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 교육 관점에서의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분석연구 = Analysing the listening section on Elementary Music Textbook from the View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97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with globalization, Korean society is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chool enroll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on the rise every year, thus generating a lot of int...

      Recently with globalization, Korean society is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chool enroll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on the rise every year, thus generating a lot of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possible through various music in school music education. Therefore, researching music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meaningful attempt. Listening is a field of music education where you can easily experienc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can be a valuable effort to compare areas of appreciation of music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10 years from 2006 to 2015, listen section research was insufficient in the preceding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subject of master's thesis. so,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extbook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diversity of music pieces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to invigorat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first looked at the importance of listening section in the school education and music subjects. Second, we compared the goals of the 7th, 2007 and 2009 music curriculum with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system and looked at the flow of listening section. Third, the research extracted the listening section for the 7th, 2007, and 2009 music curriculum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target,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criteria of the listening section. Fourth, we looked at the concept and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modern society, and fifth, we considered the need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ixth, I looked 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ur elementary music education.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search, I analyzed listening section of 12 textbooks of 3rd to 6th grade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continents, Europe>Asia>America ranked in the order. The sum of the music of Europe and Asia continent is 95.6%, and the music of the appreciation music of 12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is biased to Europe and Asia continent.
      In a regional comparative research, Asian continents were ranked in order of Korea>Japan>China>Thailand. Korean music was 86.8%, which was distributed unequally.
      On the continent of Europe, there were ranked in order of German > Austria > Italy > France > United Kingdom > Russia > Norway > Sweden = Spain = Belgium. There were 4 countries in Asia but 12 in Europe.
      On the continent of American, there was distributed to the United States>Brazil. The United States accounted for 72.7%, Brazil accounted for 27.3%. This shows that music in the American continent is biased towards the United States.
      The African and Oceania continents did not include the music.
      Second, comparative study of musical instrument was distributed in order of win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percussion instrument> keyboard instru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nd instruments and the keyboard instruments was 40%, which was unevenly distributed.
      Third, comparative research of the period, it was distributed in order of romantic age>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20th century> classical> baroque.
      The romantic era and traditional music combined were 68.8%, and were concentrated on the two periods, The rest of the various period was less than 10 %.
      First,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the music of specific continents, countries, musical instruments and various periods more evenly.
      Second, since the current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n society is high in the percentag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Asian countries, the music of various Asian countries should be included according to the reality of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although it is important to include music of various continents, instruments, and times, it should include fusion music of new styles and genres that combines diversity at once.
      Fourth, a teaching process should be developed to guide the appreciation area based on learning goals and content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music. Rather than utilizing the musical elements and learning materials of Western music, goals and lesson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music ar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국사회는 세계화와 함께 다문화 사회에 접어들게 되었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의 자녀의 학교 취학률은 매년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

      현재 한국사회는 세계화와 함께 다문화 사회에 접어들게 되었다.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의 자녀의 학교 취학률은 매년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많은 관심이 일어나고 있다.
      학교 음악 교육에서 다양한 음악을 통해 다문화 교육이 실천 가능하며 학교 음악 교육에 있어 다문화적 특성을 쉽게 경험하는 영역은 감상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음악교과서 감상영역을 분석 연구하는 것은 가치 있는 시도가 될 수 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석사학위논문 대상으로 국회전자도서관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근거한 결과 다문화 음악교육의 선행 연구는 가창 수업 위주로 편중되었으며, 감상, 창작, 기악의 연구는 미비한 것을 말해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 악곡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첫째, 학교 교육에서 가장 쉽게 다문화를 접할 수 있는 음악과목의 감상영역의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제7차, 2007개정,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체계의 변천과 특징을 비교하고 감상영역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셋째, 제7차, 2007개정,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을 발췌하여 감상영역의 목표, 내용체계, 성취기준의 특징과 변천을 알아보았다. 넷째, 다문화 사회로 접어든 현대사회의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고찰하였으며, 다섯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여섯째, 우리나라 초등 음악 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을 교육과정 별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다문화 교육 관점에서 감상영역의 반영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초등학교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검정교과서 6종 3~6학년 교과서 12권의 감상영역을 다문화 교육 관점에서 분석연구 하였다.
