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소리 이면 용어화의 용례 분석 - 구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적인 분석을 중심으로 - = An Analysis of the Examples of Terminologization in Pansori Imyeon - Focus on Structural Linguistic and Cognitive Linguistic Analysi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1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판소리에서 ‘이면’이란 용어는 판소리의 핵심적인 용어이지만 여태까지 판소리 ‘이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심지어 판소리 이면의 개념에 대해서도 혼란을 겪고 있으며 그 정...

      판소리에서 ‘이면’이란 용어는 판소리의 핵심적인 용어이지만 여태까지 판소리 ‘이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심지어 판소리 이면의 개념에 대해서도 혼란을 겪고 있으며 그 정체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판소리 연구에서 언어학의 입장으로 연구하는 것이 극히 적으며 특히 구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적 연구는 판소리 연구의 황무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판소리 ‘이면론’에 들어가면 꼭 집고 넘어가야 할 문제인 ‘이면’의 뜻과 용법에 대하여 여태까지 일으킨 인식의 혼란을 기능·구조 언어학, 인지언어학을 주된 연구 방법론으로 하며, 그 외에 이중주어론, 통시언어학, 언어유형학, 통사론 등 다양한 언어학의 방법론과 문헌연구법으로 분석하였다. 인지언어학 중 주로 인지의미론, 주의적 관점, 의미의 변화 중의 은유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시대 흐름에 따른 판소리 이면 용례의 언어구조적 변화 양상을 살피고 ‘이면’이 반사하는 판소리에 대한 시대 인식을 검토하였다. 바꿔 말하면, 판소리에 대한 인지를 분석하며 이면의 뜻과 용법에 대한 인식을 한 층 더 깊어지자고 할 뿐더러 판소리사에 대한 재검증을 하고자 하며 이면이 학술어로서의 확립을 위해 기초를 닦아 두고자 한다.
      결국은 한국어 이중주어문의 언어 구조의 변화 과정과 이면 표현의 언어가 반영하는 판소리에 대한 인식(인지)에 맞물려서 판소리 ‘이면’의 용례를 아래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첫째, 일반어로 쓰이는 ‘이면’ -‘말 이면이 당치 않다’ - ‘말 이면은 틀리다’ 언어주조는 주제-평언이다.
      둘째, 전문적인 영역으로 끌어 쓰기 시작한 ‘이면’ - ‘소리의 이면을 알다’ 언어구조는 주제-평언에서 주어-술어까지의 중간형을 취한다. 즉 주어인 ‘이면’ 앞에서 주어의 영역이나 범위를 한정해 주는 ‘N. 의’가 온다.
      셋째, 직업어로 쓰이는 ‘이면’- ‘이면이 적당하다’, ‘이면이 맞다’ 언어구조는 주어-술어(탈주제화)이다.
      그리고 ‘이면’의 용법을 고찰하는 과정에 그의 뜻과 용법에 대한 해석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그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판소리 ‘이면’의 개념 문제에는 지금까지 두 가지 심한 혼동된 점이 있다. 하나는 ‘이면’을 역사적인 상황과 판소리에 대한 인식의 규칙을 무시한 채 주관적으로 과해석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이면’의 개념적 의미와 용법의 상황적 의미를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면이 직업어가 된 후에도 다의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그의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이면’의 개념 확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yeon is a key word in Pansori, but little research exists on this word in the academic field. Moreover, confusion prevails even about its definition. Further, there exists almost no linguistic study, especially structural linguistic or cognitive lin...

