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전문가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Plan for Financial Resources Management Exper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74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 Korea relies heavily on public support funds and corporate sponsorships or support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their activities, Consequently, it is easily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

      Mos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 Korea relies heavily on public support funds and corporate sponsorships or support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their activities, Consequently, it is easily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economic depression and so forth. The amount of funds shows a decline every year although they try to raise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through the donation culture activation in culture and arts and their financial resources from donation support funds are on the decrease while the ratio of public support funds are on the increase year by year.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raw up a development plan for financial resources management exper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as a self-reliant method of their stable and active private finances procurement, by analyzing current status and performing relative case studies.
      Firstly, as a current status analysis, the change and ratio of annual income structure for public support funds, self-revenue, and donation support funds has been analyzed, compared to the total incomes in the past three years of performance facilities, cultural art centers, and specialized arts corporation or organizations excepting performing groups. In addition, to figure out the limitation of public supports and the necessity of private supports,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budgets of the central government's department exclusively responsible for culture of major countries was performed an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of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was analyzed as well as the donation expenditures and corporative suppor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Secondly, the organization structure related to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was comparatively analyzed with foreign cases and the overseas education curriculum for fund-raising experts, the domestic educational program of non-profit organizations, and the current educational status of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domestic arts were closely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investigation.
      First of all, the public support funds account for almost a half of the total income. It reflects that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dependence on public support funds is high and the domestic donation culture for culture and arts is not established yet according to the annual decrease of self-revenue and donation support funds. The public culture and arts support in Korea is typically from the national treasury or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Considering the economy size of Korea, however, the scale and ratio of cultural budget should be increased for smooth public supports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s because of the government's low expenditure on the cultural sector, but it is hard to be solved since the cultural budget is regarded as a subsidiary matter in the order of priority compared to the budgets of national defense, economy, and industry.
      Even though Culture and Arts Committee is consistently collecting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s from other financial resources such as private or corporate donations through the activation of donation culture to meet the demand of steeply increasing cultural and artistic creative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since the fund-raising was abolished, it is de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the private efforts and supports are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financial stability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to overcome the financial danger of being exhausted.
      Regardless of the annual steady increase of corporate and private expenditures on donation in Korea, the total amount of private donation on culture and arts excepting other's family events and religious offering accounts for 0.2% and the corporate donation even including the sports sector accounts for 8.7%, which is very low.
      The corporate supports on culture and arts are more likely to be supports on their own programs or events for corporation PR than pure supports. The donations for supports and sponsorships are relatively low and their motives are also 'contribution to community', 'marketing strategy', or 'organization management'. Moreover, the corporate supports on culture and arts are sensitive to economic situations, so it would not be stable for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Thus, instead of depending on these unstable financial resources which are easily fluctuating by environmental factors, donator recruitment, program implement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organizations are necessary for settled financial resource procurement through private donations.
      Secondly, the concept for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should be changed above all things so that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can develop financial resources more organizationally and systemically. As foreign cases, various programs development and support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for financial resource procurement with proper organizations and human resources by establishing financial resources development committee or separate organizations and departments.
      CFRE, a fund-raising expert certificate authentication institution in U.S., grants certifications with educational and training curriculum for fund-raising experts by strictly verifying professional theory, skills, and qualifications and reviewing responsibility for ethical criteria and working-level fund raising career over a given period. Furthermore, fund-raising expert educational institutions systemically provide an introduction course on AFT financial resource development (raising fund) so that experienced working-level employees can study from fundamental fund-raising to advanced skills for CFRE preparation.
      The Hope Institute, Korean Donation Culture Institu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문화예술단체 대부분은 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재원마련에 있어 공공지원금 및 기업의 협찬이나 후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한 외부 환경변화...

      우리나라의 문화예술단체 대부분은 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재원마련에 있어 공공지원금 및 기업의 협찬이나 후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한 외부 환경변화에 있어서 결코 안정적이지 못하다. 최근 문화예술 기부문화 활성화를 통해 문예진흥기금을 꾸준히 마련하고 있기는 하나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공공지원금의 비중은 높아져가고 있는 반면 기부후원금을 통한 수입은 점점 낮아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단체들이 스스로 안정적이고 활발한 민간재원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전문가 육성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현황 및 관련 사례분석 중심의 연구로 진행할 것이다.
      첫째, 현황 조사로써 공연단체를 제외한 공연시설, 문예회관, 전문예술법인·단체의 최근 3년간 전체수입 대비 공공지원금, 자체수입, 기부후원금에 대한 비율 및 연도별 수입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공공지원의 한계와 문화예술단체 민간지원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요국가의 중앙정부 문화전담부처 예산과의 비교분석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예진흥기금의 현재 상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기부금 지출현황과 문화예술에 대한 기업의 지원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 관련 조직구조를 외국 사례와 비교분석하였으며, 외국의 모금전문가 교육과정 및 국내 비영리 기관의 모금인력 양성과정과 국내 예술분야 재원조성 관련 교육현황에 대하여 면밀히 조사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 및 조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공지원금이 전체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반에 가깝다. 이는 문화예술단체들이 공공지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으며, 자체수입 및 기부후원금은 해마다 점점 줄어드는 추세로 보아 아직까지 우리나라에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문화가 정착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공공부문에 의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지원은 정부의 국고를 통한 지원이나 문예진흥기금을 통한 지원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제규모를 감안할 때, 정부의 문화부문에 대한 지출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원활한 공공지원을 위해 문화예산의 규모와 비중을 높일 필요성이 있으나 정책 우선순위에서 국방예산이나 경제, 산업분야의 예산에 비해 부수적으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아 어려움이 있다.
