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기도문 사용에 관한 예배사적 문헌 연구와 한국교회 적용 방안 = A study on The Lord's Prayer in the Historical Literature and the Application to Korean Chu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96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주기도문 사용에 관한 예배사적 문헌 연구이다. 주기도문은 예수가 친히 가르쳐준 기도라는 점에서 충분히 가치 있고 소중한데 그 사용에 있어서의 경시현상은 좌시 할 수 없기 ...

      본 논문은 주기도문 사용에 관한 예배사적 문헌 연구이다. 주기도문은 예수가 친히 가르쳐준 기도라는 점에서 충분히 가치 있고 소중한데 그 사용에 있어서의 경시현상은 좌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전에서는 일관성 없는 위치선정, 적용성 여부의 불투명, 위치에 대한 불이해로 나타났고 교육적 관점에서는 성경적, 신학적, 역사적 가르침의 부재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는 진정성과 정체성의 상실, 행동화의 단절이 파악됐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비롯된 본 논문은 주기도문이 예배 요소가 되는 신학적 근거를 입증함으로써 예배학 측면의 실천적 접근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국교회와 성도들로 하여금 주기도문은 선택사항이 아니라는 인식 함양과 함께 예배 안에서의 기도의 실행을 기대하였다. 그리고 예배 구조에서의 주기도문 활용 위치가 일률적이지 않음에 대해서는 이에 따른 신학적 역할론을 증명하였다.
      주기도문에 관한 교육적 측면은 성경적인 선 이해와 신학적인 요소 재발견으로 이해도를 높였고 초기기독교와 교부들의 가르침을 습득하는데 주력하였다. 주기도문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새신자, 세례자, 가정교육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프락시스적 접근 방식으로 활성화를 기했다. 그 뿐 아니라 교육 내용은 접근이 용이하도록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점진성과 세부적 방식에 차등을 두었다. 모든 교육 내용에는 주기도문 이해의 다각화를 시도함으로써 성숙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을 목표한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은 주기도문 이해의 고취, 배움에 대한 함양, 이론이 아닌 현장감 상승, 적용적 가치의 확신에 있다. 또한 예배사적 큰 틀에서 주기도문을 중점적으로 관찰한 점과 주기도문 위치에 따른 신학적 의미를 도출한 점 그리고 한국교회 예배 문헌을 시기별․교단별로 분류하여 심도 있게 고찰한 점은 타 연구와의 차별성 내지는 독특성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historical literature study on the use of the Lord's Prayer. The Lord's Prayer is valuable and precious enough in that it is the prayer taught by Jesus himself. It is the reason that the slight phenomenon in its use cannot be ignored. ...

      This paper is a historical literature study on the use of the Lord's Prayer. The Lord's Prayer is valuable and precious enough in that it is the prayer taught by Jesus himself. It is the reason that the slight phenomenon in its use cannot be ignored. In the past, there was inconsistent positioning, an opacity of applicability, and an understanding of the location.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absence of biblical, theological and historical teachings was confirmed. And for Christians, the loss of authenticity and identity and the disconnection of activism were identified.
      This paper, which originated from such problem recognition, provided a practical approach to the worship studies by proving the theological basis that the Lord's Prayer is the element of worship. This led th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to realize that the Lord's Prayer was not an option and expected to practice prayer in worship. Also, the theological role theory was proved according to that the use of the Lord's Prayer in the worship structure is not uniform.
      The educational aspect of the Lord's Prayer was improved with biblical understanding first and the rediscovery of theological elements and focused on acquiring teachings of the early Christians and Church Fathers. The program to educate the Lord's Prayer was aimed at new believers, baptists, and home-education.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are differentiated in a gradual and detailed mann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tuation in the field for easy access. In all teaching, the goal is to become a mature Christian by attempting to diversify the understanding of the Lord's Prayer.
      The cor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Lord's Prayer, to cultivate learning, to increase the sense of realism, not to theory, and to convince of applied values. Also, the differentiation or uniquenes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There are the main observations of the Lord's Prayer in the context of worship history,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derived from the position of the Lord's Prayer, and the in-depth consideration of the Korean church worship literature was classified by the time and denomin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
      •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제1장 서론
      • ---------------------------------------------
      •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
      • 1
      • 제2절 선행연구
      • ----------------------------------------
      • 7
      • 제3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 ---------------------------
      • 10
      • 제2장 주기도문의 성경적․신학적 이해
      • ---------------------
      • 12
      • 제1절 주기도문의 성경적 이해
      • ---------------------------
      • 12
      • 제2절 기도로서의 주기도문 이해
      • --------------------------
      • 25
      • 제3절 주기도문 내용 분석과 신학적 이해
      • -------------------
      • 39
      • 제3장 기독교 역사 문헌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68
      • 제1절 초기기독교 교회 규범서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68
      • 제2절 교부들의 문헌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87
      • 제3절 카테키즘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101
      • 제4장 종교개혁 교회와 현대교회 예배 문헌에 나타난 주기도문 --- 114
      • 제1절 종교개혁 교회의 예배 문헌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114
      • 제2절 영국교회 예배 문헌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137
      • 제3절 현대교회 예배 문헌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150
      • 제5장 한국교회 예배 문헌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163
      • 제1절 1879~1930년(탄생기)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164
      • 제2절 1931〜1960년(격동기)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187
      • 제3절 1961〜1990년(성장기)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203
      • 제4절 1991년 이후(정립기)에 나타난 주기도문
      • ---------------
      • 227
      • 제6장 주기도문 사용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방안
      • --------------
      • 253
      • 제1절 주기도문 위치에 따른 역할 이해
      • --------------------
      • 254
      • 제2절 예배 모델 제안과 신학적 함의
      • ----------------------
      • 269
      • 제3절 주기도문 교육 활성화 방안
      • ------------------------
      • 281
      • 제7장 결론
      • --------------------------------------------
      • 291
      • 제1절 요약
      • --------------------------------------------
      • 291
      • 제2절 연구과제와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제안
      • -----------------
      • 298
      • 참고문헌
      • -----------------------------------------------
      • 304
      • ABSTRACT
      • --------------------------------------------
      • 3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