      Imyeon is a key word in Pansori, but little research exists on this word in the academic field. Moreover, confusion prevails even about its definition. Further, there exists almost no linguistic study, especially structural linguistic or cognitive linguistic studies on Pansori.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and usage of Imyeon based on the theory of structural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as well as diachronic linguistics, double-subject, linguistic typology, syntax, and documentation. And the cognitive linguistic analysis focus on cognitive semantics, attentional view and metaphor. The linguistic structure of the examples of Imyeon has changed over time. By examining the structure, we can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Imyeon, find out the recognition of Imyeon based on how it has historically been cognized. In other words, the present thesis not only tries to explore the meaning and usage of Imyeon by discussing the cognition of Pansori and Imyeon, but also tries to verify the history of Pansori. Moreover, by this research and with the aid of another research that charts the history of theoretical research on Imyeon, the attempt is to define Imyeon as terminology.
      As a conclusion,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al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 examples of Imyeon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when Imyeon is used in general language - "말 이면이 당치 않다/ 틀리다" the linguistic structure is topic-comment.
      Second, Imyeon began to be used in a specialist area - "소리의 이면을 알다" the linguistic structure in which "N. 의" modifies the subject Imyeon, finites the specialist area of Imyeon and is in the middle of the topic-comment and subject-predicate.
      Third, when Imyeon is used in professional language - "이면이 맞다" the linguistic structure is subject-predicate(topic abscission).
      Besides, with the examination of the examples of Imyeon, this paper raises two main problems by which people are easily confused. One is the neglect of history situation and the rule governing the cognition of Pansori Imyeon, which as a result, leads to the problem of over-interpretation; the other is the confusion of objective meaning and situational meaning.
      In the end, Imyeon remains polysemous in professional language. This indicates that the subject of later research is the definition of Imyeon as terminolog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완, "화제의 의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 (4): 205-227, 1979

      2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월인 2012

      3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93-96, 1996

      4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2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김동욱,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8 방문배, "판소리의 이면에 따른 선법 변화 양상 연구 : 춘향가 중 안숙선의 '사랑가'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김진영, "판소리문화사전" 박이정출판사 2007

      10 박판수, "판소리 텍스트의 ‘이면’의 구현 양상 연구 - 發生背景에 관한 고찰" 판소리학회 14 : 2002

      1 채완, "화제의 의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 (4): 205-227, 1979

      2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월인 2012

      3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93-96, 1996

      4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2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김동욱,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8 방문배, "판소리의 이면에 따른 선법 변화 양상 연구 : 춘향가 중 안숙선의 '사랑가'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9 김진영, "판소리문화사전" 박이정출판사 2007

      10 박판수, "판소리 텍스트의 ‘이면’의 구현 양상 연구 - 發生背景에 관한 고찰" 판소리학회 14 : 2002

      11 최동현, "판소리 이면에 관하여- 사설과 장단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14 : 2002

      12 김혜정, "판소리 음악론" 민속원 2009

      13 이국자, "판소리 연구 : 80년대 名唱의 판소리를 中心으로" 정음사 1987

      14 박황, "판소리 소사" 신구문화사 1974

      15 김종철, "판소리 리얼리즘과 그 특질" 한국어교육학회 104 (104): 191-218, 2001

      16 김보배, "판소리 감상 교육 내용 연구 : 수용자의 '이면' 구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7 이보형, "판소리 辭說의 劇的狀況에 따른 長短·調의 構成" 예술원 14 : 139-168, 1975

      18 서종문, "판소리 ‘이면’의 역사적 이해" 국어교육학회 19 : 67-82, 1987

      19 한글학회, "큰 사전" 을유문화사 1957

      20 김민수, "종합국어사전" 어문각 1968

      21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 출판사 1940

      22 조은경, "전문용어의 어휘형태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3 임지룡,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의미학회 21 : 1-29, 2006

      24 한글학회, "우리말 큰 사전" 어문각 1992

      25 김종철, "역비한국학연구총서 - 근대편" 역사비평사 2008

      26 김연수, "심청가 1권" 116-, 1974

      27 천이두, "시김새와 이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태학사 133-175, 1998

      28 백대웅, "명창과 판소리의 미학-이면의 이면" 국어국문학회 182-, 1998

      29 "두산백과"

      30 성창순, "넌 소리 도둑년이여" 언어문화 1995

      31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32 노대규, "국어학서설" 신원문화사 2002

      33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34 서정수, "국어(國語)의 이중주어(二重主語) 문제(問題)-변형생성문법적 분석" 52 : 1-28, 1971

      35 姜漢永, "韓國古典文學大系 第12卷-申在孝 판소리 사설集(全)" 民衆書館 1971

      36 彭麗貞, "認知語言學導論-第二版" 複旦大學出版社 2009

      37 崔福子, "國語의 '二重主語'構文에 대한 話用論的 硏究"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9

      38 구인환, "Basic 고교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신원문화사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