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트컬처랩 조성 기본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913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배경 □ 코로나19로 인한 문화예술분야 디지털 전환 요구 ○ 전 세계적인 팬데믹을 몰고 온 코로나19(COVID-19)는 우리 예술분야에 유례없는 큰 피해를 가져옴 -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1. 연구배경
      □ 코로나19로 인한 문화예술분야 디지털 전환 요구
      ○ 전 세계적인 팬데믹을 몰고 온 코로나19(COVID-19)는 우리 예술분야에 유례없는 큰 피해를 가져옴
      -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상당수의 공연.전시.축제 등이 취소되거나 연기되었고 좌석간 거리두기로 매출액이 급감하여 가뜩이나 열악한 예술인들은 심각한 소득감소와 고용불안정에 직면하게 됨
      ○ 이와 동시에 예술분야에서도 일상과 방역의 공존을 위한 온라인.비대면 콘텐츠가 크게 확산되고 기술+예술 융합 시도가 급진전되면서 관객기반 확대 및 새로운 수익모델 구축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음
      ○ 한편 문재인 정부는 2020년 7월 14일 코로나19로 야기된 위기를 극복하고 코로나 이후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국가발전전략으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디지털 뉴딜, 그린뉴딜, 안전망 강화가 포함됨
      ○ 문화체육관광부 또한 코로나19 이후 문화분야의 도약을 지원하고 기술과 문화의 결합을 확대하는‘문화강국 프로젝트’를 통해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한국판 뉴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에 있음 문화일보(2021.5.26.), [문화] 파워인터뷰: 황희 “기술 + 문화 ‘문화강국 프로젝트’ 구상… 한국판 뉴딜에 포함되게 할 것”,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1052601031330119001

      ○ 그러나 예술이 가진 현장성(liveness)과 아우라(Aura)를 보존하면서 관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매력적인 예술 콘텐츠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과 제작공간, 시설.장비, 전문인력이 필요한데 예술분야에서는 이러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실정임
      - 예술분야 디지털 뉴딜의 대표사업인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과‘예술과기술 융합지원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조차 제작공간이나 인프라 지원 없이 제작비만 지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원금의 상당부분이 예술인이 아닌 기술업체에 돌아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음

      □ 기존 문화예술공간의 한계
      ○ 기존에 건립·설립되어 있는 문화예술분야의 공간을 살펴보면 공연장이나 미술관, 생활문화센터 등과 같이 국민들의 문화향유 및 참여를 위한 공간이 절대적인 다수를 차지함
      ○ 한편 문화예술의 생산자인 예술인들을 위한 공간도 꾸준히 조성되고는 있으나 대부분이 장르별 창작공간이나 레지던스, 혹은 연습실이나 단순한 회의공간의 형태를 띠고 있어 기능이나 역할이 제한적이고 분절적이라는 한계를 가짐
      ○ 특히 최근에는 예술 장르간, 그리고 예술/비예술 분야를 넘나드는 다양한 이종간 융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수준에서의 기술+예술 결합과 함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시도하는 예술 스타트업도 크게 증가하면서 과거와는 다른 보다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형태의 공간 및 지원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즉 다양한 장르나 분야의 예술인.전문가들과 자유롭게 교류하고 협업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나 프로젝트를 실험하거나 콘텐츠화하고 상품으로 개발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역량의 교육이나 상담과 지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원-스톱 지원서비스(one-stop service)에 대한 수요가 점점 더 커지고 있으나 예술분야에는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원플랫폼이 거의 전무하다고 볼 수 있음
      - 콘텐츠 분야의 경우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 간 협업을 지원하고 입주 및 제작시설 지원, 투자, 유통 네트워크 등 콘텐츠 기획에서 사업화까지 콘텐츠기업에 대한 원스톱서비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코리아랩(CKL,
      Contents Korea Lab)이 2014년부터 운영되고 있으나 콘텐츠산업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예술인이나 예술단체 등이 접근하기에는 장벽이 높음
      - 심지어 예술분야 기업의 창업과 성장을 지원하고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는 ‘예술경영지원센터’의 경우 이를 위한 공간이 없어 타 기관의 시설을 대관 또는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으며,‘한국예술인복지재단’또한 예술인의 복지 지원을 위한 오프라인 서비스 공간이 매우 취약한 실정임

