 2. 교육과정과 교육강령 = 59
      • 제2절 북한 박사원의 특징 = 63
      • 1. 교육적 측면 = 63
      • 2. 사회적 측면 = 66
      • 제5장 결론 = 70
      • 참고문헌 = 73
      • ABSTRACT =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