      문예진흥기금 역시 2004년 모금이 폐지된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문화예술 창작 및 향유활동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예술위원회가 기부문화 활성화를 통한 개인 및 기업의 기부금 등의 기타재원으로 꾸준히 마련하고 있기는 하나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점차 고갈될 위기해 처해 있어 문화예술단체의 재정적 안정을 위해 민간의 노력과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우리나라 법인 및 개인의 기부금 지출액은 매년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조사비 및 종교적 헌금을 제외한 순수 개인 기부금의 주요 기부처 중 국내 전체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는 0.2%, 기업 기부금은 체육분야를 포함해도 8.7%로 아주 낮게 나타났다.
      기업의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은 순수지원의 개념보다는 대부분 기업의 홍보를 위해 자체적으로 기획한 프로그램이나 행사를 위한 지원으로 후원 및 협찬을 통한 기부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지원동기 역시 ‘지역사회 공헌’, ‘마케팅 전략’, ‘조직관리’에 있었다. 또한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은 경기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야로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에는 결코 안정적이지 않아 환경에 따라 바뀌는 불안정한 재원에 의지하기 보다는 개인의 기부를 통한 안정적인 재원 확보를 위해 기부자 모집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조직 내 인적자원 육성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예술단체들이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재원조성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단체의 임원과 직원들의 재원조성에 대한 개념이 바뀌어야 할 것이며, 외국의 사례처럼 재원조성과 관련된 위원회나 별도의 조직 및 부서 신설을 통해 적절한 조직이나 인원을 갖추어 재원마련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후원회 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모금전문가 자격인증 기관인 CFRE는 모금전문가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과정으로 전문이론 지식 및 기술, 자질 등을 평가하는 검증, 윤리적 기준에 대한 책임, 일정기간 이상의 실무적인 모금경력을 엄격히 검토한 후 모금 전문가의 자격을 인증해 주고 있으며, 모금전문가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AFP 재원조성(기금모금) 입문과정을 통해 모금관련 실무 경력자들이 모금의 기초 이해부터 CFRE를 준비할 수 있을 정도의 모금활동 기법과 내용들을 자연스럽고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민간영역에서 비영리기관 대상으로 모금전문가를 양성하는 희망제작소, 한국기부문화연구소, 도움과 나눔에서는 모금 담당자 대상으로 각각의 특색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4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4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문화예술단체 재원의 구조 및 현황 6
      • 1. 문화예술단체 재원조성의 개념 6
      • 2. 문화예술단체 재원의 구조 7
      • 3. 문화예술단체 재원의 현황 8
      • 1) 공연시설 수입현황(문예회관 포함) 9
      • 2) 문예회관 수입현황 10
      • 3) 전문예술법인·단체 수입현황 11
      • 4) 공연단체 수입현황 12
      • 제2절 문화예술단체 민간지원의 필요성 14
      • 1. 공공지원의 한계와 문화예술단체 민간지원의 필요성 14
      • 1) 공공지원의 한계 14
      • 2) 민간지원의 필요성 25
      • 2. 우리나라 기부금 지출현황 26
      • 1) 법인의 기부금 지출현황 27
      • 2) 개인의 기부금 지출현황 29
      • 3.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현황 33
      • 1)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 유형 34
      • 2) 지원현황 35
      • 제3장 재원조성 관련 사례 분석 44
      • 제1절 국내외 문화예술단체의 재원조성 관련 조직구조 비교 44
      • 1. 미국 44
      • 2. 영국 47
      • 3. 프랑스 51
      • 4. 외국 사례와의 비교 분석결과 53
      • 제2절 외국의 모금전문가 교육 과정 57
      • 1. 모금전문가의 개념 57
      • 2. 모금전문가 자격 인증기관 58
      • 3. 모금전문가 교육기관 프로그램 61
      • 제3절 국내 비영리 기관의 모금인력 양성과정 67
      • 1. 모금인력 양성의 필요성 67
      • 2. 모금의 개념과 모금인력의 역할 67
      • 3. 비영리 기관의 모금인력 및 교육현황 68
      • 1) 모금인력 현황 68
      • 2) 모금인력 교육현황 69
      • 제4절 예술분야 재원조성 관련 교육현황 83
      • 1. 전국 예술경영대학 교육현황 83
      • 1) 2~3년제 대학 84
      • 2) 사이버 대학교 84
      • 3) 4년제 대학교 84
      • 4) 대학원 85
      • 2. 예술경영지원센터 교육현황 88
      • 제4장 재원조성 전문가 육성을 위한 제언 100
      • 제1절 재원조성 전문가 교육과정 정립 100
      • 1. 재원조성 교육의 발전과정과 전문인력의 부재 100
      • 2. 교육내용의 다양화 및 정례화 102
      • 제2절 전문인력 양성 지원사업의 확장 103
      • 1. 전문인력 양성 사업의 개요 103
      • 2. 문화예술교육사 105
      • 3.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사업 108
      • 4. 전문인력 양성사업에 대한 제언 112
      • 제3절 창작공간의 활용 113
      • 1. 창작공간의 개념 및 현황 113
      • 2. 창작공간의 활용방안 제안 118
      • 제4절 재원조성 전문인력 발굴 및 확장 119
      • 1. 직업전환 재교육 지원사업 현황 119
      • 1) 전문무용수지원센터 119
      • 2) 한국예술인복지재단 121
      • 2. 직업전환으로서의 재원조성 전문인력 양성방안 122
      • 제5장 결론 123
      • 참고문헌 126
      • Abstract 13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