      분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비교 연구의 대륙별 분류에서 유럽>아시아>아메리카 순으로 분포되었다. 유럽과 아시아의 감상곡 총합은 236곡으로 총 95.6%이며,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12권의 감상영역 감상곡의 비율이 유럽과 아시아 대륙에 치우쳐 있다.
      지역별 비교 연구의 나라별 분류에서 아시아 대륙은 한국>일본>중국>태국 순으로 비율이 편성되었다. 한국 감상곡이 86.8%로 한 쪽으로 불균등하게 치우치게 나타났다.
      유럽 대륙의 경우, 독일>오스트리아>이탈리아>프랑스>영국>러시아>노르웨이>스웨덴=체코=스페인=폴란드=벨기에 순으로 분포되었다. 아시아대륙이 4개의 나라에 그친 데에 비해 유럽은 12개국의 악곡이 분포되었다.
      아메리카 대륙은 미국>브라질 순으로 분포되었다. 총 11곡 중 미국이 8곡으로 72.7%, 브라질 3곡으로 27.3%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아메리카 대륙 나라 중 감상곡이 미국으로 편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대륙과 오세아니아 대륙의 감상곡은 수록되지 않았다.
      둘째, 악기별 비교 연구는 관악기>현악기>타악기>건반악기 순으로 분포되었다. 관악기와 건반악기의 비율의 차는 40%로 악기별로 불균등하게 분포되었다.
      셋째, 시대별 비교연구 결과, 낭만>전통음악>창작국악>20세기>고전>바로크=기타 순으로 분포되었다. 낭만시대 감상곡과 전통음악의 합의 비율이 68.8%로 두시대로 편중되어있었으며 나머지 다양한 시대의 감상곡은 10% 미만의 분포를 보였다.
      제언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따라 특정한 세계 대륙과 나라, 악기, 시대의 음악이 보다 균등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둘째, 현재 한국사회의 다문화 가정은 아시아에 속한 국가의 다문화 가정 분포가 높으므로, 한국의 다문화 가정의 실정에 맞추어 아시아의 다양한 나라의 음악이 수록되어야 한다.
      셋째, 다양한 대륙, 악기, 시대의 음악의 수록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양식과 음악적 특징을 한 번에 융합한 새로운 양식 및 장르의 퓨전음악을 수록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다문화 악곡 특성에 맞는 학습 목표와 내용을 기반으로 감상영역을 지도할 교수학습 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2
      • Ⅱ. 이론적 배경 4
      • 1. 음악 감상교육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2
      • Ⅱ. 이론적 배경 4
      • 1. 음악 감상교육 4
      • 가. 감상영역의 중요성 4
      • 나.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특징 7
      • 다.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감상영역의 변천 9
      • 2. 다문화 교육과 음악교육 13
      • 가.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목적 13
      • 나.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 14
      • 다. 우리나라 초등음악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 17
      • 3. 선행연구 21
      • 가. 악곡분석 연구 21
      • 나. 수업지도방안 연구 24
      • 다. 논문 분석 연구 26
      • Ⅲ. 연구방법 28
      • 1. 연구대상 28
      • 2. 분석방법 30
      • 3. 연구절차 34
      • Ⅳ. 다문화 교육 관점에서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비교·분석 36
      • 1. 지역별 비교 36
      • 가. 대륙별 36
      • 나. 나라별 40
      • 2. 악기별 비교 52
      • 3. 시대별 비교 56
      • Ⅴ. 결론 61
      • 1. 분석결과 61
      • 2. 제언 62
      • 참고문헌 64
      • ABSTRACT 67
      • 부록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