      2. 연구목적
      ○ 이에 본 연구는 변화된 환경 속에서 기초예술을 기반으로 다른 장르 및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시도와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예술의 영역을 확장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척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예술 특화 거점공간’이자 ‘종합지원 플랫폼’인 아트컬처랩(Art-Culture Lab)의 조성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즉 예술분야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여 예술인이나 단체, 또는 예술분야 기업들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협력하여 그들이 가진 혁신적 상상력과 창조적인 역량을 십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떠한 기능과 역할이 필요한지, 이를 위한 프로그램과 운영체계는 어떻게 설계되어야 할지를 고찰하고, 그에 따른 아트컬처랩의 공간 모델링과 확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
      ○ 이 시대 예술인들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예술 특화 거점 공간의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예술활동의 지속가능성 제고와 예술생태계의 건강한 성장, 예술영역의 지평 확대를 통한 예술의 가치 확산, 그리고 예술의 산업화를 통한 시장창출에 기여하고자 함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
      • 1. 연구배경 3
      • 2. 연구목적 4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
      • 1. 연구배경 3
      • 2. 연구목적 4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 1. 연구범위 5
      • 2. 연구방법 6
      • 제2장 예술분야 환경변화와 아트컬처랩 조성의 필요성 11
      • 제1절 예술분야 환경 변화와 대응현황 13
      • 1. 예술분야 환경 변화 분석 13
      • 2. 문화시설.공간 조성정책의 현황 및 한계 21
      • 제2절 아트컬처랩의 의의 및 필요성 27
      • 1. 예술+기술의 융합을 통한 디지털 전환 대응 27
      • 2. 예술 기반 기업 등의 육성.성장을 위한 공간의 부재 40
      • 3. 예술분야에 특화된 거점공간으로서 종합적 지원 플랫폼의 필요성 44
      • 제3장 예술인 및 단체.기업의 수요분석 49
      • 제1절 설문조사 개요 51
      • 1. 설문조사 설계 51
      • 2. 응답자 특성 52
      • 제2절 관련 공간 및 사업 참여 경험 및 인식 55
      • 1. 유사시설 이용 경험 55
      • 2. 관련 지원사업 참여 경험 56
      • 제3절 온라인 및 기술 관련 활동 현황 및 수요 58
      • 1. 온라인 예술콘텐츠 창제작 참여 경험 및 수요 58
      • 2. 예술+기술 융복합 창제작 참여 경험 및 수요 60
      • 3. 창업 및 비즈니스 모델 시도 경험 및 수요 63
      • 제4절 아트컬처랩 조성 및 운영방향에 대한 수요 65
      • 1. 아트컬처랩의 주요 기능에 대한 수요 65
      • 2. 아트컬처랩의 조성 및 운영방향에 대한 수요 66
      • 3. 입지조건 및 이용의향 76
      • 제5절 시사점 79
      • 1. 아트컬처랩에 대한 예술인 및 예술기업 등의 수요 79
      • 2. 아트컬처랩의 조성 및 운영방향의 시사점 80
      • 제4장 국내.외 유사사례 분석 83
      • 제1절 국내 유사사례 분석 85
      • 1. 콘텐츠산업분야 85
      • 2. 예술분야 121
      • 제2절 해외 유사사례 분석 165
      • 1. Watershed Media Centre 165
      • 2. FACT(Foundation for Art and Creative Technology) 167
      • 3. Le 104(Le Centquatre) 169
      • 4. La Gaite Lyrique 172
      • 5. Factory Berlin 175
      • 6. Ars Electronica 177
      • 7. Today at Apple Creative Studios 182
      • 제3절 시사점 185
      • 1. 유사시설의 비교 분석 185
      • 2. 시사점 191
      • 제5장 아트컬처랩 조성 기본구상 195
      • 제1절 아트컬처랩 조성의 기본방향 설정 197
      • 1. 아트컬처랩(Art-Culture Lab)의 비전과 미션, 목표와 기능 197
      • 2. 운영프로그램의 방향성 200
      • 3. 장소운영전략 및 공간 프로그래밍의 방향 201
      • 제2절 아트컬처랩 운영방향 및 프로그램 구성방안 203
      • 1. 운영 프로그램(안) 203
      • 2. 운영체계(안) 224
      • 제3절 아트컬처랩 공간 모형 구상 229
      • 1. 도입기능간 관계설정 229
      • 2. 스페이스 프로그램 230
      • 3. 공간별 주요 내용 231
      • 4. 배치 및 설계시 검토사항 250
      • 5. 법규 검토사항 251
      • 제4절 향후 추진방향 254
      • 1. 시범모델 운영 254
      • 2. 단계적 지역 거점 확산 254
      • 참고문헌 257
      • 부록 261
      • 제1절 아트컬처랩 조성방향 설정을 위한 설문지 263
      • 제2절 아트컬처랩 공간 및 장비 세부구상(안) 2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