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세 한국어의 ‘있다’ 구문의 정보구조적 분석을 위한 시론 = A Study on Poetic Theory for Information Structured Analysis on Middle Korean 'Issda' Syntax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정보구조 이론을 바탕으로 중세 한국어 ‘있다’ 구문을 분석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구조 이론을 정리하고, 중세 한국어 자료에 어떻게 적용할지 살펴보았다. ...

      본고에서는 정보구조 이론을 바탕으로 중세 한국어 ‘있다’ 구문을 분석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구조 이론을 정리하고, 중세 한국어 자료에 어떻게 적용할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세 한국어 ‘있다’ 구문의 도입문과 집합 구문, 그리고 특이 명사구와 특이관형사절을 대상으로 정보구조 이론을 적용하여 중세 한국어 ‘있다’ 구문을 새롭게 파악할 수 있을지 검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information structure theory,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Issda' syntax in Middle Korean. To achieve this, this study was to mention the concept of information structure theory and to investigate how it cou...

      Based on the information structure theory,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Issda' syntax in Middle Korean. To achieve this, this study was to mention the concept of information structure theory and to investigate how it could be applied to the materials of Middle Korean. In addition, as an object of introductory sentences and collective sentences about the Middle Korean 'Issda' syntax, this study was to review to see if the Middle Korean 'Issda' syntax could be newly clarified by applying the information structure the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철, "한국어의 제언문/정언문 구별과 정보구조" 국어학회 (68) : 99-133, 2013

      2 김민국, "한국어 주어의 격 표지 연구" 연세대학교 2016

      3 謝禮, "한국어 존재문의 의미와 통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전영철, "한국어 존재문의 구성"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7) : 261-280, 2000

      5 함병호, "한국어 정보구조의 화제 연구" 동국대학교 2018

      6 최윤지,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2016

      7 전영철,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8 JIN MEIYING, "한국어 ‘있다/없다’의 의미 확장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105) : 40-70, 2018

      9 박진호, "한·중·일 세 언어의 존재구문에 대한 대조 분석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언어정보연구소 30 : 311-340, 2017

      10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11

      1 전영철, "한국어의 제언문/정언문 구별과 정보구조" 국어학회 (68) : 99-133, 2013

      2 김민국, "한국어 주어의 격 표지 연구" 연세대학교 2016

      3 謝禮, "한국어 존재문의 의미와 통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전영철, "한국어 존재문의 구성"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7) : 261-280, 2000

      5 함병호, "한국어 정보구조의 화제 연구" 동국대학교 2018

      6 최윤지,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2016

      7 전영철, "한국어 명사구의 의미론"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8 JIN MEIYING, "한국어 ‘있다/없다’의 의미 확장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105) : 40-70, 2018

      9 박진호, "한·중·일 세 언어의 존재구문에 대한 대조 분석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언어정보연구소 30 : 311-340, 2017

      10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11

      1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8

      12 이성우, "집합과 관련된 ‘있다’ 구문의 한 유형" 국어학회 (92) : 283-317, 2019

      13 이지영, "중세국어의 특이 관형사절과 특이 명사구에 대한 고찰: ‘者’ 구문을 중심으로" 언어정보연구소 36 : 399-437, 2019

      14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 구문 연구, 국어학총서" 태학사 2007

      15 杜林林, "중세 한국어의 정보구조 : 조사 '-이', '-는', '-으란', '-ㅿㅏ'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6 이성우, "중세 한국어의 ‘있다’ 구문 연구" 한양대학교 2019

      17 김주필, "조선시대 한글 편지의 문어성과 구어성" 한국학연구소 35 : 223-257, 2011

      18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옛말과 이두-" 어문각 1992

      19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20 임동훈, "보조사의 의미론" 국어학회 (73) : 335-373, 2015

      21 박진호, "보조사의 역사적 연구" 국어학회 (73) : 375-435, 2015

      22 박철우, "보조사의 기능과 정보구조" 국어학회 (73) : 269-307, 2015

      23 고영근, "문장과 이야기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5 : 1-47, 1990

      24 이선영, "내훈" 국립국어원 2011

      25 유현경, "국어형용사연구" 한국문화사 1998

      26 윤평현, "국어의미론강의" 역락 2013

      27 남광우, "교학 고어사전" 교학사 2009

      28 허인영, "고려 시대 한국어의 정보구조에 대한 일고찰: 瑜伽師地論 권20의 자토석독구결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30 : 5-36, 2017

      29 한재영, "十六世紀 國語 構文의 硏究" 신구문화사 1996

      30 이지영, "他動詞文에 나타나는 ‘줄’ 構成의 通時的 樣相에 대한 一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6 (46): 7-36, 2018

      31 이현희, "中世國語構文硏究" 신구문화사 1994

      32 신선경, "‘있다’의 어휘 의미와 통사, 국어학총서" 태학사 2002

      33 임동훈, "‘이다’ 구문의 제시문적 성격" 국어학회 (45) : 119-144, 2005

      34 Huang, Y, "Prag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5 Lambrecht, "Information Structure and Sentence form" Cambridge Unversity Press 1994

      36 이숭녕, "15세기 국어에서의 ‘-는’ 계 조사의 기능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12 : 3-24, 1966

      37 이정민, "(비)한정성/(불)특정성 대 화제(topic)/초점: 개체 층위/단계 층위 술어와도 관련하여" 國語學會 22 : 397-424, 1992

      38 이안구, "'있다'와 '없다'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